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암골 [1253551] · MS 2023 · 쪽지

2023-12-04 11:05:05
조회수 3,677

고대에서 살아남기_고려대 합격자를 위한 "효율적인 생활비 마련을 위한 비대면 과외 플랫폼 추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47385


[3줄 요약]

1. 고려대 신입생의 대학생활을 돕기 위해 노크와 클루의 고려대 선배가 작성한 꿀팁이에요.

2. 더 많은 정보, 선배, 동기를 일찍 만나고 싶으시면, 합격자 오픈채팅방으로 들어오세요!

3. 들어오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어요!!

  https://bit.ly/orbi_korea_passnotice



이번 차시에서는 고려대학교의 다중전공제도(심화전공, 이중전공, 융힙전공)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시작하기 전에, 고려대학교에서 사용되는 '복수전공'과 '이중전공'이라는 용어의 차이점에 대해 명확히 해두고자 합니다. 다른 대학교들에서 일반적으로 '복수전공'이라고 불리는 제도가 고려대학교에서는 '이중전공'으로 불린다. 고려대에도 '복수전공' 제도가 존재하지만, 이는 다른 대학과는 다르게 운영된다. 고려대의 '복수전공'은 제1전공의 졸업 요건을 충족한 후 추가적으로 다른 전공을 이수하는 것이기에 4년 이내에 졸업할 수 있는 이중전공과는 다르게 졸업 기간이 약 1~2년 정도 늘어나며, 주로 이중전공에 진입하지 못한 경우에 복수전공을 대안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통계학과 이중전공을 목표로 했으나 학점이 부족해서 이중전공 신청에 실패한 경우, 1전공 졸업 요건을 마친 후에 학교를 계속 다니면서 복수전공 제도를 통해 통계학과를 복수전공하게 되는 것이다.


고려대학교 학생들은 반드시 졸업을 위해서는 다중전공(제2전공)을 이수해야 하며, 이를 원치 않는 경우에는 제1전공의 심화전공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가령 이중전공이나 융합전공을 희망하지 않는 영문학과 학생의 경우 졸업하기위해 자신의 1전공인 영문학에 대한 심화전공을 하게되는 것이다. 단, 학사 편입생의 경우는 선택적으로 제2전공을 이수할 수 있으며, 일반 편입생은 제2전공의 이수가 필수적이다. 이제 이러한 다중 전공 제도들의 종류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겠다.



1. 심화전공 제도(다른 전공 x 자신의 본전공에 대해 보다 심화적으로 전공하는 제도)

심화전공제도는 본전공(1전공)에 대한 학점을 추가적으로 이수하는 것이다. 본인의 전공이 너무 마믐에 들어서, 혹은 다른 전공에 대한 관심이 딱히 없어서 제2전공을 신청하지 않는 경우, 다른 다중전공제도(융합전공, 제2전공)에 대한 신청이 실패했을 경우, 자동으로 심화전공으로 배정되게 된다. 학과마다 세부적인 학칙은 다를 수 있겠지만, 심화전공 제도를 이수하게 되면 자신의 본전공 학점(대략 20학점 이상정도)을 더 이수하셔야 한다. 전공과목의 학점은 대부분 3학점이기 때문에 대략 9~10과목 정도 된다. 다만, 정말 자신이 심화전공을 할 만큼 본전공에 대한 흥미가 있는지 깊게 생각해보기를 권장한다. 심화전공의 경우 주로 졸업을 위해서는 본전공에서 헬과목(학점따기 어려운 본전공과목)까지 이수해야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그래도, 생각보다 많은 학우들이 심화전공을 전공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인 이유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일단 제2전공이나 금융전공을 전공하다보면 본전공 이외에도 제2전공이나 금융전공에서 요구하는 졸업요건도 또 다로 충족해야하기 때문에 원래 기존에 정해진 졸업이수학점보다 더 초과하여 과목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졸업이 늦어지는 것이 주된 이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남들이 제2전공, 융합전공을 한다고 해서 아무런 계획없이 이를 따라서 전공하게되면 졸업시즌에도 많은 학점을 수강하게되어 후회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니 충분히 고민해보고 지원하자.



