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961430
종교를 일단은 아무 근거 없이 집단의 대부분이 가지는 믿음 정도로 정의합시다.
근본적으로 아주 파고들다보면 사람들이 아주 대부분의 교수조차도 그냥 그렇다고 믿고 가는 부분이 많음
아주 간단하게 생략해서 예를 들자면, 우주론 하시는 분들은 초기 우주의 엔트로피가 낮았다가 현재로 엔트로피가 높아졌을 것이라고, 아무런 근거 없이 믿고 있음
그런데 사실 경우의 수만 따지면, 엔트로피가 낮았다가 높아질 경우보다 높았다가 높아 있을 경우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음
막말로 우리가 통속의 뇌같은 존재고, 우리를 이루는 분자들이 다음날 다 분해될 확률이 그렇지 않을 확률보다 훨씬 높음
아무튼 그런 걸 적절하게 설명해줄 근거도, 이유도 없지만 모든 물리학 사회의 사람들은 그냥 믿고 있음
애초에 엔트로피를 Micro-canonical ensemble의 가짓수에 로그를 취하고 적절한 상수를 곱해 정의하는데, 그래서 마이크로 캐노니컬 앙상블을 우리가 잘 정의하고 있나
우리가 우주 전체의 양자역학적인 앙상블을 잘 정의하고 그것을 관찰할 수 있나
관찰할 수 없는 물리량을 포기해야 하는게 마하와 아인슈타인으로부터 내려온 기조이지 않나 물론 진짜로 그러한다면 우리는 물리에서 많은 설명들을 포기해야 하겠지만..
저런 내용이 볼츠만 시대에 잘 논의되던 내용들임
그러니까 당시에 저런걸 거부하던 사람들이 많이 있었고, 당시 학자들이 많이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되는 이유가 되지 않았나 싶음
이제는 다들 그냥 믿는 영역에 있으니 그러지 않지만
물론 현대에도 그런 종교적 믿음에 반하는 사람이 앖지 않음
아는 수학하시는 분 중에 '그걸 믿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이유로 선택공리를 거부하시는 분이 있으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기분언매 듣고있는데 복습을 하긴 하거든요 님들 공부할때 모든 컨디션을 외울때까지...
-
사람들 원글 자체를 아예 안 찾아보고 제목과 내용 대충 본 다음에 욕하구나...
-
지금 나온 방 잡아야할지. 그후 기숙사가 나오면 어쩌지?싶어서요. 가능성 있을까요?
-
❤️ 4
-
간메추 ㄱㄱ 1
나라면 이걸 먹을거다. 두개 동시에 먹으면 혈당 터져 죽음 ㅠㅠ
-
충치 사라지나요?
-
알리줘잉마잉
-
여르비 ㄹㅇ 부러운거 16
뻘글써도 댓글달림
-
공부안되고 우울띠해서 지금 부산에서 바로 서울 올라갈건데 버스? 노선 잘 아시는 분...
-
수학 수1,2 세젤쉬 끝났는데 그다음으로 정승제 개때잡 들으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
이건 그냥 미니 비문학이잖아
-
옵만추해보고싶다 1
-
딱 부모님 지원 받는 재수생하고 싶어
-
그래도 큐레이셔언이를 사랑해주자
-
겠냐?
-
중앙대 도시공 718 21.5%
-
뭔가뭔가임
-
시대 다닌 뒤로 꼬질함이 사라지지가 않음 잘 씻고 꾸며도 꼬질꼬질함 묘하게
-
스타팅 블록 2
스타팅 블록(Starting Block) '시작을 막는다' 김범준 스블 아이디어...
-
투투기준
-
소신발언) 22
과고영재고에서 의대간다고 욕하는거 이해 ㅈ도안댐
-
마지막 15명 맞팔구 10
날마다 돌아오는 맞팔구~
-
기하응시해보고싶음 +물2 지2
-
머쓱해용
-
기출많이 파보신분들 알려주세요 체감이 되나요?
-
퇴근까지 3시간 2
-
천재가 의대가서 6
탈모약, 비만약 만들어줬으면...
-
아침 먹어야지 12
배고파
-
좋아요 80개도 받아보네
-
내친구중에 언미물생 51212 있는데 국어해야 한다고 물리를 사문으로 바꾼다던디
-
얼마나 타격임?
