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킬러문항' 없다더니…"수학 6문제 교육과정 벗어났다"

2023-12-06 12:00:37  원문 2023-12-06 09:40  조회수 4,06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96423

onews-image

(서울=뉴스1) 서한샘 기자 = 초고난도 문항인 이른바 '킬러문항'을 배제하겠다는 교육당국 방침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16일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에서 고교 교육과정 수준을 벗어난 문제가 6문항 출제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6일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과 강민정·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수능 수학영역 46개 문항 중 6개 문항(13.0%)이 고교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벗어나 출제됐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공통과목 3문항(14·15·22번)과...

전체 기사 보기

해당 뉴스 기사는 BCBCB(1137334) 님의 요청으로 수집 되었습니다.

  • BCBCB · 1137334 · 23/12/06 12:02 · MS 2022

    구체적으로 공통과목 3문항(14·15·22번)과 선택과목인 확률과통계 30번, 미적분 28번, 기하 30번 문항이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했다.
    14번은 교과서에서 볼 수 없는 그래프를 추론해야 해 사교육 교재로 공부한 학생들에게 유리하며,
    15번 수열 문제도 지나치게 복잡하게 경우를 나눠야 한다고 지적했다. 15번에서는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기호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22번은 대학 과정의 함수방정식에 준하는 함수부등식을 제시했다고 분석했다. 또 도함수를 활용해 그래프 개형을 추측하는 과정도 지나치게 복잡해 학생들이 주어진 조건을 해석하고 푸는 데 극도의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확률과통계 30번에서 확률이 최대가 되는 값을 결정하는 과정,
    기하 30번에서 벡터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경우를 파악할 수 있게 식을 변형하는 과정은 공교육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내용
    미적분 28번 역시 함수를 정의하는 방식과 그래프·성질을 이해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어렵고 복잡한 데다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기호가 사용됐다고 했다.

  • BCBCB · 1137334 · 23/12/06 12:03 · MS 2022

    윤석열 거울치료 드가자

  • 민족고대컷 · 1241577 · 23/12/06 12:03 · MS 2023 (수정됨)

    제발 이젠 그만해!!!!!
  • intandstats · 1155605 · 23/12/06 12:05 · MS 2022

    사걱세는 이제 별로 이슈몰이도 안되는거같은데 언론에서 왜캐 좋아하는지 모르겠음

  • 허수현역수시충33 · 1214857 · 23/12/06 12:05 · MS 2023

    수시 바이럴 ㅈ되네 ㅋㅋ

  • 이상성욕자 · 1258801 · 23/12/06 12:06 · MS 2023

    교육과정을 벗어나진 않았던거같은데

  • Team02 · 1217799 · 23/12/06 12:07 · MS 2023

    교육과정을 벗어난 것 같진 않은데 지금까지 수능이랑 걍 비슷함. 킬러 없앤다는 정책은 실패가 맞음

  • 알파카털파카 · 1232888 · 23/12/06 12:13 · MS 2023

    그래 사걱세가 가만히있을리가 없지 ㅋㅋ

  • 예비의대생 호소인 · 1245414 · 23/12/06 13:03 · MS 2023

    이 새끼들은 질리지도 않나

  • micle 0483 · 816938 · 23/12/06 13:34 · MS 2018

    그냥 수능 폐지하는게

  • Ka so JK · 1219869 · 23/12/06 17:24 · MS 2023

    댓글여론보니 그래도 영어는 욕 좀 먹는듯
    내년부턴 정상적으로 출제하겠지..

  • 델린 · 1062118 · 23/12/06 19:02 · MS 2021

    22,28은 좀 어렵긴했음..

  • 0.26% · 1259209 · 23/12/06 22:01 · MS 2023

    22 28은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