[학습 목표] 사걱세의 수능 수학영역 클레임을 반박할 수 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617261
사걱세가 9평에 이어 수능에 대해서도 6문항에 대해 교육과정 외라면서 클레임을 걸었군요.
저번과 같이 하나하나 조목조목 반박해보도록 합시다.
!! 들어가기에 앞서 !!
이 글에서는 틈만 나면 교과서를 언급합니다. 그 이유는,
- 검정도서로서 교육과정에 충실함이 이미 검증되었고,
- 공교육에서 쓰이는 교재이므로 사교육을 탓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반박을 시작해봅시다. (분석은 하십시오체가 아닌 해라체로 진행하겠습니다.)
■■■■■■■■■■■■
#14번-1. 사걱세 주장: "복잡한 극한은 다뤄서는 안 된다."
[ 반박 ]
요약: 교과서에는 도형과 극한을 섞은, 더 복잡한 문제도 있다.
사걱세의 클레임대로라면, 함수의 극한 관련 문제는 오로지 연속과 미분의 이전 단계로서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교과서의 다음 문제(미래N 수학2 47쪽 대단원평가 22번)를 살펴보자.
분명히 이 문제는 극한을 도형과 섞고 있다!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세는 것은 함수와 좌표평면의 영역인데, 이 문제의 경우 극한을 도형(심지어 합동이나 닮음을 쓰는)과 섞는 문제로, 분명히 개념의 융합 면에서는 더 복잡한 문제다.
다시 말해, 교과서에서 이런 정도의 문제를 냈다는 것은 수능에서 저 정도의 복잡도를 가진 문제를 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래프의 개형추론이 복잡할지언정 교육과정을 넘어서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14번-2. 사걱세 주장: "경우의 수가 복잡하게 나뉜다."
[ 반박 ]
요약: 애초에 7가지의 경우로 나누는 것을 바라고 만든 문제가 아니다.
논리적으로 생각해보자. 저 문제를 풀 때 경우를 7가지로 나누어 사고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EBS의 풀이는 격식적인 풀이의 한계로 그래프의 꼭짓점이 움직이는 모습을 기술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경우를 모두 나누어 조사한 것일 뿐이다.
실제로는 우선 g(t)가 연속인 경우부터 생각하면 3g(t) = 9에서 g(t) = 3이기만 하면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g(t) = 3인 t의 값이 무한히 많도록 해서는 안 되므로, 이차함수의 꼭짓점은 삼차함수의 극소보다 위에 있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바로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 이차함수의 꼭짓점이 삼차함수의 극소점과 같은 y값을 가지는 경우
- 이차함수의 꼭짓점이 삼차함수의 극소점보다 아래에 있는 경우
로 경우를 두 가지로 줄여 논리를 전개해 나갈 수 있으므로 고려할 경우의 수는 결코 많지 않다.
수학에서 이와 같이 경우의 수를 줄여 나가면서 추론하는 것은 핵심적인 사고 기법이다. 이러한 사고 기법을 무시한 채, 지극히 피상적으로 "전체 경우의 수가 많으니 교육과정 외"라고 주장하는 것은 수학의 본질을 흐리는 나쁜 행태이다.
또한, 사걱세의 주장과 같이 고려할 전체 경우의 수가 많은 것 자체를 문제삼게 된다면, 다음 교과서 문제(비상 수학2 익힘책 155쪽 19번)를 보면 논란이 종결된다.
이것을 곧이곧대로 경우를 나누어 풀려고 한다면, y = f(x)와 y=k, y=-k의 위치관계 6가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는 당연히 말도 안 되는 풀이이고, 실제 풀 때는 직관과 경우의 수 줄여나가기를 이용하여 훨씬 적은 수의 경우만을 고려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
#15번-1. 사걱세 주장: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 (64가지!)"
[ 반박 ]
요약: 위의 14번-2와 같은 내용.
다음은 필자가 쓴 풀이 중 일부이다.
우선 그들의 클레임과는 달리 이전 항을 추론할 때마다 몇 가지 경우가 제외되어 실제 계산해야 하는 경우의 수는 훨씬 더 적다. 또한 규칙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위 그림에서 옅게 네모친 부분과 짙게 네모친 부분을 비교해 보라. 즉, 수열이 같은 귀납적 관계로 이어지기 때문에 a5 = 2에서 고려했던 경우의 수를 재활용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고려할 경우의 수가 더 많이 줄어든다.
