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서울대화생공 [524013] · MS 2014 · 쪽지

2015-09-03 22:10:25
조회수 818

생2 17번이요(9월 모의고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7733

학생C가 틀린 보긴데
유전적부동이 어쨋든 변이가 있어야 성립하는거고(모두 동일한 유전자면 집단이 갈라지던 안갈라지던 동일하니까요)
그 변이는 현대진화론에선 돌연변이로만 생성된다고 배웠는데
그러면 C가 맞는보기 아닌가요??

~가 원인이다가 아닌 ~가 시작이다 자체가
어쨋든 크게놓고보면 돌연변이로 인한 변이생성이 시작점은 맞잖아요
제 생각 어디가틀린걸가요 ㅠㅠ 도저히 납득이안가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lert · 572431 · 15/09/03 22:11 · MS 2015

    음.. 창시자 효과를 떨어져 나온걸 먼저라고 본게 아닐까요 저도 고민했었는데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2:13 · MS 2014

    저도처음엔 아니라 했다가 내려가면서 생각해보니 맞는거같아서... 썻는데 틀렸네요

  • Alert · 572431 · 15/09/03 22:13 · MS 2015

    전 처음에 맞다고 생각했다가 다시 고쳤어여

  • 눈높이 · 588005 · 15/09/03 22:12

    유전적부동의 시작이 돌연변이가 아니고 유전적부동은 우연한ㅅ ㅏ건의 결과

    모집단과 다른 새로운집단이 떨어져나오고 그 결과 유전자풀이 모집단과 달라지는거에요

    시작이 우연한사건을 시발점으로 시작하는거에요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2:20 · MS 2014

    유전적 부동의 개념은 당연히 아는데요.
    제 말은 어쨋든 '변이'라는게 존재하려면 돌연변이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해서요

    가정자체가 말이 안되지만 만약 대립유전자가 모두 동일한 집단에서 우연한 사건으로 인해 모집단에서 딸집단이 생성되도 유전자풀이 변하는건가요?

    전 이건 아닌 것 같아서 자연선택이던 유전적부동이던 대립유전자가 달라야 가능한 유전자풀의 변화이고
    결국 대립유전자의 변화는 현대진화설에선 돌연변이로만 생성된다라 배워서 궁극적으로는 돌연변이가 시작이 아닌가 해서 선택한 선지에요.

  • 눈높이 · 588005 · 15/09/03 22:25

    대립유전자가 예를들어 H만을 가지고 있고 H에 빈도가 1 H에 대립유전자인 h의 빈도가0인집단에서 유전적 부동이 일어나면 일어난 후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는 한 유전자풀의 변화는 없겠네요 근데 대립유전자가 모두 동일한 집단은 일단 존재할수도 없겠고 그런류의 문제를 강제로 만들것 같지도 않아요

  • 눈높이 · 588005 · 15/09/03 22:27

    물론 '변이'가 존재하려면 돌연변이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아도 유전적부동은 발생하잖아요? 그리고 17번 선지에서

    창시자효과는 돌연변이로 부터 시작되는 유전자풀의 변화라는데

    이건 확실히 틀리죠 돌연변이로 될 수'도' 있는거지 시작은 아니에요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3:05 · MS 2014

    주장하시는대로라면 자연선택도 돌연변이로 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지 않으신가요??
    뭔가 무슨 말씀을 하시는진 잘 알겠는데 그래도 납득이 잘 안가네요...

    그리고 굳이 상황을 강제로 만들 지 않아도 단적인 예로 다윈의 자연선택설만 예로 봐도
    어쩃든 그 '변이'라는 거에 대해 설명을 못한게 한계이고 그것이 멘델과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유전자라는 게 알려졌고
    그 유전자가 돌연변이에 의해 생기는게 유전적 다양성 즉 변이라면
    당연히 어떠한 유전자 풀이 변한다 라는 것엔 돌연변이가 전제되어있는 것 아닌가요?
    그전제를 시작으로 보면 안된다는게 납득이 안가네요

  • 눈높이 · 588005 · 15/09/03 23:08

    님이 생각하는 그 전제되어있다 가 틀린거에요 꼭 돌연변이가 일어나야 유전자풀이 변하는건 아니니까요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3:14 · MS 2014

    변이의 근본적인 원인은 돌연변이잖아요.
    그렇게 생성된 대립유전자 쌍이 변하는것이 유전자풀이 변한다의 말이고
    근데 어떻게 유전자풀의 변화에 돌연변이가 전제가 아닐 수 있죠?

