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목표] 사걱세의 수능 수학영역 클레임을 반박할 수 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617261
사걱세가 9평에 이어 수능에 대해서도 6문항에 대해 교육과정 외라면서 클레임을 걸었군요.
저번과 같이 하나하나 조목조목 반박해보도록 합시다.
!! 들어가기에 앞서 !!
이 글에서는 틈만 나면 교과서를 언급합니다. 그 이유는,
- 검정도서로서 교육과정에 충실함이 이미 검증되었고,
- 공교육에서 쓰이는 교재이므로 사교육을 탓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반박을 시작해봅시다. (분석은 하십시오체가 아닌 해라체로 진행하겠습니다.)
■■■■■■■■■■■■
#14번-1. 사걱세 주장: "복잡한 극한은 다뤄서는 안 된다."
[ 반박 ]
요약: 교과서에는 도형과 극한을 섞은, 더 복잡한 문제도 있다.
사걱세의 클레임대로라면, 함수의 극한 관련 문제는 오로지 연속과 미분의 이전 단계로서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교과서의 다음 문제(미래N 수학2 47쪽 대단원평가 22번)를 살펴보자.
분명히 이 문제는 극한을 도형과 섞고 있다!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세는 것은 함수와 좌표평면의 영역인데, 이 문제의 경우 극한을 도형(심지어 합동이나 닮음을 쓰는)과 섞는 문제로, 분명히 개념의 융합 면에서는 더 복잡한 문제다.
다시 말해, 교과서에서 이런 정도의 문제를 냈다는 것은 수능에서 저 정도의 복잡도를 가진 문제를 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래프의 개형추론이 복잡할지언정 교육과정을 넘어서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14번-2. 사걱세 주장: "경우의 수가 복잡하게 나뉜다."
[ 반박 ]
요약: 애초에 7가지의 경우로 나누는 것을 바라고 만든 문제가 아니다.
논리적으로 생각해보자. 저 문제를 풀 때 경우를 7가지로 나누어 사고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EBS의 풀이는 격식적인 풀이의 한계로 그래프의 꼭짓점이 움직이는 모습을 기술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경우를 모두 나누어 조사한 것일 뿐이다.
실제로는 우선 g(t)가 연속인 경우부터 생각하면 3g(t) = 9에서 g(t) = 3이기만 하면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g(t) = 3인 t의 값이 무한히 많도록 해서는 안 되므로, 이차함수의 꼭짓점은 삼차함수의 극소보다 위에 있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바로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 이차함수의 꼭짓점이 삼차함수의 극소점과 같은 y값을 가지는 경우
- 이차함수의 꼭짓점이 삼차함수의 극소점보다 아래에 있는 경우
로 경우를 두 가지로 줄여 논리를 전개해 나갈 수 있으므로 고려할 경우의 수는 결코 많지 않다.
수학에서 이와 같이 경우의 수를 줄여 나가면서 추론하는 것은 핵심적인 사고 기법이다. 이러한 사고 기법을 무시한 채, 지극히 피상적으로 "전체 경우의 수가 많으니 교육과정 외"라고 주장하는 것은 수학의 본질을 흐리는 나쁜 행태이다.
또한, 사걱세의 주장과 같이 고려할 전체 경우의 수가 많은 것 자체를 문제삼게 된다면, 다음 교과서 문제(비상 수학2 익힘책 155쪽 19번)를 보면 논란이 종결된다.
이것을 곧이곧대로 경우를 나누어 풀려고 한다면, y = f(x)와 y=k, y=-k의 위치관계 6가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는 당연히 말도 안 되는 풀이이고, 실제 풀 때는 직관과 경우의 수 줄여나가기를 이용하여 훨씬 적은 수의 경우만을 고려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
#15번-1. 사걱세 주장: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 (64가지!)"
[ 반박 ]
요약: 위의 14번-2와 같은 내용.
다음은 필자가 쓴 풀이 중 일부이다.
우선 그들의 클레임과는 달리 이전 항을 추론할 때마다 몇 가지 경우가 제외되어 실제 계산해야 하는 경우의 수는 훨씬 더 적다. 또한 규칙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위 그림에서 옅게 네모친 부분과 짙게 네모친 부분을 비교해 보라. 즉, 수열이 같은 귀납적 관계로 이어지기 때문에 a5 = 2에서 고려했던 경우의 수를 재활용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고려할 경우의 수가 더 많이 줄어든다.