사걱세에서 제시한 64가지의 경우의 수는 문제를 직접 풀어보지 않은 티가 날 정도로 실제와 동떨어진 크기의 수이다. 교육과정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
#15번-2. 사걱세 주장: "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
[ 반박 ]
요약: 그놈의 기호 타령;;;;;
제발! 기호가 아예 정의되지 않은 것이 아닌 이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왜 이해하지 못하는가!
수학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 중 하나가 기호의 확장성이다. 적은 수의 기호와 정의로서 많은 수의 지식을 추출해내는 것이 수학의 본질인데, 이것을 싸그리 깡그리 무시하고 "기호 여러 개를 조합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교육과정 외"라고 단정짓는 것은 (다시 말하지만) 수학이라는 학문 자체에 대한, 그리고 수학 교육 전반에 대한 무시이자 모독이다.
그리고... 음.... 그게 말이죠,
교과서(지학사 수학1 160쪽 스스로 마무리 4번)에 너무 버젓이 있는데...? 그것도 그대로?
■■■■■■■■■■■■
#22번-1. 사걱세 주장: "대학수학대학수학대학수학대학수학대학수학"
[ 반박 ]
요약: 대학수학 교과서에 나온다고 고등학교 과정에 없는 것이 아니다.
(+) 22번에 나온 식은 함수방정식조차도 아니다.
별 말 할 것도 없이 교과서 문제(비상 수학2 익힘책 155쪽 5번)에 너무나 익숙한 다음 함수 방정식이 나온다.
심지어는 학부 3~4학년 때 배우는 일계 비선형 미분방정식(지학사 수학2 71쪽 중단원 학습점검 10번)까지 나온다!
당연히 이것은 대학교 수준이 아니다. 함수방정식이 나왔다고 해서 고등학교 수준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22번 문제에 함수방정식 따위는 없다는 것이다! 22번 문제에서 사걱세가 문제삼은 부분은 바로
" f(k+1)f(k-1)<0인 정수 k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인데, 이건 함수방정식이 아니라 부등식이다. 또, 일반적인 함수방정식이 모든 실수나, 측도*가 양수인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데에 반해, 이 부등식은 정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는 진술로서, 함수방정식과 정말 아무런 일말의 관련성도 찾아볼 수가 없다.
*측도: 집합의 "넓이"나 "부피"와 비슷한 개념이다.
이 발문의 포인트는 바로 f(x) = 0이 되는 정수 x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추론! 이와 더불어 f'(1/4) < 0라는 점을 이용하면 f(-1) = 0 또는 f(1) = 0이고, 또한 f(0) = 0임을 알 수 있다. 22번 문제는 이와 같이 정수에 관한 조건을 해석하고 삼차함수가 감소하는 구간을 추론하여 함수를 찾아내는 참신한 문제다.
사걱세의 이러한 클레임은, 22번이 단지 가장 어려운 문항 위치에 있다는 것만으로 문제삼으려고 하는 편파적 시각으로 점철된, 비합리적인 억지에 불과하다.
#22번-2. 사걱세 주장: "너무 복잡하다"
[ 반박 ]
요약: 학생들을 변별해야 하는 시험에 복잡하게 구성된 문제가 없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것.
우선, 용어부터 똑바로 하자. 22번은 도함수를 활용한 적이 없다. 미분계수만을 활용했을 뿐.
EBS의 해설 시간은 문제를 완벽하게 격식적으로 풀이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일 뿐, 실제 문제에서는 EBS 풀이 과정 중 많은 수를 건너뛰면서 풀게 된다.
또한, 주어진 박스조건을 이용하면 그래프의 대부분을 이미 추론할 수 있고,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푸는 과정을 두 번만 거치면 답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푸는 과정이 쉽지는 않다. 사실, 일반적인 학생에게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사걱세의 요구대로 문제를 모두 쉽게 만들면 학생들을 변별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다. 본인들의 입김을 작용하여 교육과정을 마음대로 줄여놓고서 시험문제까지 쉽게 내라는 심보는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
#확30번. 사걱세 주장: "정규분포 확률의 최댓값은 교육과정 외"
[ 반박 ]
요약: 교과서에 있는데요..?
