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 물리학 질받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12261
4.x/4.3
자대 대학원 실험랩 진학 예정
물리학과 커리큘럼, 진학해도 되는지, 생활
아니면 그래서 양자역학이 뭐냐! 뭐가 젤 어렵냐!
아무거나 질문 ㄱ
원서시즌동안 계속 틈틈이 질문 받을 듯
전 글들 댓글들에도 좋은 문답이 있으니 참고 바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흥~
-
영어는 고정1임
-
개추 1
드디어 풀렸구나
-
게이밍 노트북왔다 26
-
센츄... 0
리 스프!!!
-
나도 뱃지 달면 1
은테 벗어날지도..? 칼럼도 쓴다면..?
-
꼭해야함
-
재수학원 0
아파트 1층부터 건물 앞 신호등까지 5분
-
1+1=3
-
자율전공인데 성적제한이 있음 그레서 내가 1지망으로 원하는 학과에 들어갈수 있을지...
-
원래 있던 영언진 아는데 갑자기 막 어느순간부터 유행어처럼 쓴거같은데
-
올해안에 금테 1
가능할까여?
-
그냥 피지컬로 맞춰버리는데 이래도 되는걸까요..? 재수때 삿던 뉴런 이번에 수능...
-
8시간 하니까 5
못하겠다 쉬면서 오르비에 글싸지르고 다시 수학하고 ㅠㅠ죽겟네
-
생명과학 좋아해서 생1 공부할 때 내용자체는 재밌어하는 반이과틱?한 사람인데 윤리,...
-
사망직전 2
-
서로 비밀로 하기로함 ㅎㅎ
-
[단독] 미국행 러시는 없었다…'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4
[앵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사이에선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를 하면 된다는 반응도...
-
특정되도 알빠노? ㅋㅋ 진짜 특정되면 좆되는 새끼는 장수생에 병신일베페미글 싸지르는...
-
제가 뉴런 내용을 확실하게 체화 하고있는지 알고싶습니다.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
쉽지 않나요 심지어 프사도 같은걸로..
-
공부 많이 했는데 오늘..
-
다들 공부하다가 0
한번씩 정신병 올 것 같을 때 어떻게 대처하나요?
-
매일같이 특정당하는중 21
이제는일상과도같음
-
"대학 절반만 갈래?"
-
뀨
-
왕복 두시간임 광역버스 타고 지하철 갈아타서 가는 학원은 수능날까지 체력이 너무...
-
불쌍하네
-
아무리봐도 안할 이유가 없는데
-
다른과목 봐도 서울대갈정도의 실력이 아닌거같은데 허구한날 내신 cc인가요 bb인가요...
-
맞팔구 2
ㄱㄱ
-
전담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외계인 느낌남 에일리언도 아니고 ㅡㅡ
-
고1~고3까지 국영수(미기확 다) 통과 통사 포함하여 수능보다 쉽게 봐서 평가하는...
-
https://orbi.kr/00072134399#c_72134635 요거 쓴...
-
매수업마다 덤앤더머찍음 어이거왜안되지 어이거왜계산안되지 어뭐지...
-
전 사격선수 하고 싶었는데, 가정을 부양해야할 의남자는 전문직이나 대기업 혹은 자기...
-
걍 해설지랑 책 n회독하면서 중요작품 열심히 공부하면 굳이 살 필요 없긋죠?
-
이미지 적어드림 39
밖에 있는데 배터리 없어서 응답엔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음
-
시간 지나도 덤벙거릴까봐 걱정되네
-
짬@뽕하네 8
-
오르비 화력 테스트 10
-
새내기) 안읽으면 후회하는 현실적인 정보글(뻔한거아님) 4
1. 주택청약 가입하기 내집마련, 너무 먼 얘기 같나요? 주택청약은 일종의 적금...
-
[유석재의 돌발史전] 서울과 도쿄의 시간이 같다... 이것도 ‘친일 잔재’인가 0
1896~1911, 1954~1961년의 시간은 지금보다 30분 느렸다 유석재의...
