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투자드 [1141572] · MS 2022 · 쪽지

2023-12-02 17:43:24
조회수 1,912

이거 노벨 경제학상 감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17387

제목은 어그로고


뭔가 분명히 나랑 똑같이 생각한 사람이 이미 연구해서 논문 냈을것 같기는 한데


요새 열역학 공부하다가 갑자기 이걸 경제학에서도 써먹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거임


열역학에서 이상기체(분자의 크기가 0이라고 가정하고 분자간 인력이 없다고 가정한 이상적인 기체)의 경우에는 연구해보니 pV = nRT 라는 식으로 다 설명이 되고

여기에 더 나아가서 엔트로피를 dS = dq_(rev)/T 라고 정의해서 기체의 주어진 상태에서 자발적인 흐름을 설명해내잖음

물론 실제로는 분자의 인력이 존재하고 분자의 크기가 0이 아니기때문에 이들의 충돌이 만들어내는 압력의 증가량까지 고려해주어야 하고 이를 보정한게 반데르발스상태방정식이고 여기에 더 나아가서 이것저것 고려할걸 추가할수록 정확한 상태방정식이 나오는거고


아무튼 비슷한 논리로

아주 이상적인 행동을 하는 인간들만 시장에 참여한 이상적인 주식시장에 대해서도 위에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만

든것처럼 이상주식시장상태방정식 이런것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음.

이게 안되더라도 현재 시장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들을 변수로하는 미분방정식을 세우면 현재 시간대의 시장가 기울기를 알 수 있고 여기에 선형근사를 적용하면 아주 짧은 미래에 대해서는 오차가 적은 함수값을 예측해낼 수도 있을거고


방이 두 개 있고 이 방의 한쪽에만 공이 잔뜩 채워져있고 다른 한쪽이 비어있는 상태가 있다고 했을 때

두 방 사이를 막는 문을 개방하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사건이 일어날테니 공이 많은 방에서 흘러나와 양쪽 방의 평형을 유지하려고 할거잖음.

마찬가지로 현재 시장상태에서 시장이 평형상태에 있지 않는 이상 불균형이 있는 부분이 있을거고

그 불균형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이용해 함수를 잘(?) 찾다보면 특정 시간에서 시장가격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얻을 수 있을거라고 봄


어디까지나 이상적인 시장에서 행동양상이고

실제 시장에서는 세력들이 좌지우지하는것도 있을거고

국제 정세처럼 반영 안했던 변수들도 작용할거고 복잡하겠지만

보편적으로 대충 들어맞는 방정식을 만들어놓고

위에서 반데르발스방정식으로 발전시킨것처럼 점점 고려하는걸 늘려가면서 방정식을 고쳐나갈 수 있을테고...


내가 100년만 일찍 태어났으면 경제학자 하는건데 까비네


작년에는 미분방정식 공부하다가 아래 사진같은 규칙 발견해서 신나서 수학그룹에 올랴봤더니 크레이머 룰이라고 이미 있는거라고 해서 실망했었는데...

이 아이디어도 누가 이미 잔뜩 연구해놓은거겠지??

0 XDK (+11,000)

  1. 10,000

  2.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