    어떠한 사건이 A가 성립되었을 떄 ABCD가 모두 발생 가능할 때
    그 사건이 A가 아닌 B에 의해 발생했다 하더라도 A가 전제인 것은 바뀌지않잖아요.

  • 눈높이 · 588005 · 15/09/03 23:33

    변이의 근본적 원인은 돌연변이가 맞죠

    근데

    그렇게 생성된 대립유전자 쌍이 변하는 것이 유전자풀이 변한다?

    맞긴맞아요 근데 대립유전자 쌍이 변하지 않아도 퍼센티지만 변해도

    유전자풀이 변하잖아요

    그러니까 전제 자체가 잘못된거죠

    어떠한 사건이 A가 성립될때 ABCD 모두 발생 가능

    그 사건이 A가 아닌 B에 의해 발생

    A가 전제?

    A가 성립될때 라고 일단 님이 조건을 걸어 놓으셨는데

    어떻게 A가 아닌 B에 의해 발생한게 A가 전제라는걸 증명해주죠?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4 00:12 · MS 2014

    서로다른 대립유전자는 돌연변이에 의해서만 생성된다 동의하시나요? 교과과정내에서

  • ssss · 595557 · 15/09/03 22:21 · MS 2015

    나니??? 유전적부동이 돌연변이로밖에 안된다는 게 무슨 소리....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2:22 · MS 2014

    유전적 부동이 돌연변이로만 되는게 아니라
    어쨋든 변이가 있을 때 모집단에서 우연한 사건에 의해서 집단이 분리가 되면 유전자풀이 변한다 라는게 유전적부동이기 때문에
    그 변이 즉 서로다른 대립유전자를 만드는 것이 돌연변이뿐이라고 배웠어요..현대진화설 배울 때

  • ssss · 595557 · 15/09/03 22:27 · MS 2015

    변이는 유전적 다양성을 포함하는 말이에요 그리고 유전자풀이 변한다고 해서 대립유전자가 새로 생긴다고 말할 수도 없구요 퍼센테이지만 변해도 유전자풀 변했다고 합니다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3:08 · MS 2014

    그러니까 퍼센트에이지가 존재하게 되는 근본적이자 유일한 원인이 돌연변이잖아요
    그걸 왜 시작으로 보면 안되는거죠? 납득이잘...

    C가 틀렸다고 말씀하시는것들은 저도 잘 알고 시험지에서도 처음엔 저도 그렇게 생각 했었는데
    조금만 더 근본적인 생각을 해보면 어쨋든 유전자풀의 변화의 근본적인? 시작은 돌연변이 아닌가요?
    직접적인 원인을 물은 것이 아닌 시작을 물어본 것이기 때문에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것 같은데요

  • ssss · 595557 · 15/09/03 23:19 · MS 2015

    퍼센테이지는 한 대립유전자의 수만 줄어도 변합니다 유전적 부동은 그 퍼센테이지가 급격히 변하는 현상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구요 유일한 원인이 돌연변이라는 발언 자체가 잘못 된 거예요 어떤 책을 뒤져봐도 그렇게 단정짓는 책은 없습니다
    그리고 퍼센테이지가 존재하는 이유는 돌연변이 때문이 아니라 한 형질에 대한 대립유전자가 두 개 이상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두개 이상 존재하기 된 이유를 정확히 서술하진 않습니다 어떤 사람도요....새로운 대립유전자가 생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돌연변이구요 피부가 흰 사람을 돌연변이 종이라 하지 않잖아요)특정 환경에 대한 적응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거구요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3 23:23 · MS 2014