사걱세에서 제시한 64가지의 경우의 수는 문제를 직접 풀어보지 않은 티가 날 정도로 실제와 동떨어진 크기의 수이다. 교육과정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
#15번-2. 사걱세 주장: "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
[ 반박 ]
요약: 그놈의 기호 타령;;;;;
제발! 기호가 아예 정의되지 않은 것이 아닌 이상 문제가 없다는 것을 왜 이해하지 못하는가!
수학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 중 하나가 기호의 확장성이다. 적은 수의 기호와 정의로서 많은 수의 지식을 추출해내는 것이 수학의 본질인데, 이것을 싸그리 깡그리 무시하고 "기호 여러 개를 조합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교육과정 외"라고 단정짓는 것은 (다시 말하지만) 수학이라는 학문 자체에 대한, 그리고 수학 교육 전반에 대한 무시이자 모독이다.
그리고... 음.... 그게 말이죠,
교과서(지학사 수학1 160쪽 스스로 마무리 4번)에 너무 버젓이 있는데...? 그것도 그대로?
■■■■■■■■■■■■
#22번-1. 사걱세 주장: "대학수학대학수학대학수학대학수학대학수학"
[ 반박 ]
요약: 대학수학 교과서에 나온다고 고등학교 과정에 없는 것이 아니다.
(+) 22번에 나온 식은 함수방정식조차도 아니다.
별 말 할 것도 없이 교과서 문제(비상 수학2 익힘책 155쪽 5번)에 너무나 익숙한 다음 함수 방정식이 나온다.
심지어는 학부 3~4학년 때 배우는 일계 비선형 미분방정식(지학사 수학2 71쪽 중단원 학습점검 10번)까지 나온다!
당연히 이것은 대학교 수준이 아니다. 함수방정식이 나왔다고 해서 고등학교 수준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22번 문제에 함수방정식 따위는 없다는 것이다! 22번 문제에서 사걱세가 문제삼은 부분은 바로
" f(k+1)f(k-1)<0인 정수 k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인데, 이건 함수방정식이 아니라 부등식이다. 또, 일반적인 함수방정식이 모든 실수나, 측도*가 양수인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데에 반해, 이 부등식은 정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는 진술로서, 함수방정식과 정말 아무런 일말의 관련성도 찾아볼 수가 없다.
*측도: 집합의 "넓이"나 "부피"와 비슷한 개념이다.
이 발문의 포인트는 바로 f(x) = 0이 되는 정수 x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추론! 이와 더불어 f'(1/4) < 0라는 점을 이용하면 f(-1) = 0 또는 f(1) = 0이고, 또한 f(0) = 0임을 알 수 있다. 22번 문제는 이와 같이 정수에 관한 조건을 해석하고 삼차함수가 감소하는 구간을 추론하여 함수를 찾아내는 참신한 문제다.
사걱세의 이러한 클레임은, 22번이 단지 가장 어려운 문항 위치에 있다는 것만으로 문제삼으려고 하는 편파적 시각으로 점철된, 비합리적인 억지에 불과하다.
#22번-2. 사걱세 주장: "너무 복잡하다"
[ 반박 ]
요약: 학생들을 변별해야 하는 시험에 복잡하게 구성된 문제가 없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것.
우선, 용어부터 똑바로 하자. 22번은 도함수를 활용한 적이 없다. 미분계수만을 활용했을 뿐.
EBS의 해설 시간은 문제를 완벽하게 격식적으로 풀이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일 뿐, 실제 문제에서는 EBS 풀이 과정 중 많은 수를 건너뛰면서 풀게 된다.
또한, 주어진 박스조건을 이용하면 그래프의 대부분을 이미 추론할 수 있고,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푸는 과정을 두 번만 거치면 답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푸는 과정이 쉽지는 않다. 사실, 일반적인 학생에게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사걱세의 요구대로 문제를 모두 쉽게 만들면 학생들을 변별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다. 본인들의 입김을 작용하여 교육과정을 마음대로 줄여놓고서 시험문제까지 쉽게 내라는 심보는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
#확30번. 사걱세 주장: "정규분포 확률의 최댓값은 교육과정 외"
[ 반박 ]
요약: 교과서에 있는데요..?
