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40일만에 6에서 1간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442940
의외로 많은 분들이 댓글이랑 쪽지로 물어보시고 궁금해 하셔서 끄적여봅니다 !
우선 독서 부터 설명 드리자면 저는 인강으로 시작했습니다 (따로 인강 선생님은 적지 않겠습니다,댓글알바니 뭐니 할까봐 궁금하시면 쪽지 주세요)
대부분 인강이 인강 선생님들만의 독서 풀이법들이 있으실텐데 저는 그걸 국어 단권화 노트를 따로 만들어가지고 행동강령처럼 만들었습니다(ex:인문 지문이면 견해가 나올텐데 두 사람이 대립하고 있을 때는 뭘 가지고 대립하고 있을까? 어떤 문제를 비판하고 있지 ? 비판의 기준은 뭘까? 이런것들이요 ) 그리고 나서 문제를 혼자 시간을 재고서 풉니다.
대부분의 인강강사들이 처음에는 시간을 재고 풀지 말라고 하시는데 제가 했던 방법은 먼저 시간을 넉넉하게 잡아도 15분으로 잡고 최대한 집중해서 풀어보려고 노력합니다.
그 후 못 푼 문제나 애매하게 푼 문제는 따로 체크 표시해두고 다시 한번 지문을 천천히 읽습니다.
이 때 인강에서 배운 방법론을 그대로 온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의식하면서 읽어 나갔고요 이렇게 하면 보통 다시 지문을 읽고 푸는 과정까지 30-40분 내지로 문제풀이 까지 끝납니다
그 후에 강의를 들으면서 내가 처음에 놓쳤던 부분은 분홍색 형광펜으로, 두 번째 읽으면서도 놓쳤던 부분은 노란색 형관펜으로 선생님이랑 똑같이 사고 했던 부분은 파랑색 형관펜으로 칠했습니다.
그 뒤에 인강을 다 보고 나서 지문을 복기하는데 많은분들이 이 때 지문을 다시 뽑고 풀려고 하시는데 저는 그렇게 까지 하지 않았고 그냥 다시 한번 지문을 읽어보면서 그 해당 지문 부분 포스트잇 부분에다가 이런 유형의 지문이 나왔을 때 내가 놓쳤던 부분을 포스트잇에 옮겨 적고 개선해야 할 점들을 적어나가면서 그렇게 한 지문을 끝냈습니다 .(물론 지문 복기 과정은 시간 텀을 주면서 3-4번 정도 필요합니다 그래서 선생님들이 선택해준 해당 유형의 대표 지문들로 학습하고 인강듣는거고요)
그리고 바로 다음에 같은 유형에 지문을 풀면서 최대한 내가 방금 공부했던 내용들을 의식해나가면서 지문을 읽을 수 있도록 사고해 나가면서 이 때는 시간을 재지 않고 풉니다 (시간을 재고 풀면은 제 생각으로는 제가 했었을 때 시간에 쫓긴다는 압박감 때문에 원래 제가 했던 방법대로 풀어갔었기 때문에 전 안 재고 풀었습니다)
그 뒤에 문제를 다 풀고 채점하고 틀린문제 있으면 선지 분석하고(이런 유형의 선지는 이런 부분을 묻는데 나는 이걸 놓쳤네, 이 부분을 잡았는데 왜 정답으로 도출해내지 못했을까 등등 ) 그렇게 비문학 공부를 하루에 2지문 많으면 3지문씩 공부해 나갔습니다
이렇게 저는 40일 동안 공부해서 원래는 독서 고자 였는데 정말 비약적으로 말도 안되게 상승 했으며 저는 초고난도 지문보다 요즘 수능 기조에 걸 맞는 준킬러 지문을 대상으로 많이 풀었습니다 (초고난도로 유명한 브레턴우즈나 변증법 안 풀었습니다) 지금 기조에 딱히 풀 필요도 없는 것 같고요 물론 누구도 수능을 예측 못하지만 불안하신 분들은 풀어보시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ps 반응 좋으면 문학도 올리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엡실론(Epsilon) 모의고사 1회 (가/나)형 8월 27일 시행 안내 7
안녕하세요. 성균관대학교 수학교육과 수학문제연구학회 엡실론(Epsilon)입니다....
-
x=-2일때는 구했는데 x=2일때는 제 풀이랑 답지 풀이랑 아무리생각해도...
공부법은 허수 안같으신데 왜 6이 나왔지 공부 어떤걸 잘못해서 6이 나오셨나요
제가 생각했던 것 중에 비중이 제일 컸던게 체화시키는데에 집중하지 않고 양치기만 존나 했던게 제일 비중이 큰 거 같네요
책 많이 읽으셨나요? 어릴때부터
아녀 그래서 고1~수능떄 까지 내신이건 수능이건 국어에서 5-6을 벗어난 적이 없어요
생각해보니까 만화책 많이 읽었는데 그것마저 그림만 보면서 넘기느라...ㅋㅋ
일단 지문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고 문제 들어가시나요 아니면 중간중간 풀 수 있는 문제들은 푸시나요??
이건 제가 김승리 썜 찍먹하고 나서 쓴 방법인데 문제 확인 후에 ㄱ에 관한 설명으로--란 문제가 있으면
번호 확인하고 지문 ㄱ부분위에 번호 적어 논 뒤에 그 해당하는 문단만 읽고나서 바로 풀러 가고 제칠 수 잇는거만 제쳤습니다 좀 깊게 들어가면 는 그 다음문단 까지도 읽어야 풀리는 경향이 있더라고요
(+ 저는 풀러 간 김에 글의 전개방식이나 선지에서 겹치는 부분들은 최대한 제거 해 줬습니다)
ㄹㅇ 폭풍 메타인지 공부법이네
저랑 거의 똑같이 공부하신듯 전 국어 모고 하나 풀고 바로 복기하면서 노트에 10개정도 평균(하다보니 겹치는게 보임) 피드백했어요!! 지문 푸는 순서나 이런거
그쵸 .. 근데 사설은 사설만에 경향이 있어서 전 기본구조도 안 잡혀있는 상태에서 실모 풀거나 n제 푸는건 정말 비추천..
ㄹㅇ 그것도 맞말 2등급 이상부턴 실모 연습 하면서 기출도 보는게 중요하지만 또 실모랑 평가원이랑 행동 강령은 똑같다고 생각해서
오 진짜 실수 공부법이네여.. 하루에 국어 공부 몇시간정도 투자하셨나요??
기본3 시간에서 많으면 4시간30분정도 썻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크랩할게요혹시 문제는 어떤 문제 푸셨나요?
교재에 있는 문제+ 쉬운 기출위주로 풀었습니다

독서보다 문학이 더 궁금해요 문학 올려주세요가독성이 엄..

허수라 죄송해요 ,,혹시 어느대학이신지랑 어느학년도이신지 ㄱㄴ하신가요?6->1을 40일만에가는건 국어만해도 쉽지않은거라...
그....(나사렛대) 입니다 작수 국어6 수학7 영어5 사탐 55 받았습니다
문장을 이해하려고 최대한 노력해야 하겠죠,,?
오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