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만 바라보자 [1180588]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10-14 06:13:05
조회수 2,211

치환적분에서 변수를 상수취급가능한 이유가 뭐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29716

미분과 적분에서 각각 개념 한가지씩 궁금한게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적분 f(x-t)dt 를 x-t=u로 치환 적분할때,


u의 값은 x,t 두 변수에 영향받는데,

x를 상수취급해서 

dx/dt -dt =du 가 아니라

-dt =du 가 되는 이유를 이해하고싶습니당..!


그리고 미분에서

1. 미분에서 x에 관한 함수 y= 3x^2+7t 에서 2변수가 있어도 기울기를 구할때, t라는 변수가 사라지는것.


2. 라이프니츠 미분법으로  x->t->f(x) 구하는 과정에서

f(x)= 3x^2+7t , x=4t 두 관계식이 있을땐, f'(5) 구하여라 하면

위의 1번과 달리 t라는 변수를 사라지지않고

f'(x)=6x + 7 dt/dx 으로 dt/dx값을 구해줘야 하잖아요.


이 둘의 차이 즉,


요약하자면,

1.적분에서 변수가 상수취급 가능한 이유,

2.미분에서 변수가 상수취급 가능한 경우랑

3. dt/dx를 표시해주는 경우의 차이 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고싶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은 그래프를 생각하면 t는 위아래 높이에만 영향을주고 기울기에 영향을 못주니 미분시 상수취급으로 사라지는게 쉽게 이해가 가는데, 

겠고

3.은 x가 t로 표현이 가능해지면서 2와 달리 상수취급이 불가능해졌고 이로인해 dx/dt를 표시한다로 생각하는데,

1.은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이해가 쉬울지 모르겠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목표는행복 · 1236330 · 23/10/14 07:12 · MS 2023

    적분변수가t라서 상수취급하는거죠 int’l [0,x] f(x)f(t)dt 식이있으면 적분변수가 t니까 f(x)를 인테그랄앞으로 빼는것처럼요

  • 낭만찾아 · 1117834 · 23/10/14 07:27 · MS 2021

    x는 크게 보면 변수지만 적분기호의 입장에서는 그냥 상수따리임

  • 낭만찾아 · 1117834 · 23/10/14 07:27 · MS 2021

    x는 크게 보면 변수지만 적분기호의 입장에서는 그냥 상수따리임

  • 수능만점까지무한N수 · 1165119 · 23/10/14 07:43 · MS 2022

    변수 분리 때문에 햇갈리신 것 같은데 적분변수가 t니깐 인테그랄 안쪽에서는 x를 상수취급하면서 적분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미분할 때는 밖으로 빼준 다음 안에 t만 남긴 후 미분해야합니다

  • 원윤태 · 1017293 · 23/10/14 09:06 · MS 2020

    x와 t가 연관된 변수가 아니라서 그런거
    x 변화에 따라 t가 변하면 다변수로 가야되지만
    x의 변화가 t에 영향을 못미치면 상수로 보는거죵
    Ceteris pari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