우선 문제가 되는 확률은
P(t2 - t + 1 ≤ X ≤ t2 + t + 1)
이다. 이것의 최댓값을 구하라고 한 것인데, 이를 표준정규분포 Z에 관한 것으로 바꾸면
P(t - 1 ≤ Z ≤ t + 1)
가 된다. 이것의 최댓값을 구하라는 것. 그런데 교과서(천재이 확률과통계 113쪽 중단원 연습문제 10번)에 이와 동일한 종류의 문제가 실려있다.
즉, 이번 확통 30번은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가 아니라, 공교육 내의 여러 가지 유형들의 문제를 융합하여 어려운 문제를 출제해낸 것이다. 이는 정확히 수학 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바로, 수학에서 개념의 융합은 필수불가결이기 때문이다.
■■■■■■■■■■■■
#미28번-1. 사걱세 주장: "너무 어려워서 교육과정 외"
[ 반박 ]
요약: 복잡한 방식으로 정의되는 함수는 교과서에도 있음.
너무나 당연히, 함수를 복잡하게 정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음 교과서 문제(비상 미적분 112쪽 수행과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함수가 역삼각함수로써 정의됨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실려있는 모습이다. 교육과정 내에서 충분히 이와 같이 복잡한 함수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뜻.
"복잡성"에 대한 말이 너무 모호해서 더이상 반박할 말도 없다.
#미28번-2. 사걱세 주장: "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기호"
[ 반박 ]
요약: 지겹다.
길게 쓸 것도 없이 바로 교과서를 대령하겠다. (천재이 확률과통계 105쪽 본문)
다음. (비상 미적분 136쪽 본문 문제 2번 (2))
다음. (지학사 미적분 90쪽 본문 문제 1번 (4))
더 나열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
#기30번. 사걱세 주장: "벡터크기 최댓값을 변형을 통해 구하게 하면 안 됨"
[ 반박 ]
요약: 벡터의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것, 벡터를 쪼개서 생각하는 것 모두 교과과정 내의 풀이법임.
다음 문제(천재류 기하 114쪽 스스로 마무리하기 19번)를 보자.
이 문제의 경우 벡터 PB를 분해하여 두 벡터 PH와 HB의 합으로 나타내어야 풀리는 문제다. 즉, 아무런 힌트도 없이 벡터를 쪼개는 것은 교육과정 내의 풀이법이다.
그리고, 벡터의 크기를 쪼개서 구하는 것, 교과서(비상 기하 익힘책 159쪽 23번)에 있다.
더이상 이야기할 것이 없는 것 같다.
■■■■■■■■■■■■
새벽 5시라 글에 다소 짜증이 묻어나 있을 수 있지만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ㅠㅠ
이것으로 사걱세의 클레임이 모두 반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어느 정도 주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이 내용에 동감하신다면 이 글을 되도록 많은 분들께 전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걱세의 이러한 부당한 클레임, 더 이상 손놓고 보아서는 안 됩니다.
이상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생 Rey였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이면 낮3쯤 되나요 아니라면 몇등급쯤 되나요 확통 2틀 공통 4틀이에요
-
공부하자
-
명륜진사갈비 2인 식사권을 댓글 쓴 전원에게 주는 것을 신중하게 검토해서 내부에서...
-
대통령돼서 이공계 의료계 개박살내면 됨
-
수험생 느그들이 학벌과 수험판에서 몸비틀며 뭔짓을 해봐야 586 아파트 기보유자의...
-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
-
뭐 시켜먹지 10
제육도 먹고싶고 돈가스도먹고싶고 뜨끈한 국물도 댕겨
-
5모보고 나니 느낀건데 14 15 21정도의 문제를 풀 순 있는데 한눈에 안들어와서...
-
잘래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
-
이 레어 너무 싫어요
-
이과는 취업이라도 잘하잖아
-
요근래 학생들 중간고사가 끝나 과외를 많이 알아봅니다!!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
221122 8
수학 교육청 2등급인데 이거 맞춤 칭찬해주세요
-
사설 컨텐츠(이감)vs교육청 국어 기출 하면 걍 이감하다가 자료 부족할 때나 교육청...
-
6번 - 각도 범위 안봄 레전드 능지이슈 30번 - 6 aa bb 나열을 잘못계산함...
