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둔뚜 [1162920]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10-02 17:51:17
조회수 2,724

(EBS 연계) 윤사 OX 문제 정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00312

1. 불교


1) 의천과 달리 지눌은 열반을 실현하기 위해 반야가 필요하다고

    본다 x


2) 불교와 도가는 모두 무지와 무욕의 상태를 실현해야 한다고 본다 x


3) 혜능은 지눌과 달리 모든 사람의 마음에 자성이 없다고 본다 x

    


2. 성리학/ 양명학


  4) 주자와 왕수인은 모두 양지가 저절로 발현된 것을  

      도덕적 행위라고 본다 x


  5) 왕수인은 주자와 달리 마음이 인식해야 하는

      객관적인 대상으로 사물의 이치를 바라본다 x


  6) 주자는 마음의 이치와 사물의 이치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궁구해야 한다고 본다 x


3. 이황 / 이이


  7) 이이는 본성인 사단을 칠정이 겸한다고 본다 x


4. 근대 서양


  8) 벤담은 흄과 마찬가지로 공감의 원칙을 행위의 도덕적

       근거로 적합하다고 본다 x

 

  9) 스피노자는 신 즉 자연을 내재적 원인이자 실체들 중 하나로 

       여겨 신에 대한 지적인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본다 x


 10) 스피노자에 의하면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닐 수 없지만

      자유의지를 지닌 신을 사랑할 수 있다 x


 11) 흄은 이성으로 도덕적 선악을 판단할 수 있다고 본다 x


5. 묵자


  12) 묵자는 비공주의자로서 강대국의 횡포로부터 약소국을

         보호하기 위한 전쟁도 반대한다 x

 

6. 현대 서양


  13) 사르트르는 무신론적인 관점에서

        타고난 본성을 따를 때 불안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x


  14) 사르트르는 인간은 세상에 던져진 존재이기 때문에

         주어진 본질을 실현해야 한다고 본다 x

   

7. 사회계약론


  15) 로크는 자연상태의 분쟁을 해결하는 법률에 의지할 수 있기에

         자연상태는 비교적 평화롭다고 본다 x


8. 중세 서양


 16) 아우구스티누스는 최고의 덕인 신에 대한 사랑을 통해  

        최고선인 행복을 실현한다고 보았다 x


9. 자유주의


 17) 적극적 자유주의자 페팃의 입장에 따르면 , 

        실질적 간섭의 부재는 자유의 손실 가능성을 차단하는

        충분조건이다 x


 18) 페팃은 모든 간섭과 지배가 사라져야 자유로운 사회가

        실현된다고 본다 x


10. 칸트


 19) 칸트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신에게도 도덕법칙이 의무로

        부여된다고 본다 x

    

 20) 칸트에 따르면 의무에 맞는 행위는 도덕적 행위가 될 수 없다 x


        




싹 다 x 였습니다


풀어주신 분들 고생많으셨습니다


소수과목이지만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꼭


만점을 쟁취하시기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원합니다 · 1238653 · 23/10/03 10:05 · MS 2023

    6번이 x인 이유가 뭔가요? 주자는 이일분수이기에 사물이나 인간의 리는 같다고 여기는게 아닌가요?

  • 뚜둔뚜 · 1162920 · 23/10/03 10:22 · MS 2022

    마음 안에만 이치가 있다는 왕수인과 달리
    주자는 마음의 이치와 사물의 이치를 구분합니다
    즉 왕수인은 이치를 마음 밖에는 없다고 보아 구분하지
    않지만 주자는 사람 마음 안의 이치와 사물의 이치를
    구분합니다

  • 뚜둔뚜 · 1162920 · 23/10/03 10:26 · MS 2022

    이 문제는 수능완성 실전모의고사 2회 3번 문제 해설지를 참고해보세요~

  • 기원합니다 · 1238653 · 23/10/03 10:06 · MS 2023

    18번도 궁금합니다 ㅎㅎ..

  • 뚜둔뚜 · 1162920 · 23/10/03 10:23 · MS 2022

    페팃은 정부의 정책적인 간섭은 인정하기에
    모든 간섭과 지배를 사라져야 한다고 보지 않습니다

  • 기원합니다 · 1238653 · 23/10/03 10:59 · MS 2023

    이해 되었습니다 두 질문에 대해 꼼꼼히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정시만 · 1178040 · 23/10/03 18:26 · MS 2022

    20번에 오직 의무에서 비롯된 행위가 도덕적행위 아닌가요? 될 수 있다로 열어놔서 가능한가요

  • 뚜둔뚜 · 1162920 · 23/10/03 18:33 · MS 2022

    칸트에 따르면 의무에 맞는 행위는 도덕적 행위가 될 수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습니다 20번 문장은 없다고 단정짓고 있기 때문에 틀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