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람 [573665] · MS 2015 · 쪽지

2015-09-20 21:01:52
조회수 349

수정합니다) 10시 하루 7선지로 보는 한국사(5)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50437

*******************************

1번문제 근대교육기관과 근대관립학교의 구분이 불명료하여 삭제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국가가 세운

국가가 세운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동문학

최초의 근대관립학교는 육영공원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원산학사

라는 견해가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더 아시는 분 말씀해 주세요.

***************************************


오늘은 해설이 빈약합니다. 죄송합니다.

어제(4) 해설 OOOOOX입니다.

2.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원산학사이다.

3. 순종황제 즉위식은 경운궁에서 치루어졌다.

4. 조선총독부 건물은 김영삼 정부때 철거되었다.

5. 신문지법은 개정후에 신한민보에도 적용대상이었다.

6. 임진왜란 때 불타지 않은 곳의 사고가 있는 도시는 한 때 후백제의 수도였다.

7. 한미 FTA는 노무현 정부때 비준되었다.

해설) 한미FTA는 노무현 정부때 타결되었고 이명박 정부때 비준되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늘의 7선지(5)

1. 임진왜란 이후 강화기에 훈련도감과 속오군이 편성되었다.

2. 백제 부흥운동은 복신, 도침, 검모잠이 주도하였다.

3. 동학은 철종때 창시되었다.

4. 삼일운동과 같은 해에 대한독립선언서가 발표되었다.

5. 관세 철폐와 같은 해에 회사령이 폐지되었다.

6. 김규식은 미군정 때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참여하였다.

7. 독사신론이 발표된 해는 최남선이 해에게서 소년에게서 발표된 해와 같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수정합니다.

1번 문제는 '임진왜란 이후 강화기'라는 표현보다는 '임진왜란 중의 강화기'라고 표현하는게 더명확할꺼 같습니다
실제로도 이후가 아니라 중이니까요...

4번 문제는 오류입니다. 대한독립선언서는 음력으로 표기하냐 양력으로 표기하냐에 따라서 1918년과 1919년으로 나뉠수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불타는상추 · 535325 · 15/09/20 21:11 · MS 2014

    0x0xx00?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2:38 · MS 2015

    오 ㅎ ㅎ정답입니다!

  • 한국사람 · 573665 · 15/09/21 23:58 · MS 2015

    1번 문제는 '임진왜란 이후 강화기'라는 표현보다는 '임진왜란 중의 강화기'라고 표현하는게 더명확할꺼 같습니다
    실제로도 이후가 아니라 중이니까요...

    4번 문제는 오류입니다. 대한독립선언서는 음력으로 표기하냐 양력으로 표기하냐에 따라서 1918년과 1919년으로 나뉠수 있습니다

  • 김부와 · 554433 · 15/09/22 00:11 · MS 2015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사이의 강화기에 설치된거아닌가요? 그렇게보면 임진왜란이후라고 볼수있는거같은데..좀 가르쳐주세요!

  • 한국사람 · 573665 · 15/09/22 00:19 · MS 2015

    네 생각하신 것이 맞습니다.다만 임진왜란을 크게 보면 정유재란을 포함하는 개념으로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표현상의 문제가 있을까 생각해서 수정하였습니다. 생각하신 부분이 맞습니다.

  • 내가싫다아 · 538984 · 15/09/20 21:25 · MS 2014

    xxooxoo

  • ybmania · 546076 · 15/09/20 21:34 · MS 2014

    대부분 연도문제네요..불럭으로 묶을수있는것보단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2:37 · MS 2015

    넵 확인하시라는 차원에서 내는 문제입니다!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9/20 22:38 · MS 2014

    Oxoxxoo?
    마지막은 너무한데..
    6번도 미군정 포고인지는 좀 지엽느낌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2:47 · MS 2015

    음 ... 그러네요.. 수정했습니다.감사합니다.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9/20 22:53 · MS 2014

    아 아뇨 수정할필요는..ㄷㄷ지엽이면 좋죠 ㅠㅠ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2:55 · MS 2015

    제 교재에도 없어서 ㅜㅜ
    최태성 샘이 말해주신 수능완성10분심화에 나오는
    어려운 내용 위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래서 지엽인 것 같아요..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9/20 23:02 · MS 2014

    어려운거로 계속 부탁드립니더..
    글 전부 스크랩중이예요 ㅋㅋㅋ

  • 한국사람 · 573665 · 15/09/22 00:00 · MS 2015

    1번 문제는 '임진왜란 이후 강화기'라는 표현보다는 '임진왜란 중의 강화기'라고 표현하는게 더명확할꺼 같습니다
    실제로도 이후가 아니라 중이니까요...

    4번 문제는 오류입니다. 대한독립선언서는 음력으로 표기하냐 양력으로 표기하냐에 따라서 1918년과 1919년으로 나뉠수 있습니다

  • 기러기는 맴맴 · 521180 · 15/09/20 23:18 · MS 2014

    동문학은 최초의 근대 교육 기관 맞는 걸로 압니다. 수능특강에서도 외국어 교육 기관이라고 나와있네요. ㅎ 육영공원은 최초의 근대 관립학교이고요. 교육 기관이랑 학교랑 같은 의미는 아닌 것 같은데 확인 부탁드려요.~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3:19 · MS 2015

    아..넵 감사합니다!!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3:39 · MS 2015

    최태성샘이 오개념 말씀하신 것 같네요.동문학도 근대교육기관으로 보는게 맞는 것 같아요. 그리고 견해에 따라 동문학도 관립학교로 보기도 하지만, 근대관립학교로서의 의의를 갖는 것은 육영공원인가 보네요..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 기러기는 맴맴 · 521180 · 15/09/21 00:22 · MS 2014

    아닙니다. ㅎ 매일 유익한 문제들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국사람 · 573665 · 15/09/21 00:26 · MS 2015

    감사합니다. 또 애매하거나 틀린 문제, 부가설명이 하실 것 있으면 도와주세요!

  • 한국사람 · 573665 · 15/09/21 23:59 · MS 2015

    1번 문제는 '임진왜란 이후 강화기'라는 표현보다는 '임진왜란 중의 강화기'라고 표현하는게 더명확할꺼 같습니다
    실제로도 이후가 아니라 중이니까요...

    4번 문제는 오류입니다. 대한독립선언서는 음력으로 표기하냐 양력으로 표기하냐에 따라서 1918년과 1919년으로 나뉠수 있습니다

  • 김부와 · 554433 · 15/09/20 23:28 · MS 2015

    동사서독에서도 근대교육기관 카테고리안에동문학이 묶여져있던거같네요

  • 한국사람 · 573665 · 15/09/20 23:35 · MS 2015

    헐 죄송합니다..ㅜㅜ 확인 감사합니다. 최태성이 오개념 가르쳐줬네요..

  • 한국사람 · 573665 · 15/09/21 23:59 · MS 2015

    1번 문제는 '임진왜란 이후 강화기'라는 표현보다는 '임진왜란 중의 강화기'라고 표현하는게 더명확할꺼 같습니다
    실제로도 이후가 아니라 중이니까요...

    4번 문제는 오류입니다. 대한독립선언서는 음력으로 표기하냐 양력으로 표기하냐에 따라서 1918년과 1919년으로 나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