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수특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988289

ㄴ 선지 이해가 안돼요
B가 대륙이고 경계가 해령이면 호상열도 생기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개발팀이에요 오늘은 이거 홍보하려고 왔어요 대학AH 에서는 여러분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988289
ㄴ 선지 이해가 안돼요
B가 대륙이고 경계가 해령이면 호상열도 생기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안녕하세요 개발팀이에요 오늘은 이거 홍보하려고 왔어요 대학AH 에서는 여러분이...
해령인데 왜 호상열도가 생기죠
그건 수렴형 경계인 해구에서 생기는 건데
해령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고있느너 아닌가요?..
죄송합니다. 그래프 (나)의 불연속점에서
우극한은 대륙판, 좌극한은 해양판을 의미합니다.
즉, 대륙판이 B의 왼쪽으로 형성 되어있고
B의 오른쪽에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형성되고 있으니
ㄴ은 해령이 맞고, B 지점에서 새로 생긴 해양 지각이 대륙판에 섭입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B와 ㄴ 사이가 아니라,
B의 왼쪽에 습곡 산맥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뭔가 이상한데..위에 있던 말 잊어주세요 습곡 산맥 설명은 잘못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처음 말은 단순히 해령ㅡ호상 열도로 곡해해서 잘못 얘기한 거였어요 죄송합니다
A가 해구이고 B가 발산형 경계잖아요
아니 B쪽 경계
b와 ㄴ사이에 연령이 확 달라지는 부분에서 해양지각이 연속되지 않고 뭐가 있다 라고 추측하라는거 같네요
위에 애들 뭐라노 ㅋㅋ ....참고 ㄱㄱ
오른쪽 그래프 보면 판의 경계에서 B쪽으로 갈때 연령이 점차 많아지다가 갑자기 급격하게 많아짐
즉 저 경계는 발산형 경계이고 사진같은 상황임
단지 한 판 안에 대륙이랑 해양이 같이 있는 거임
B랑 해령 사이에 해양에서 대륙으로 바뀌는 지점이 있긴하지만 어차피 같은 판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안 만들어짐.
단지 같이 왼쪽으로 이동할 뿐
오옹! 완전 이해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