께?는 보조사인가 격조사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91187
1.선생님께 선물을 드리다
선생님에게 선물들 드리다 와 의미가 같으니까 부사격조사인가?
2. 종결어미는 -다 -구나 -냐 -라 -자 등이 있는거로 아는데…
나는요 오빠가 좋아요 에서
‘요’는 그럼… 보조사인가…요?
종결어미처럼 생겼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91187
1.선생님께 선물을 드리다
선생님에게 선물들 드리다 와 의미가 같으니까 부사격조사인가?
2. 종결어미는 -다 -구나 -냐 -라 -자 등이 있는거로 아는데…
나는요 오빠가 좋아요 에서
‘요’는 그럼… 보조사인가…요?
종결어미처럼 생겼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요 보조사 맞아요
은는도만마저조차까지요나
께는 격조사의 높임 표현이라 볼 수 있겠네요
그럼… 부사격조사인가요?
네
넘감사함당
항상 보조사??인가영
그 예외가 있긴 하던데 수능에선 거기까지 안나오니까 보조사로 외워두세여
요는 통용 보조사입니다. (높임 표현에 쓰이는 보조사)
요는 무조건 보조사라고 외우시면 안되는 게
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연필이다 같은 문장에서의 '요'는 연결 어미이기 때문입니다
+ 이러한 내용은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떠올려보시면 구분하기 수월합니다
좋아요에서 요가 어미이려면 어간 '좋-'과 결합해서 '좋요'처럼 쓰였을 겁니다. 그게 아니니 저 예시는 '좋아'에다 단순히 높임의 의미를 더하는 보조사 '요'를 붙인 것이죠.
마찬가지로 제가 든 예시의 '책이요'를 살펴보면, '요'를 빼는 순간 '이것은 책이'가 되어버립니다. 그럼 이때의 '요'는 연결 어미겠네요.
'좋요'나 '책이'같이 바뀌어버린다면, 이건 누가봐도 문법상 이상하기 때문에 구분이 쉬우실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