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둔뚜 [1162920]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10-05 08:02:21
조회수 3,551

(EBS 변별포인트) 생윤 OX판단 정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29013

1) 벤담은 쾌락 추구를 인간 행위의 목적으로 보며

     이성의 역할은 부정한다 x


2) 벤담에게 한 사람의 쾌락은 다른 사람의 쾌락과 

     반드시 동일하게 계산될 필요는 없다 x


3) 플라톤은 철학자가 죽음에 임하여 확신과 희망을

     갖게 된다고 본다 o


4) 프롬은 호혜적 상호 교환을 통해 생산적 사랑이 

     완성된다고 본다 x


5) 플라톤의 이상사회에서는 계층간의 이동가능성을

     부정한다 x


6) 아리스토텔레스는 공동체나 타인에게 손해를 끼쳤을 때

     기하학적 비례에 근거해 보상해야 한다고 본다 x


7) 노직은 최초 취득의 자유는 제한될 수 없는

     절대적 자유라고 본다 x


8) 니부어는 집단의 구조나 제도는 개인의 도덕성에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고 본다 x


9) 벤담은 형벌이 일부 사람들에게는 쾌락이나 만족을

      줄 수 있다고 본다 o


10) 벤담은 어떤 형벌이 공리의 원칙에 근거해 쾌락보다

        고통이 더 크다면 그 형벌은 채택될 수 없다고 본다 o


11) 베카리아는 공리주의적 입장에서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인간이 법률에 순종하는 원인이 됨을 긍정한다 o


12) 로크의 자연상태는 인간이 소유물을 자율적으로 처분하고

        결정할 수 있는 자유의 권리가 부재한다 x


13) 홉스는 계약의 당사자가 주권을 분할시켜 

       절대적인 권력을 지닌 주권자에게 양도해야 한다고 본다 x


14) 롤스와 소로는 모두 부정의한 법도 구속력이 있다고 본다 x


15) 싱어는 쾌고감수능력이 있는 존재 일부는 이익관심을

        가지지 않는다고 본다 x


16) 레건은 공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삶의 주체인 동물의

        권리를 강조한다 x


17) 테일러에게 의식이 없는 생명체는 고유의 선을 추구하는

        대상이 아니다 x


18) 요나스는 미래세대와 마찬가지로 현세대 인간들 간에도

       일방적이고 총체적인 책임을 수행해야 된다고 본다 x


19) 칸트는 도덕성 실현이 예술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본다 x


20) 엘리아데에 따르면 비종교적 인간은 성스러운 것을 거부한다 o


21) 엘리아데에 따르면 비종교적 인간은 인간성을 고정불변의

        주어진 것으로 본다 x


22) 칸트는 평화조약이 영원히 모든 전쟁의 종식을

        추구한다고 본다  x


23) 현실주의는 세력균형이 이루어지면

        영원한 평화가 보장된다고 본다 x


24) 싱어와 테일러 모두 종이 다르다는 이유로 생명체 간

        도덕적 지위에 차이를 두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o


25) 니부어는 비합리적 수단이 정의 달성을 위한다면

        통제가 없어도 된다고 본다 x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