-
과제밀려서 분량조절 실패 단과 있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
지금 시작한거 자이 중등 독해력 기르기 문학,독서(배송중) 수특 문학,독서 읽고...
-
노력마저 재능이고 노력해서 얻은 학벌은 무쓸모에 존잘존예 금수저로 태어나야 인생 쉬워지는게 맞으면 8
아무것도 안하고 무기력하게 살거임? 전부터 느끼는건데 자신의 의지력과 용기가 부족한...
-
그래프를 그릴 땐 무지성으로 찍찍 긋는게 아니라 기준점과 무조건 지나야 하는 지점을...
-
10년전 페이커 뜨던 시절엔 의미가 있었음 그땐 그 시장 성장기고 성숙한 시장이...
-
3학년인데 아직도 대학은 술먹으러감
-
초코릿의 정체는 2
4시에 당 떨어지는 건 과학인가 이제 초콜릿을 까보겠오 쓱싹- ㄷㄱㄷㄱ 정답은 랏코...
-
좋은 대학 나와봤자 쓸모 없다-> 대학이 좋아도 내가 능력있어야한다 (O) ->...
-
책사러왔는데 둘다있어서 노베 먼저살까 고민중이긴해요 참고로 국어 5등급입니다.
-
10분인가 남아서 34번 이상하게 생각하다가 4번한거 3번으로 바꿔서 틀리고 4번은 의문사했네 하
-
나도 모르는 상처가 ㅈㄴ 많지?
-
멀쩡히 대학 다니는사람이 있는데 한의대노답 학벌노답 이러면 당연히 화나지
-
학벌 필요한 이유 14
거울을 보자 앞에 보이는 생명체의 얼굴로 돈을 벌 수 있을 거 같으면 공부 안 해도 됨
-
롤 티어는 좀 긁히네 ㅅㅂ 난 무얼 위해 롤을 했단말이냐
-
올해 3모 22번 미불+미불인 함수 미출제요소 맞음? 미적분에 절댓값함수에서...
-
학벌 안좋은거보단 좋은게 낫지
-
영어 빈순삽 0
만 모아져 있는 문제집 있나용 높2에서 1로 넘어가고 싶은데 ..
-
건장한 여고생장임 잘먹는편 고기제외
-
에휴 내인생아 3
-
남의 노력을 폄하하먼서 현실적인 조언을 한다고 뿌듯해하는 인간들이 많음
-
살기는 편하지만 편한만큼 추해지는 마인드
-
내 자신이 1
항상 실망스럽다
-
뭘해도 재미가 없어
-
공통 11-14 4
얘네 연습하려면 뭐풀어야하나요? 고 2 때는 킬러빼고 다맞췄는데 고3 들어와서...
-
오르비 복귀 8
반갑읍니다
-
첫째로 와꾸 >> 학벌인걸 결혼적령기 놈년들한테 다 퍼져버렸고 둘째로 저출산때문에...
-
강의 존나게 안 올려서 공부 안하는 나같은 사람들이 자기위로하기 좋음 저 대단한...
-
홍준표 "김문수 캠프 상임선대위원장 안한다…내일 미국 출국" 3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9일 자신이 김문수 국민의힘...
-
대학가서 아싸는 아닌거같음 반대도 마찬가지고
-
카이스아나토미 8
뭔대 강의가 3개밖에없음? 이제 막 개강한거임??
-
지불 금액의 수 일반화 해봤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요
-
현실: 1학년은 기본기 점검 및 고학점 폭격, 2학년부터 이론 전공 공부 주구장창,...
-
윤 out되고 나서 다시 나와서 뒤통수칠 수 있을거라 생각하긴 하는데 이미 킬러배제...
-
화가남 내가 계산 안하려고 기하하는데 딸깍 풀이 대령하라고

매 시험마다 저렇게 같은 말만 반복하는거 안지치나..자기들이 예시문항을 만들던가
존경합니다
지원금만 타쳐먹는 쓰레기같은 시민단체들 싹다 없애버려야됨
저런거 올리는 이유도 수능 쿨돌때마다 저런거라도 안올리면 돈을 못버니까ㅋㅋ
장애 집단에 논리로 반박하시는 모습이
존경스러우면서도 측은함이 듭니다..
좋아요 누릅니다
사걱세는 왜케 수학을 싫어할까...국어나 영어갖곤 머라고 안하는데

올해만큼은 반박하지 말아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