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너스 [524340] · 쪽지

2015-09-09 14:53:47
조회수 3,306

(현역을 위한)수시 원서 접수, 그리고 담임의 계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03385

벌써 9월 평가원 모의고사를 치고 수시 원서 접수 기간이 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수시 지원을 위한 몇가지 조언을 해드리려 합니다.

1.수시의 기준
수시 원서를 쓸 때에 상향/적정/하향 등을 정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의 자신의 위치입니다. 물론 수능 때에 점수가 달라질 수 있지만, 그나마 당신의 수능과 가장 근접한 시험은 9월 평가원 모의고사입니다.

2.논술이란(자연계열 한정)
논술 시험을 응시하는 학생은 세 부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괴수' 입니다. 이전부터 학원/학교에서 실시하던 모의논술에서 두각을 드러 냈으며 결국에는 실제 논술에서도 당연하다는듯이 합격을 합니다. 이런 학생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두 번째는 '일반인' 입니다. 그냥저냥 공부해서 합격하면 좋고 안되면 그만인 정도의 실력입니다. 대부분 이정도의 실력입니다.
세 번째는 '벽돌' 입니다. 합격할 가능성은 없으며, 벽돌을 학교측에 제공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런 학생들도 참 많습니다.

'수리논술' 같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여러분이 모르는, 처음 보는 것이 나오게 됩니다. 또한 수 차례의 하향으로 인해 대학 개념을 알아야만 풀 수 있는 문제의 비중이 매우 적어지게 되었습니다. 결국 그날 컨디션이 좋아서 술술 풀리는 사람이 승리한다는 겁니다. 논술에 너무 비중을 두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일반인'에게는 완벽한 로또니깐요.

또한 각 학교마다 최저의 기준이 약간 다른데, 잘 알아보고 지원하시길. 학생부 점수도 미약하긴 하지만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칩니다. 이런 사소해 보이는 부분을 놓치지 않도록 하십시오.

3.어느 정도 수준의 학교를 써야 할까?
일단은 수시때 하향은 쓰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정시에서 충분하게 합격할 수 있는 학교를 수시에 지원하여 기회를 날려먹는거만큼 멍청한 짓은 없습니다. 혹시라도 불안감에 하향을 쓰시려면 수능 이후에 인위적으로 불합격을 받을 수 있는 전형에 지원하십시오. 납치 당하면 울고싶을겁니다.

제가 제일 추천하는 수시는 적정/소신/소신/상향/상향/개상향 입니다. (정시에 가능성이 있는 학생의 경우)
당연한 이야기지만 수시로 대학을 꼭 합격해야 하는 학생이면 적정/적정/적정/소신/소신/상향 정도를 추천하겠습니다.

4.교사의 역습
사실은 이 이야기가 제일 하고싶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등학교의 담임 교사들은 양심을 밥에 뚝딱 비벼드신 것 같은 언행을 보여 주십니다. 수시에 하향을 써라! 라는 개소리를 주로 시전하시는데요, 어떻게 해서든 무시하셔야 합니다. 이런 부류의 교사들이 주로 써먹는 레파토리는 이전에 졸업생들이 자신(교사)의 말을 듣지 않고 마음대로 수시를 썼다가 재수를 하거나 더 낮은 학교에 입학했다는 이야기인데요, 잘 생각해보면 이상한 논리가 개입돼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대학을 못 간건 수시때 하향지원을 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수능을 못봐서 입니다. 이런 거짓말에 속아 넘어가서 하향지원을 하고 납치당하면 피눈물 납니다.
수시는 3번에 제가 쓴 이야기처럼, 하향은 쓰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목표대학 진학을 응원합니다.


무분별한 비난,태클은 사양합니다. 혹시 글에 부족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실시 반영하여 글을 수정하겠습니다.


p.s. 혹시나 제 글을 읽고 수시를 쓰고 수능을 못봐서 원하는 대학 진학에 차질이 생긴다면, 그것 역시 수능을 못본 당신 잘못입니다. 하향지원을 안한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