-
지금 일어났네 0
으아아아
-
의과학이나 의사도 희생한다 이런 얘기를 하려는게 아니구 애초에 천재가 천재 되는데...
-
??
-
메가환급 0
가채점이야 뭐 지금이라도 하면 되는데 모의지원 못한건 어떻게든 만회못하겠죠?
-
학사경고 받으면 나중에 취업할 때 불이익 있나요!? 1
기록 남는걸로 아는데 불이익 있나요?
-
첨부터 너무 빡세게 생각하면 하기 시로시로
-
그러면 미련없이 죽을텐데
-
국민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국민대25][학생증발급]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국민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국민대학생, 국민대...
-
대성에서 김범준t랑 스타일 젤 비슷한 강사분이 누구인가요? 2
김범준 풀커리 가려고 했는데고지금부터 밀리는거 보고 스블이랑 기출분석 다 하려면...
-
매일매일 열심히 공부에 올인하고는 있는데 내가 이해가 남들보다 느리고 성적도...
-
천재가 의대간다고 곡소리 낼 필요는 없는것같아요 하고싶은 연구도 하면서 하방까지...
-
보호 1
2ㅣ
-
규정은 저번주 글 참고
-
의대 25학번은 새터나 신입생들끼리 얼굴은 봤나요? 1
동기들 보고 선배들 누군진 알고 동아리는 어떻게 들긴 했었나요?
-
물가가 살벌해요 3
다이소빼고 갈곳이 없어요
-
윤석열 윤석열 하고 소리지르는데 ㅅㅂ 이거 맞냐
-
위 상황에서 두 각을 더해서 (2n+1)파이가 되는 경우가 왜 존재하지 않나요?...
요새 하는 생각들을 정리하지 않은 채로 주저리주저리 써봤는ㄷ 더 생각이 많아짐
몇몇 역사언어학도 그런 감이 있음. 뚜렷한 근거 없이 걍 믿음. 그렇게 언어가 발달해 왔겠지 이런 느낌
알 수가 없는 부분이니까. 너무 태곳적으로 가면은 아예 논의가 불가능하니까 대충 합의점? 비슷한 걸 놓고 얘기하는 거 같은데 되게 궁색하게 느껴짐. 어쩔 수는 없겠지만
저도 저번에 산을 타면서 절을 보다가 불교와 물리학이 닮은 구석이 있다는 생각을 잠깐 했었는데
물리학은 이론에 대한 신뢰와 연구, 그걸 증명하는 실험으로,
불교는 종교적인 수행과 부처에 대한 믿음으로
세상의 진리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고 느껴지더라고요
중요한건 둘 다 모두 근본적인 부분에서는 아무런 근거나 정당화 없이, 그냥 그럴 것이라고 믿는 부분이 있다는거죠
그렇죠, 물리도 뭐
자기홀극은 없으니까 자기장에 대한 곡면의 면적분은 0이라거나 하는 등의 누군가의 정의나 이론을 정당화 없이 사용하는게 있죠
실제 현상과 일치해서 잘 설명하기만 하면 되니까 그렇겠지만요
언젠가 세상 당연한 어떠한 것이 등장해도
납득시키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믿음 아니겠어요 ㅎㅎ
나의 생각을 조작하지 않는 한 그냥 개개인의 믿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인간인 것 같아요
정의라는 단어의 정의 또한 또 다른 형태의 믿음일 것이고, 그 믿음들이 집합하여 학문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 같고…
머리아프네요 흘러가는 대로 믿고 살아야지 합니다 ㅎ
https://youtu.be/asGKOTRTobE?si=bbOLyN_HGKl6jMmf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은 아닌 거 같지만.. 봤던 것중에 생각나서 들고 와봤읍니다

토요일에 갑자기 생각나서메모장에 믿음과 함께 살 수밖에 없다고 적어뒀었는데..
"토대가 굳건한 믿음의 토대에는 토대가 없는 믿음이 있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그렇다면 이 말은 믿을 수 있는가." - 빅토리아 시크릿
사실 후기철학의 비트겐슈타인은 세계가 논리적 명제가 아니라 삶에서 체화된 감각에 따른다고 보았으니.. 자기 말을 믿던 안 믿던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볼 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