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B 30번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49974
왜 미분가능성을 판단할때 x=-1 에서만 하죠?
그냥 절댓값f(x)면 x=-1에서만 미분가능성 판단하는게 당연히 맞는건 알겠는데
그뒤에 무슨 x의 k제곱 꼴로 새로운 합성함수가 있잖아요. 그것도 x=-1 일때 빼고 전 구간에서 미분가능인지 어떻게 파악하는건가요?
문제를 어떻게 푸는건진 알겠는데 저런 세세한 논리가 약간씩 걸리네요. 한번에 확 와닿는 느낌이 안들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케 고침? 나도 다리 떨면 남들한테 민폐인거 알아서 고치려하는데 엄청...
절댓값을 제외하고 본다면 f(x^k)가 모든 부분에서 미분가능이므로, 절댓값 좌우로만 신경쓰면 되니까요..
두 미분가능한 함수의 합성은 미분가능하다 라고 교과서에 서술되어져있음. 문제에서는 x=-1제외겠죠
아아아아 이거에요 이거 ㅜㅠㅜㅠㅜㅜㅠ 감사합니다 명쾌하게 이해했어요
좌미분과 우미분이 같아야 한다는걸로 생각 하시면되요
모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