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둔뚜 [1162920]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10-17 13:53:51
조회수 1,816

(EBS 윤사 심화) 4th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72102

1) 칸트는 행복의 추구가 경향성의 실현을 필연적으로

     방해한다고 본다


2) 플라톤에 따르면 이데아는 현상계의 사물에 내재한다


3) 로크는 홉스와 달리 시민들이 정치적 저항권을

     행사하여 국가 권력을 없앨 수 있다고 본다


4) 공자가 인을 실천하기 위해 제시하는 기본 덕목 중

    (    ) 은 사람을 대할 때 조금의 속임이나 꾸밈없이

     정성을 다하는 것이다


5) 순자는 사람의 본성이 예와 법도가 생겨난 근본

     이라고 본다


6) 왕수인은 주자와 달리 본성을 마음의 본체로 본다


7) 왕수인은 '치지'를 '앎을 극진히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8) 왕수인은 이치를 궁구하는 것과 본성을 극진히 발휘하는

     것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본다


9) 왕수인에 따르면 무엇을 안다는 것은 이미 그것을

     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공자는 오직 어진 사람만이 남을 사랑하거나

       미워할 수 있다고 본다


11) 순자는 인간이 다른 존재와 달리 인의를 알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본다


12) 순자와 왕수인 모두 본성은 하늘에 의한 것이라 본다


13) 주자는 왕수인과 달리 마음과 본성을 하나로 보지

       않는다


14) 왕수인은 '인'을 극진히 발휘하는 것이 곧 '인'의 이치를

       궁구하는 것이라 본다


15) 이이는 본연의 맑은 기를 회복해야 이의 본연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6) 이황과 이이는 모두 사단은 선한 정으로

       칠정은 선악이 정해진 감정으로 보았다


17) 정약용은 욕망이 있어야 선이나 악도 행할 수 

       있다고 본다


18) 정약용은 이이와 달리 인간과 금수가 지닌 본연의

       성은 서로 다르다고 본다


 19) 석가모니는 과거가 현재의 원인이 된다고 보아

        운명론을 강조한다


20) 석가모니는 도가와 달리 지혜를 쌓아야 한다고 본다


21) 혜능은 단박에 자신의 마음을 깨닫게 되면 더 이상

        닦을 것이 없다고 본다


22) 혜능은 수행 없이 불성을 단박에 깨칠 수 있다고 본다


23) 지눌은 자신이 부처임을 자각해도 지혜 공부가 

        필요하다고 본다


24) 유식 사상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오직 마음의

        작용인 식뿐이라고 본다


25) 중관 사상과 유식 사상 모두 자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26) 의천은 경전 공부를 하더라도 타고난 자성을 깨달아야

       한다고 본다


27) 동학과 위정척사 모두 성 ,경 , 신 수양을 존중한다


28) 원불교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가 조화를 이룰 때

        인간으로서의 삶이 온전해진다고 본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