우선 문제가 되는 확률은
P(t2 - t + 1 ≤ X ≤ t2 + t + 1)
이다. 이것의 최댓값을 구하라고 한 것인데, 이를 표준정규분포 Z에 관한 것으로 바꾸면
P(t - 1 ≤ Z ≤ t + 1)
가 된다. 이것의 최댓값을 구하라는 것. 그런데 교과서(천재이 확률과통계 113쪽 중단원 연습문제 10번)에 이와 동일한 종류의 문제가 실려있다.
즉, 이번 확통 30번은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가 아니라, 공교육 내의 여러 가지 유형들의 문제를 융합하여 어려운 문제를 출제해낸 것이다. 이는 정확히 수학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바로, 수학에서 개념의 융합은 필수불가결이기 때문이다.
■■■■■■■■■■■■
#미28번-1. 사걱세 주장: "너무 어려워서 교육과정 외"
[ 반박 ]
요약: 복잡한 방식으로 정의되는 함수는 교과서에도 있음.
너무나 당연히, 함수를 복잡하게 정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음 교과서 문제(비상 미적분 112쪽 수행과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함수가 역삼각함수로써 정의됨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실려있는 모습이다. 교육과정 내에서 충분히 이와 같이 복잡한 함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뜻.
"복잡성"에 대한 말이 너무 모호해서 더이상 반박할 말도 없다.
#미28번-2. 사걱세 주장: "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
[ 반박 ]
요약: 지겹다.
길게 쓸 것도 없이 바로 교과서를 대령하겠다. (천재이 확률과통계 105쪽 본문)
다음. (비상 미적분 136쪽 본문 문제 2번 (2))
다음. (지학사 미적분 90쪽 본문 문제 1번 (4))
더 나열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
#기30번. 사걱세 주장: "벡터크기 최댓값을 변형을 통해 구하게 하면 안 됨"
[ 반박 ]
요약: 벡터의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것, 벡터를 쪼개서 생각하는 것 모두 교과과정 내의 풀이법임.
다음 문제(천재류 기하 114쪽 스스로 마무리하기 19번)를 보자.
이 문제의 경우 벡터 PB를 분해하여 두 벡터 PH와 HB의 합으로 나타내어야 풀리는 문제다. 즉, 아무런 힌트도 없이 벡터를 쪼개는 것은 교육과정 내의 풀이법이다.
그리고, 벡터의 크기를 쪼개서 구하는 것, 교과서(비상 기하 익힘책 159쪽 23번)에 있다.
더이상 이야기할 것이 없는 것 같다.
■■■■■■■■■■■■
새벽 5시라 글에 다소 짜증이 묻어나 있을 수 있지만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ㅠㅠ
이것으로 사걱세의 클레임이 모두 반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어느 정도 주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이 내용에 동감하신다면 이 글을 되도록 많은 분들께 전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걱세의 이러한 부당한 클레임, 더 이상 손놓고 보아서는 안 됩니다.
이상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생 Rey였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작 82 미적 84 영어 87 사문 50 생명 40 백분위 몇예상…?
-
23 33 34 38틀
-
평가원, 교육청에서 사용된적 없는걸로 아는데 지적유희용으로 기억해볼까
-
저 어떡하죠…
-
그냥 진짜 메인스트림한거 하는게맞나
-
그럼 정시 일반을 줄이는건가요.?
-
아니니이ㅣㅣ올해 친 어떤 모의고사에서도 국어가 85 밑으로 내려가 본적이 없는데.....
-
시험지랑 가채점표랑 달라서 한문제를 뭐라 마킹했을지 모르겠음 81 아님 77인데
-
지구 바로 바꿔야겠죠?ㅋㅋㅋㅋ 뭐로 해야되지
-
근데 모병제돼도 1
지금 성인된 사람들은 군대 가야 하지 않을까 전환기간 사이에 끼인 사람들은 형평성...
-
4덮 0
4덮인데 등급 어캐 뜰까요 수학 84면 몇등급이져..?
-
영 96 한국사 48
-
4덮 결과 3
국어(언매) - 98 : 단어 문제…. 수학(미적) - 86 : (22, 23,...
-
4덮 미적 1
공통2 선택2 84점인데 무보2뜰까여?