-
응원해주세요 7
응원 받고 싶어요
-
공수2 명제 4
재수생입니다 공수 복습돌리고있는데 명제까진 안해도 상관없겠죵? 집합은 할거고 확통할 예정이에여
-
하양고시도 있나여?
-
나 아기니까 나 대신 과외 가
수능 물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시덥잖은 걸 이상하게 꼬아놓은 퍼즐?
수능 물리는 물리학 교육이 우선(또는 목적)이 아니라고 생각함
중간에 탈주하는 사람 많나요??
한 학번에 둘 정도씩? IT나 데이터 쪽으로 가는 것 같아요
복잡계 물리 쪽으로 인턴 하면서..
양자컴퓨터 쪽도 잘 아시나요?
현재 어느정도까지 도달했는지 궁금한데..
양자컴퓨터 꽤나 알죠. 큐비트를 만드는 플랫폼 4종류 중 하나가 제 분야기도 하고..
근데 솔직히 다들 생각하는게 양자컴퓨터는 좀 스캠 같긴 합니다. 저는 솔직히 도달 이런게 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상용화 또는 최소한 응용이라도 가능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보여요
아무튼 최근에는 큐비트 수를 늘리는 것보다 오류 처리가 더 중요한 문제라, 그걸 많이들 보고 있는 것 같아요
조셉슨 정션 초전도체 기반이 나름 좀 유망해보이기도 하고요
물리학의 매력
물리학과 학부를 졸업할 때 쯤 되면 자연을 일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논리 체계가 탄탄하게 세워집니다.
지금 시점에서는 이게 제일 매력적이라고 생각되네요
카이붙고 포공가는 사람 있나요?
제가 그 케이스였어요
이유가 따로 있나요? 흔한 케이스는 아닌것 같아서요
집도 가깝고 선배, 동기들도 많아서
물리 안 배운 사람이 일물할려면 힘든가요?
대부분 힘들어하더라고요
물리학적으로 사고하기가 갑자기 되는게 아닌지라
물론 당연히 랩바랩이지만 그래도 순수학문은 카이가 강세인걸로 알고있는데 학부석사 다 포공으로 가신 이유가 뭔지 여쭤봐도 될까요?
현장에 있는 입장으로서는 카이가 특히 순수학문이 강세인지 잘 모르겠습니당..
'당연히 랩바랩'이라고 하셨지만, 그래도 잘 가늠을 못하시는 것 같아서 말씀드리자면
제 연구분야 연구실은 전국에 S P K 세군데 있습니다. 세부 연구 분야는 당연한 이야기지만 좀 달라요.
좁은 연구분야라 서로서로 다 아는 사이(말 그대로 한다리 건너 사이)라 각 연구실의 각 팀이 어떤 식으로 구성된지도 파악할 수 있어서 그 점을 고려했고, 세부 연구분야 중에 제가 학부 저학년 때부터 의구심을 가지던 분야를 연구하는 분야가 P밖에 가능하지 않다는 점도 고려했습니다.
연구실 형들이랑 학부 인턴하면서 친해지고 시스템에 익숙해져서, 적응 필요없이 바로 투입이 가능한 점도 있고요
물론 포항에서 4년간 쌓은 인간관계도 중요하고요.(솔직히 연구실 간의 얼마 안 되는 차이보다는 이게 더 큰 요소인 듯 합니다 ㅋㅋ)
이게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대학원 진학에서 어느 학교, 어느 학교 비교할 수 있는 요소는
- 지리적 위치
- 행정적 요소(수업료, 인건비의 상한, 수료 여부 등)
- 생활적 요소
외에는 딱히 없는 것 같아요. 다른 이야기를 꺼내는 사람이라면 대학원 입시를 해본 적 없는 사람이거나, 그냥 남들 따라서 스펙으로 대학원에 가는 사람입니다.
아하 저는 전적대 공대에서 학부인턴하며 대학원 진학을 진지하게 생각해봤었거든요ㅋㅋ. 결국 대학원 진학은 안하고 반수해서 약대로 넘어갔기에 약간 겉핥기식으로만 알긴합니다ㅎ
포 스 테 키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