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외 영상 자료에서 구름의 양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879824
구름이 상대적으로 더 있냐/없냐 의 차이로 판단하나요
수특 5강 2점 9번에서는 그렇게 판단하라고 해서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한 논리인지 궁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879824
구름이 상대적으로 더 있냐/없냐 의 차이로 판단하나요
수특 5강 2점 9번에서는 그렇게 판단하라고 해서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한 논리인지 궁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가시,적외영상에서 둘다 밝은 구름이 비를 뿌릴 가능성이 젤높다. 가시영상은 구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적외영상은 구름의 높이가 높을수록 밝게 나타나는게 맞아요
높이 있는 층운형 구름을 가시,적외 영상으로 관측한다면 가시영상에서는 어둡게, 적외영상에서는 밝게 보일것같아요
가시영상이 주어지지 않았을 때라면 구름의 양을 판단하는 건 어려울까요
적외 영상에서는 고도 판단만 가능한 걸로 알았었는데..
본문에 추가로 올라온 문제 보시면 ㄴ선지에 구름의 양을 물어보더군요
흠 저는 지1을 이제 안하고 지2로 떠났긴 한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ma_131&logNo=220178001939&proxyReferer=
요건 밑분 말처럼 선지로 귀납추론 해야할거 같고. 대충 자료어느정도 벅벅보니 구름양이 많으면 수증기가 적외선을 잘 흡수해 어둡게 보인다 하더군요
명암판단을 하셔야 될거 같아요

이건 또 반례네요그냥 명암판단으로 해결해야겠군요..
그나저나 지2? ㄱㅁㄱㅁ
적외도 구름의 양을 판단하나요? 밝/안밝으로 고도판단하는거 아닌가
그런 줄로만 알았는데 선지 ㄴ에서 물어보길래 . . .
근데 이건 구름의 양을 판단하기보단 ㄴ이 틀린선지라서
적외선에너지가 있어야 관측이 되는데 상공에 구름이 안보이니까 더 적다고 판단했던거 같네요 저는 이거 풀때
그럼 그냥 구름이 안 보이니 적외선에너지 방출량 자체가 적다고 판단하면 되겠네요.. 그게 결국 구름의 양을 나타내는 거니까
넵 맞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