-
애미터졌나
-
11 12 18 다 3점짜리네 하....
-
개빡셈;;
-
물1으로 갈까 0
빡센 시험지 만나니까 진짜 타임어택 뇌정지가 너무심함 멘탈나가서 계산실수 ㅈㄴ 터지고
-
모병제를 해주겠다는 말이 아니라 병영에 가두는게 비효율이라는데 걍 대통령되고 모병제...
-
영어1 + 국수탐 무보정 평균 백분위 96이 조건임 언매95 미적84 영어93...
-
여기 >>>> https://orbi.kr/00072826736 1단원 문제면 다...
-
기숙학원다니는데 달마다 더프치는 애들있던데 난 개인적으로 6,9 말곤 큰...
-
공부 왜 하지 1
걍 대학 다닐까 해도 안될고같은데
-
4덮 결과.. 0
백분위 예측좀요 국어 공부좀 해야겠다..ㅅㅂ 언매 75 미적 88 영어 2 세지 44 사문 50
-
언미영물1화1 77 88 2 41 41 보정이면 몇뜰라나 수학1 영어 2는 확실한디...
-
더프 미적 81 0
15 22 27 28 30 틀.. 미적 너무 못하는데 교재나 인강 뭐 해야함?...
-
광고에 그만 좀 나오시라구여
-
국잘수망..? 0
언매 90 기하 72 영어 67 수학 왜이래… 영어는 올랐다!
-
(나) 조건 보면 극한에서 로피탈 두번 이용해야 하는꼴임 이거 이용하면 f 식 바로...
-
결혼 안 한 사람이 이혼하는 게 제일 당황스럽음
-
채점하니까우수수틀려있네...ㅋㅋ
-
4덮 1
화작 미적 세지 사문 78. 92 44 40 무보정컷 어느정도 뜨나요?
-
확실히 0
수학 확통보시는분들 국어 goat인듯
-
개인적으로는 1~15 작수보다 약간 어려움 16~22 작수 미적 28번 hell...
-
다들점수가높아졌넴
-
오늘 더프 30분걸려서 다 맞긴 햇는데 줄여야겟죠? 몇분 목표로 할까요
-
다른건 다 비슷한데 독서가 너무차이나서 깜짝놀랐네요 뭘 읽은건지도 모르겠음
-
가볍게 볼라했는데 국어에서 걍 멘탈이 ㅈㄴ나가서 위치 각인이 ㅈㄴ잘됐네요ㅎㅎ ㅅㅂ
-
쉬운 문제 찾아 폴짝폴짝 뛰어댕긴 경제뚜기들 개추;;
-
틀린 사람들 꽤 있을듯 16번도 문제 유형 안 보고 풀었다가 5분 넘게 쓴듯
-
더프 지구 ㅋ 4
지구는 걍 작수 1인 나를 믿는다. 올해 사설 지구는 다 **임
-
자톼당시 여름방학쯤 언매 미적 물1 화2 현재 화작 확통 생윤 사문(아마 사문할듯)...
-
ㅈㄱㄴ
-
더프 수학 0
미적 13,14,15,22,28,30 못 풀고 나머지 다 맞음 현재...
-
더프 생2 0
수능에서도 이정도로 나오나요.. 지1처럼 의문사 겁나 많이 당했는데
-
퇴근 0
50분 전. 모든 질문과 일을 거절한다.
-
수학은 귀찮어<<.~
-
9번(지문 내에서 2번째. ㄱ 이유 물어보는 문제) 문제 논리 생각보다...
-
4덮 41144 1
언 79 미 93 영 96 한국사 48 물2 37 지2 43

매 시험마다 저렇게 같은 말만 반복하는거 안지치나..자기들이 예시문항을 만들던가
존경합니다
지원금만 타쳐먹는 쓰레기같은 시민단체들 싹다 없애버려야됨
저런거 올리는 이유도 수능 쿨돌때마다 저런거라도 안올리면 돈을 못버니까ㅋㅋ
장애 집단에 논리로 반박하시는 모습이
존경스러우면서도 측은함이 듭니다..
좋아요 누릅니다
사걱세는 왜케 수학을 싫어할까...국어나 영어갖곤 머라고 안하는데

올해만큼은 반박하지 말아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