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로직 [1046842]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3-10-02 23:30:27
조회수 985

학력차별은 합리적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04166

사실 미적분을 잘하는 것과 업무능력이 직접적인 관계들은 없지만


미적분 잘하는 애들이 일 잘할 확률이 조금이나마 높으니 그냥 효율성을 위해 어쩔수 없이 반영하는 것 뿐 


집단을 기준으로 개인을 판단하는 것이 옳지도 않고 사실 능력에 큰 도움도 안되는 입시경쟁만 과열시킨다고 봄


저는 다만 대학이 전공 학문을 배우는 장소임을 고려하면 전공과목과 대졸/고졸의 차별은 합리적이라고 생각함


반면 대학의 타이틀 (서울대냐 연세대냐)의 차별은 실제 대학에서의 교육수준의 차이보다는 고3때 국영수를 얼마나 잘했냐 보는 느낌이라 비합리적이라고 생각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학벌

최대 1개 선택 / ~2023-10-09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가왜에피 · 1211267 · 23/10/02 23:31 · MS 2023

    차별이라기 보단 스펙으로 인정을 해주는건 맞다 봄

  • 내가왜에피 · 1211267 · 23/10/02 23:31 · MS 2023

    블라인드 채용 이런거 말도 안 된다 생각 이건 제가 연대 다니지 않을때부터 하던 얘기

  • 21221 받고싶은 인생망한 문과수생 · 1237980 · 23/10/02 23:31 · MS 2023

    두번째 문단 진짜 ㅇㅈ

  • 호 두 · 1147977 · 23/10/02 23:32 · MS 2022

    합리적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내가 대기업이라면 적은 비용으로 기댓값이 높은 편인 학력 위주로 뽑을 듯
    대기업 입장에선 효율적일 거 같아요 비용도 적고

  • [지구과학1] · 1188919 · 23/10/02 23:34 · MS 2022

    사용자 입장에서는 특이사항이 있다면 다르겠지만 특이사항이 없으면 ’이왕이면‘ 학벌 좋은 사람을 선호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이를 차별이라고 부르는 것부터 잘못되었다고 생각됩니다

  • N로직 · 1046842 · 23/10/02 23:40 · MS 2021

    근데 대부분은 특이사항 있어도 학벌좋은 사람 뽑더라고요

  • [지구과학1] · 1188919 · 23/10/02 23:41 · MS 2022

    그건 뭐 사용자 마음이죠..
    말은 쉽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학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뽑을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옥옥 · 1077930 · 23/10/02 23:35 · MS 2021

    학벌은 모르겠고..당연히 전공에 관해서 차별이 있어야 뭐 직무를 똑바로 하던가 하지 않나요
    수학이 필요한 곳에 행정학과 전공생을 앉혀놓을 순 없으니

  • 정시물2 · 1143416 · 23/10/02 23:45 · MS 2022

    그냥 지나친 매몰만안되면되고 참고용은되야죠
    뭐 집안사정상 장학금주는학교로간케이스도있을거고 입결이란게매년같은게아니니까
    그냥 러프하게 보는게맞다고봄

  • 정시물2 · 1143416 · 23/10/02 23:46 · MS 2022

    그리고 전공에대한건 차별이아니라 당연한거라고생각됩니다 애초에 차별이아니라 당연한거라고보는게맞죠

  • 딸기보링차 · 1238518 · 23/10/02 23:58 · MS 2023

    ’합리적‘—->o
    사용자 입장에선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함
    공정한가?에 대해선 회의적임

  • 1100000110101001 · 1219571 · 23/10/03 02:23 · MS 2023

    노력에 대한 보상
    그 수준이 적정하다면 합리적
    지나치다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보상의 수준이 적은 것보단 덜 문제라고 생각해요

  • 저프사노렙 · 1228005 · 23/10/03 10:36 · MS 2023

    음...공대 커리큘럼을 보면
    서울대 공대 1학년 과정이 어지간한 공대 1+2학년 과정이라고 합니다.
    중간기말 시험 난이도도 당연히 차원이 다르구요.
    이런데 똑같이 공학을 4년제로 이수했다고 똑같이 보는 게 합리적일까요?

  • ELYSIA · 968590 · 23/10/03 17:23 · MS 2020

    학력은 그 사람의 전반적 지적능력의 수준을 나타내기에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