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실히 5모는 제대로 독해하면 개병신되는 시험이네 ㅅㅂ 10
이해 꼼꼼히 하고 넘어가면 뭐함 대다수 문제들이 답을 퍼줘서 발췌 눈에 바른 애들이...
-
개념량 둘다 비슷비슷 계산량은 화1이 많다쳐도 화1은 개념 말장난은 많이 없는디...
-
반갑다 10
심멘이다
-
작수 7번은 틀릴 소지조차 없는데 왜 저렇게 많이 틀림 6
아니 진짜 비틱이 아니라 왜 그렇게 오답을 많이 찍었는지 알아야 학생들을 지도를...
-
45만덕인데 고민되네
-
그냥 뭔가를 하기가 싫음
-
전문항이 교체되지는 않죠???
-
다음교재 어떤걸로 해야될까요? 바로 드릴갈까요?
-
생일입니다 4
축하해주세요
-
개념량 둘다 비슷비슷 계산량은 화1이 많다쳐도 화1은 개념 말장난은 많이 없는디...
-
돌이킬 수 없는 또 하루를 이렇게 떠나보내면 오늘도 답을 잘 모르는 질문에 끝없이...
-
이제고대반수생이네요
-
본인은 수능은 5수. 의치한설 돌아가며 합격함 1. 4수이상 하지마라 정신병이...
-
9시 잇올 실패 2
ㅈㅅㅎㄴㄷ 너무 피곤해서 더 잤어요 챙겨서 나갈게요
-
3모 69 (틀린건 기억이 안나네요) 4덮 88 (15 22 30) 틀리고 5모...
-
조건 다 해석했는데, 맨 마지막에 절댓값 F(x) < 1 이거때문에 좀 이상하네.....
-
가천대이상 가고 싶어요 지구 생명하다 6찍고 사탐갑니다 지구 생명도 인강듣고...

맞는거같은데근데 좀 이해가 안됨 지평선으로부터 동시에 출발했으면 시간 지날수록 온도도 똑같이 내려갈텐데 밀도가 왜 균일할수 없다는건지
그 관측기술의 발달로 오차가 점점 줄어들고있기두하고...
아래는 제 갠적인생각인데 아주 살짝의 오차인데 색깔로는 크게해놔서 그런거아닐까요?? 이건 제 뇌피셜
무슨 자기홀극의 균일성처럼 너무 크게커져서 그런걸수도...괜히고민많이하니 머리아프네요
?
위성 처음 관측한위성보다 최근위성이 오차가 더 적어요
엥 저는 왜 빛이 안만나면 밀도가 일정하지 않은건지를 물어본건데
아 그 급팽창이론이 해결한 빅뱅우주론 문제점 말씀하시는건가요?
그거면 각각 3가지가 별개맞아요..!!!
에...그쵸...그런데 왜 빛이 서로 만나야 밀도가 같아지는건지 모루겟내오
그것과관련해서는 처음들어보는데 혹시 관련 문제사진 첨부해주실수있으신가요?
문제는 아니고 개념 보는중인디
정보교환이랑 밀도가 뭔 상관인가요?
제가 이해한 바로는, 우주 지평선 문제는 빅뱅 이후 빛이 퍼져나가면서 우주의 크기가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팽창하여, 우주의 끝에서 출발한 빛이 다시 만날 수 없다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우주 배경 복사는 빅뱅 이후 약 38만년 후에 우주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로, 현재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관측되고 있습니다. 우주 배경 복사의 관측 결과, 우주는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 지평선 문제와 우주 배경 복사의 밀도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우주 배경 복사의 관측을 통해 우주가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통해 우주 지평선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빛과 우주 배경 복사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물체가 반사하거나 방출하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반면에 우주 배경 복사는 빅뱅 이후 우주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로, 현재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관측됩니다. 하지만, 우주 배경 복사는 빛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주 배경 복사는 전자기파의 일종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주 배경 복사는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우주 배경 복사를 이해하는 것은 우주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요약하자면, 우주 지평선 문제와 우주 배경 복사의 밀도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우주 배경 복사의 관측을 통해 우주가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통해 우주 지평선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빛과 우주 배경 복사는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우주 배경 복사는 빛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우주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네이버클로바로 제가 잘못이해한건지 돌려봣는데도 뭔가 오개념을 접하신게아닌지... 염려스럽습니다!!!
