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사람들이 10모 지구과학 10번 질문을 받아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26662
ㄱ선지 판단 근거는 그냥 개념으로 외우고 있어야하나요?
답지에는 그냥 원래 중층수는 수온때문에 침강한다고 적혀있네요
“염분은 거의 일정한데 수온은 표층이 더 차가우니까 수온의 영향으로 침강한다”라고 풀면 안되나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26662
ㄱ선지 판단 근거는 그냥 개념으로 외우고 있어야하나요?
답지에는 그냥 원래 중층수는 수온때문에 침강한다고 적혀있네요
“염분은 거의 일정한데 수온은 표층이 더 차가우니까 수온의 영향으로 침강한다”라고 풀면 안되나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문제좀 한번 찍어서 올려주세욤
여기있습니다
그 글에서 말씀하신대로 그래프를 해석해서 풀어도 좋고
이부분은 상세한 표나 그래프를 주지 않는 이상, 남극 중충수가 수온의 영향을 더 지배적으러 받는다는거는 과학적인 사실이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기억을 하고 계셔도 좋을듯 합니다

글쿤요 감사합니다그렇게푸는게맞죠
제가 뒤에 말한 내용이 맞다는 말씀이신가요?
내
전 자료보고 풀었네요
저위도부근이 염분 더 높은데 60도에서 침강한다는건 수온때문이겠지요
어떻게 해석행야 하나요?..
염분이 주변애 비해 낮은데 침강을 했다는건 낮은 염분을 상쇄할 만큼 수온이 엄청 낮았구나~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봐요
아아 감사합니다!!
염분이 허접한 34.2밖에 안되는데 침강을 하다니..
이색기 수온이 낮아서 밀도가 높구나 !
뭐 이런거 아닌가요?
오 그러네요ㅋㅋㅋㅋ
제목 넘 귀여워요..

제목 쓴 사람은 다리털 수북한 재수생입니다!와장창
자료로는 어떻게 해석해서 푸나요?.. ㅠ
상대적으로 염분이 높은 적~중위도 부근의 수괴아래로 상대적으로 염분이 낮은 남극중층수가 이동합니다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온도와 염분 2가지가 있는데 온도의 영향이 염분의 영향보다 크게 작용하여 남극중층수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거죠
(온도 낮을수록 밀도 높음, 염분 높을수록 밀도 높음,
밀도가 높은 수괴가 밀도가 낮은 수괴 아래에 위치하려함)
자료해석 문제입나다!
표층 수치만 봤을 때 염분은 다른 위도에 비해 많이 안 낮은데 수온은 확실히 낮으니깐 수온의 영향이 더 컸다고 봐야겠군.... 이러고 풀었던 거 같아요
답변 달아주신 분들.. 그러면 혹시 남극중층수 말고 북대서양심층수나 남극저층수도 침강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적으로) 염분보다 수온이 더 큰가요?
저층수 판단 기준은
심층수랑 비교했을 때 염분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매우 낮아서 심층수 밑으로 침강한다
이게 기출에서 빈출되는 선지에요
심층수는 저층수랑 비교해서는 염분이 높고 온도는 낮은걸로 알고있어요
저층수 심층수 비교 할 때
“저층수가 밑으로 가는건 수온의 영향이 크다”
이것만 알고있어요 저는
아 네넵 그렇네요!! 답변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