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문제 이게 납득이 안돼서 30분째 시간 날리고있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22803
과학자들은 한 세기는 물론이고 10년 전의 개념에도 관심을 두지 않는 경향이 있다.
과학은 본질상 역사적 기획이기 때문에 이것은 역설적이다. 현재 지식의 본체는 수년, 수십 년 혹은 수 세기에 걸친 이전의 학문과 연구 위에 세워진 것이며, 그것은 다른 인간의 노력과 동일한 종류의 역사적 우발 사건과 인공 유물의 영향을 받는다.
(A) 더욱이, 개념은 시간에 따라 진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들의 계통을 살펴봄으로써 혼란과 무의미한 논쟁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때때로 장기 방치된 아이디어들이 재발견되고 다시 살아나게 되어서 현재의 난제를 푸는 것을 돕거나 발견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준다.
(C) 일부 과학자들은 이것을 인식하고, 질문이나 개념이 어디에서 왔는지, 그것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중요한 어떤 것이 간과되었는지를 한 발짝 물러서서 조사할 필요성을 인정한다. 가장 근본적인 수준에서, 이것은 좋은 학문이며 건강한 겸손 의식으로 이어진다.
A→C가아니라 C→A가 정답인데여
이렇게 읽어봐서 내용상 문제있는게 관찰되지않아서요
A글까지 (과학이 옛날것도 관심가졌을때의 이점)을 설명하고있고
C에서 이점 인정ㅇㅇ하는게 자연스러운거같은데 왜아닐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은 많이 못했네요
-
애기야 사랑해 0
언제 결혼하지
B를 고려해야 되는거 아님?
첫문장 ~~경향이있다. 까지가 제시문이고 그후부터 A전까지가 B인데 B가 처음에 오는건 반박의여지가 없어서 따로 표시안했습니다
그렇다면 B 다음으로 A보다 C가 적절한게 아닐까요? 님 말대로 A랑 C는 순서 바꿔도 전혀 어색하지 않음
감사합니다
굳이 얘기하자면 '더욱이'라는 단어땜에 그런거 아닐까요?
더욱이가 보통 furthermore의 번역인데 영작할 때 furthermore같은 경우엔 하나 얘기 다음 바로 나오는게 아니라 세번째 이후에 사용한다고 알고 있어요
그래서 그런게 아니면 이거를 그냥 무조건 c->a라고 내면 문제가 될거 같네요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