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통계학 아시는분 질문좀요 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306625
일단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학인 부탁드려요...!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귀무가설을 판단할때,
1. 임계치와 검정통계량을 비교하거나
2. 유의수준과 유의확률을 비교한다
근데 제가 궁금한게 어떨 때 1번을 쓰고 어떨 때 2번을 쓰는지랑,
유의수준은 그냥 a-risk, 유의확률은 검정통계량을 이용해 구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왜 굳이 2가지 방법으로 나눈건지
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약대시험(peet) 준비할려하는데 대학 과 어디가좋죠??? 1
1,2번에 답해주세요1. 가장이상적인과는 어딘가요??2. 유기나노공학(한대) 여긴 어떤가요??

이거 몇학년꺼죠고학년느낌이
1학년임미다..
퀀트 공부한 지 좀 돼서 부정확할 수 있는데
1은 단순하게 귀무가설이 기각될 확률을 구하는 거고
2는 sampling을 통해서 얻은 표본들이 귀무가설이 참일 때 이걸 기각시킬 확률(1종오류)이 어느정도 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1이 그냥 확률이면 2는 조건부 확률의 느낌이랄까요
으음...! 대충 느낌은 알 것 같은데...
단순히 귀무가설의 기각 여부 판단에는 아무거나 사용해도 무방하고 귀무가설이 참일 때의 1종오류 확률을 정확히 알고 싶으면 2번을 쓴다 정도로만 이해해도 될까요..?
네 맞아요~
bingb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