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pie [1009713] · MS 2020 · 쪽지

2023-09-23 09:53:12
조회수 2,539

국어 보기 설명의 인과관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504173


제가 보기를 제대로 이해해보려고 내용을 정리하고 있었는데요

‘과잉 생산’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어째서 국가의 채무,부채 과잉의 원인이된건가요?

재정투입은 국가에서 투입할 재정을 마련하기 위해 채무가 생겼다고 납득되지만

 금리조정은 오히려 국가에서 시장에 돈을 풀어주는 채권자 역할이니까 부채가 쌓이지않지 않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magpie · 1009713 · 23/09/23 09:54 · MS 2020

    저는 경제관련 인과관계 파악할때 중앙은행=국가=정부 라고 생각하고 정리하는데
    금리조정에서만큼은 돈을 빌려주는 입장이니까 채무나 부채가 쌓인다는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겁니다!

  • magpie · 1009713 · 23/09/23 09:54 · MS 2020

  • 우영호의문단속 · 1167501 · 23/09/23 14:26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우영호의문단속 · 1167501 · 23/09/23 14:35 · MS 2022 (수정됨)

    중앙은행이 시장의 국채를 매입하면 채권 수요 상승으로 국채 가격이 상승하고, 일반적으로 국채 가격은 시장 금리와 역의 관계를 갖습니다. 그래서 시장 금리는 하락하게 되고 소비력이 상승하게 되는거예요. 저 케이스에서는 소비력을 진작시키기 위해 중앙은행과 정부가 과도한 부채를 지면서까지 국채 매입과 재정 투입을 했던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