    ㅎㅎㅎ제가 강의를 잘못들었나보네요
    백호쌤 강의 들을 땐 서로다른 대립유전자를 만드는 유일한 원인은 돌연변이라 생각하고 문제풀라고 들었는데...
    좀더알아보겠습니다. 시간내서 답변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당

  • ssss · 595557 · 15/09/04 00:33 · MS 2015

    제가 좀 이상하게 설명드린 거 같아요 죄송 ㅠㅠ 유전적 변이의 원인은 여러가지로 소개되고 있어요 돌연변이 유전자 중복 등이 있는데 새로운 대립유전자가 생기는 원인을 돌연변이를 위주로 설명합니다 위에 말한 유전자 중복 감수분열 시 생기는 오차 등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전자형이 바뀌는 것도 있구요 ㅋㅋㅋ 오랜만에 봐서ㅠㅠ

  • ssss · 595557 · 15/09/04 00:46 · MS 2015

    그리고 대립유전자 '빈도'가 변하는 것을 변이라 하지 않습니다 '종류' 다양성이 변이이구요!!! 대립유전자 빈도가 급격히 변하는 것이 유전적 부동이기 때문에 유전적 부동은 변이가 있어야 일어난다는 것이 오개념일 거 같네요 대립유전자 빈도가 변하는 원인 중 하나가 대립유전자의 변이이긴 한데 일부를 전체로 생각한 오류가 아닐까 합니다
    아 그리고 ㅋㅋㅋ 새 대립 유전자는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책에 써있긴 ㅠㅠㅠ한데 여기서 표현이 '유전적 변이는 돌연변이,유전자 중복,그 외 다른 과정들이 새로운 대립유전자들이나 유전자들을 만들어 낼때 비롯된다' 고 써있고 돌연변이 만이 원천이다라는 표현은 없었습니다 저도 오역할 여지가 있으니 선생님이나 전공자에게 확인해 보시길 권합니다 ㅠㅠㅠ 참고서는 캠밸 생명과학입니다!!

  • ssss · 595557 · 15/09/04 00:50 · MS 2015

    돌연변이가 DNA 뉴클레오타이드 염기서열 변화라고 정의돼있네요 아 뭐지 헷갈린다 갑자기 나도 궁금해짐 ㅠㅠㅠㅠㅠㅠ

  • 재수-서울대화생공 · 524013 · 15/09/04 08:47 · MS 2014

    일반생물학교재..ㅋㅋㅋ제가 필력이 안좋아서 다들 오해하시는 것 같은데
    제가 주장하는건 어쨋든 말씀하신 '종류' 의 생성은 돌연변이로만 가능하다 백호쌤 교재에 있어서요.. 이게 기억이 났나보네요.
    만약 이게 옳다면 '빈도'라는 건 종류가 있어야 변하잖아요
    한 종류의 대립유전자만 존재하는데 p=1인 집단에서 딸집단 분리되도 모집단 딸집단 둘다 p=1인 것처럼
    이렇게 창시자효과 즉 유전적부동이 일어나도 돌연변이라는 '종류의 생성'이라는 전제조건이 없다면 유전자풀이 변할수 없으니
    자연선택이던 유전적부동이건 유전자풀의 변화엔 반드시 돌연변이가 선행되어야하며 전제조건이다
    라 생각했는데... 나중에 질문을 해봐야겠네요 ㅠㅠ 너무어렵게생각하지말걸..

  • 아날로그 · 508552 · 15/09/05 00:43 · MS 2014

    핀치새의 부리같은 경우와 같이 특정대립유전자의 존재에따라서만 유전자풀이 확정되는게 아닌경우도 있기 때문에 유전적부동으로 인한 유전자풀의 변화를 돌연변이라고 보기힘들거같은데요..?그리고 모든 변이의 시작은 돌연변이가 맞지만 모든 유전자풀의 변화의 시작이 돌연변이라고 보면 자연선택,성선택등 많은 진화설이 사실상 중요하지않은 이론들이 되는데...같은 수험생의한계라서 더는 모르겟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