2. 이중전공 제도(자신의 전공이외 다른 분여의 학문을 제2 전공하는 제도)

이중전공제도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제1전공을 이수하면서 타 학과의 전공을 제2전공으로 동시에 이수하여 졸업시 2개의 학위를 수여하는 제도'이다. 즉, 졸업장 한 장에 본인의 1전공과 2전공이 동시에 적혀서 나온다. 일반적으로, 두 학기를 다니면서 수확한 GPA(4.5만점)에 기반하여 세 번째 학기부터 이중전공을 신청할 수 있으며(이는 융합전공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편입학의 경우 첫 학기 GPA 성적으로 두 번째 학기부터 이중전공을 신청할 수 있다. 이중전공자의 선발은 각 단과대에서 이뤄지며 모든 절차가 마무리되고 합격자가 발표되는 것은 기말고사 시기 정도이다. 학기마다 뽑는 인원에는 변동이 있고 경쟁률은 따로 알려주지 않는다. 대부분, 비상경계 학생들이 취업을 위해 상경계(고려대의 간판학과인 1. 경영학과(4,2~3 정도 이상 되어야 가능성 있음), 2.경제학과(4.0 정도 이상), 3.통계학과(4.1 정도이상)를 이중전공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 같다. 구체적인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다.

1.고려대학교 '포탈(KUPID)’에 접속 2. ‘학적/졸업’ 클릭 3. ‘학적사항’ 클릭 4. ‘이중전공신청' 클릭으로 들어가서 신청이 가능하다.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지원대학(부), 학과(부)를 선택해서 지원하면 끝이 난다. 학업계획서를 작성하지 않는 학과도 있지만 학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 학과도 있다. 학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경우 '지원동기', '관심분야/관심과목', 학업계획', '기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목당 1,000자 제한으로 4개 항목 총 4,000자의 학업계획서를 제출한다. 4개 항목은 각각 지원동기, 관심 분야, 학업 계획, 기타 특이사항이며 보다 구체적인 양식은 포털에 뜨기에 꼭 참고하기를 바란다. 다만, 여기서 유의하실 점은 학교 포탈은 로그인 후에 시간이 경과되면 로그아웃이 되어 써둔 내용이 다 날라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메모장 혹은 워드에 쓴 후 옮기는 방식으로 작성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특정 학과의 경우 학업계획서에 추가적으로 면접까지 있다. GPA와 학업계획서에 기반해서 면접대상자가 해당학과의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공지된다.



3. 융합전공(본 전공이외에 융합형 학문을 전공하는 제도)

융합전공은 2개 이상의 학과(부) 및 학문분야를 결합하거나 주제들을 중심으로 연결한 전공이다.가장 많은 학생들이 이중전공을 하고, 그 다음으로 융합전공을 많이 선택한다. 비교적 이중전공보다는 경쟁률이 적어서 합격하는 학점 커트라인도 다소 완화된 편이라서 희망하는 이중전공에 불합격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신청하는 경우도 많다. 융합전공의 지원 자격은 이중전공 지원 자격과 매우 동일하다. 다른 다중전공 합격자는 융합전공에 지원할 수 없으며 3학기 이상 등록해야 신청이 가능하며 휴학생 혹은 융합전공을 신청한 학기에 중도휴학시 합격 취소된다.

융합전공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매우 다양하다. 1.기후변화 2.융합보안 3.금융공학 4.인공지능 5. 의료인문학 6. 공공거버넌스와 리더십(공거리) 7. 디지털 매체문화 8.         PEP 9. 정보보호 10. 뇌인지과학 11. 통일과 국제평화 12. 메디컬융합공학 13. 패션 디자인 및 머천다이징 14. 인문학과 문화산업 15. 다문화한국어교육 등등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주로, 주변 학우들을 보면 로스쿨에 입학하기위해 '공공거버넌스와 리더십(공거리)'을 융합전공으로 많이 선택한다. 공거리는 법학 관련 과목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융합전공이므로 로스쿨의 정성 및 정량요소를 채우기위해 학우들이 많이 선택하게 되는 것 같다. 또한, ‘금융공학’도 많이 지원하는 추세이다. 취업을 위해 상경계열을 전공하고는 싶지만 경쟁률이 높은 경영학과, 경제학과, 통계학과를 쓰기에는 다소 학점이 부족하기에 비교적 경쟁률이 적은 금융전공을 대안으로 학생들이 많이 지원한다.








더 많은 정보, 선배, 동기를 일찍 만나고 싶으시면, 
합격자 오픈채팅방으로 들어오세요!

합격자 오픈채팅방으로 들어오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어요!!


https://bit.ly/orbi_korea_passnotice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