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성한중경 [1206417] · MS 2023 · 쪽지

2023-09-14 19:09:02
조회수 3,763

개인의 능력 차이에 따른 보상의 차등분배가 사회 불평등 현상의 발생 원인이라고 본다는 것은 기능론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408036

개인의 능력 차이에 따른 보상의 차등분배가 사회 불평등 현상의 발생 원인이라고 본다는 것은 기능론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세포 · 1224413 · 23/09/14 19:16 · MS 2023

    갈등론이요!!

  • Average · 1170161 · 23/09/14 19:20 · MS 2022

    기능론 아닌가요?

  • 세포 · 1224413 · 23/09/14 19:42 · MS 2023

    밑에글읽어보고 개념서도 다시보니 기능론인것같네요. 무지했음을 알게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대학갈오둥이 · 1241729 · 23/09/14 19:21 · MS 2023

    기능론 맞습니다

  • 대학갈오둥이 · 1241729 · 23/09/14 19:22 · MS 2023

    개인의 능력 차이, 직업의 중요도 차이에 따른 차등 분배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희소가치의 불평등한 분배)이 있다는 입장은 기능론이 강조하는 입장입니다

  • 몇번째수능 · 1246633 · 23/09/14 19:27 · MS 2023

    기능론은 개인의 능력에 따른 정당한 차등분배는 불가피한 현상이며, 또한 이를 사회 안정 및 발전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합니다.

  • 대학갈오둥이 · 1241729 · 23/09/14 19:29 · MS 2023 (수정됨)

    기능론의 입장에서 직업 중요도 및 개인 능력에 따른 차등 분배는 불가피한 현상이자,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며, 이를 희소가치의 불평등한 분배이자 사회적 불평등이라고 봅니다.

    기출 선지 확인해보시면, 기능론이 사회적 불평등은 불가피한 현상이자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하는 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대학갈오둥이 · 1241729 · 23/09/14 19:32 · MS 2023

    기능론이 직업 중요도 및 개인 능력에 따른 차등 분배를 사회 불평등으로 보지 않는다는 진술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애초부터 직업 중요도 및 개인 능력에 따른 사회적 희소가치의 차등 분배를 사회적 불평등으로 보고, 이러한 사회적 불평등을 사회적 효율성 증진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기능론의 관점입니다.

  • 대학갈오둥이 · 1241729 · 23/09/14 19:32 · MS 2023

    몇번째수능 님께서 착각하신 부분이 있으신 듯하여 밑에 댓글 남겼습니다

  • 몇번째수능 · 1246633 · 23/09/14 19:33 · MS 2023

    밑에 댓글은 완전 개소리를 써놔서 삭제햇습니다. ㅎㅎ
    지적감사해용. 착각했네요

  • 몇번째수능 · 1246633 · 23/09/14 19:24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