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르토르르 [1264324] · MS 2023 · 쪽지

2023-11-14 10:34:48
조회수 1,922

동아시아사 사료문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104938

출처는 Easy한 독도바다님 easy한 동아시아사 32제의 23번 문제 입니다!!!!!!!!!!


사료에서 말하는게 북로남왜상황일까요?! 첫번째는 밀무역..?? 두번째는 왝ㅜ..?! 잘 모르겟어요ㅜㅜ 알려주실수 있나요?!

그리고 양명학 집대성은 15세기말에서 16세기 맞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홍 은 채 · 1252658 · 23/11/14 10:41 · MS 2023

    오가작통법 아니면 이갑제 같습니다.

  • adsdsdw · 1201050 · 23/11/14 10:42 · MS 2022

    북원이 원나라가 명나라에 쫒겨나고 남은 무리를 일컬고 뒤에 왜구 나온 것 까지 보면 북로남왜 같습니다

  • 토르토르르 · 1264324 · 23/11/14 10:59 · MS 2023

    북원보고 왜 원이라고 생각을 못햇을ㄲ요!!!ㅋㅋ큐ㅠㅠ 감사합니다!

  • 홍 은 채 · 1252658 · 23/11/14 10:46 · MS 2023

    12번이 힘들다고 생각하는게 감합무역을 실시한 이후에 왜구가 줄어서..아닌가 싶어요

  • 토르토르르 · 1264324 · 23/11/14 10:58 · MS 2023 (수정됨)

    감합무역이 15-16세기중엽이잖아요! 세기가
    그리고 북로남왜는 만력제시기 16세기 후반으로 알고 있는데!!! 혹싀 감합무역으루실시한 이후 왜구가 줄어든다고 말씀하신고 이유가 뭔가요?! 제가 잘못 알고있다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아까부터 계속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idddididd · 1263681 · 23/11/14 11:03 · MS 2023

    명나라는 본래 해금정책을 펼쳐서 무역을 소극적으로 했는데 이거때문에 일본 상인들이 자유롭게 명과 무역을 못하니까 일본상인들이 왜구인 척 하면서 무역을 해왔던겁니다.
    명이 감합무역을 한 이후로는 굳이 일본 상인들이 왜구인 척을 할 필요가 없죠 왜냐면 감합 발급받아서 전보다 편하게 무역을 할 수 있으니까.

  • 토르토르르 · 1264324 · 23/11/14 11:09 · MS 2023

    아!!!!!! 그래서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14-16세기 후반 해금정책이고
    15-16세기 중엽 감합무역으로 상인들이 무역을 할수잇으니깐 왜구가 좀 줄었다가 다시 16세기 후반에 감합무역도 막히고 해금정책하니깐 북로남왜 형상이 나타난걸까여?!!!

  • 홍 은 채 · 1252658 · 23/11/14 11:11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홍 은 채 · 1252658 · 23/11/14 11:14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홍 은 채 · 1252658 · 23/11/14 11:17 · MS 2023

    저거 명초기, 고려시대 같아요.
    답 4번인건, 승려가 전달을 해서 연구를 시작한건 14c초입니다. 그래서 답 4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