현재 관측되는 우주배경복사의 밀도가 거의모든영역에서 균일한데 "현실적으로 빛의 세기가 어떻게 그렇게 광활한 우주에서 거의균일한 파장으로 관측되는거지?"에 대한 의문을 기존 빅뱅우주론이 설명할 수 없엇는데 급팽창이론에서 원래 우주 극초반에는 우주가 엄청작았고 그 안에서 빛이 상호작용을 하고있었는데 인플레이션으로인해 빛보다 빠르게 공간팽창하는것으로인해서 확 퍼져나가서 지금 밀도가 균일하게관측된다고 생각하시는게 맞을거같습니다!
정보교환이라는게 온도로 비유하자면 뭐라해야하지 충분히작앗을때는 매질의 크기가 작기때문에 온도 전달이 안된곳없이 고르게 온도가 퍼졌다고해야하나.. 그러면 이해가쉬우실거같아요
교재에는 이렇게 써져있고 서로 만날수 없어서 밀도가 균일하지 않다는 문장이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렸습니다
네 그부분이 우주가 급속도로 팽창한게아니라면 첫 빅뱅우주론의 폭발에서 어떻게 그렇게 넓은 우주로 빛이 거의 균일하게 퍼질수있었는지 설명할수없었던게 급팽창이론으로인해 설명된겁니다
빛의속도로 팽창하는데 어떻게 빛의 속도로 따라가서 모두 똑같은 온도가 나올수 있느냐? 이런문제아닐까요 ?
음 그니까 저 문제를 급팽창이 설명햇다는건 알겠는데
Q. 에너지 밀도가 균일하려면 왜 빛이 서로 만나야 하는가!?
이게 궁금한거신
우주 배경 복사의 균일성을 이해하는 데는 "빛이 만나야 한다"는 개념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우주의 다른 부분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그 결과로 온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가 관측하는 우주 배경 복사(CMB, Cosmic Microwave Background)는 빅뱅 이후 약 38만년 후에 생성된 것으로, 그 시점에서 우주가 충분히 냉각되어 프로톤과 전자가 결합하여 중성 수소 원자를 형성하면서 처음으로 빛이 자유롭게 전파되기 시작한 시점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관측하는 CMB의 온도 분포는 거의 완벽하게 균일합니다. 즉, 어느 방향으로 보든지 거의 동일한 온도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서로 멀리 떨어진 부분들이 어떻게 같은 온도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 즉 '지평선 문제'를 제기합니다.
왜냐하면 각 지점에서 나온 빛(정보)이 다른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한데, 그 시간은 각 지점 사이의 거리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충분한 시간이 없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빛이 만나야 한다"는 개념은 여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서로 다른 곳에서 발생한 정보(예: 열 에너지)가 공유되어야만 그 결과인 CMB의 균일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교과외개념인것같아 이것까지만 남기고 이제 가보도록하겠습니다..! 방금 질문사항 남기신것 그대로 gpt4에 올려서 도출한 결과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해됏어요
빅뱅 이론이 지평선 문제를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는 우주의 균일성과 빛의 속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때문입니다.
우리가 관측하는 우주 배경 복사는 매우 균일합니다. 즉, 우주 곳곳에서 측정한 온도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가 탄생한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아서 서로 멀리 떨어진 부분들이 정보를 주고받아 온도를 맞추지 못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 사이의 거리는 빛이 여행할 수 있는 최대 거리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즉, 지평선 문제란 "서로 멀리 떨어진 부분들은 어떻게 같은 온도를 가질 수 있었을까?"라는 의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급속팽창(인플레이션) 이론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 기간 동안, 각각의 지역들은 아주 작은 공간에서 시작하여 같은 '열적 역사'를 공유했다고 가정합니다. 그래서 급격하게 팽창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 도달하지만 비슷한 특성(온도 등)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것 보시면 명쾌히 이해되실거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