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캐는광부 [1234289] · MS 2023 · 쪽지

2023-10-14 15:44:06
조회수 1,375

지구 황 님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33175




단위면적당 단위시간당 "도달하는" E양은

중심별의 광도 / 거리의 제곱 에 비례한다고 배웠습니다.

처음에는 공식을 그냥 외워서 썼는데 문득 의문이 생겼습니다.

광도는 별이 단위시간동안 방출하는 총E입니다.


별의 반대편쪽은 빛이 지구의 반대편으로 갈텐데, 즉 행성은 별의 모든E를 받지 못하잖아요.

(제가 첨부한 그림에서, 별의 파란색 부분에서 방출한 E는 지구에 도달하지 않잖아요.)


그래서 저는 분자가 광도(=별이 방출하는 총E) 인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왜냐면 광도 식에는 구의 겉넓이가 포함되니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담요 덮은 김동욱 · 1216491 · 23/10/14 15:45 · MS 2023

    오 이거ㅋㅋㅋ가끔 궁금했는데
    내신때 쌤이 뭐라 했었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 금캐는광부 · 1234289 · 23/10/14 15:46 · MS 2023

    아무 생각 없이 공식 외워서 쓰고있었는데 갑자기 궁금해져서 미치겠어요..

  • 우기기분 · 1254266 · 23/10/14 16:05 · MS 2023 (수정됨)

    그러게요.. 저도 참 궁금한데.. 제 생각에는

    광도와 크기를 결정하는 슈테판, 볼츠만 법칙은 흑체를 기준으로 하니까 흑체 복사의 법칙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흑체 복사는 플랑크의 복사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플랑크의 복사법칙은 흑체로부터 전 공간에 복사되는 에너지, 그 에너지의 분포를 의미하기 때문에 아마 파란색으로 색칠 된 부분도 공식에 들어가는 게 아닐까요?

    그냥 제 생각이라 아닐 수도 있어요

  • 금캐는광부 · 1234289 · 23/10/14 16:44 · MS 2023

    대충 무슨말인지 알거같아요! 일단은 공식 외워서 쓰고 수능 끝나면 깊게 생각해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