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탐에서 ㄱㄴㄷ 찍을때, 갯수로 추론하는거 잘맞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407693
예를들어
1. ㄱ 2. ㄷ 3. ㄱㄴ 4. ㄴㄷ 5. ㄱㄴㄷ 이면
ㄱ선지가 3개니까 ㄱ은 맞을 가능성이 높고,
남은 3개중이 2개에 ㄴ이 있으니 ㄴ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식으로 판단하는거
기출에서 어느정도 신뢰성이 있나요?
뭔가 19 20은 꼬은 느낌이 많은 거같은데, 다른 문제들은 이런 논리로 잘 풀리지 않나요??
문득 궁금하네요. 실제로는 어떨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런식으로 풀면 왜 안되나요? +2회차까지 소감 : owl pro 과하기로...
-
아 물에빠지면 인터뷰를 못하는구나
지학에서만 써먹는데
은근 잘 안먹히는듯
(화지)
위 선지배치의 경우 답이 되는 조합을 3번과 5번 하나로 좁힐 수 있어요.
특히 지구과학은 100% 먹혀요 왜냐면 ㄱㄴㄷ 하나하나에 대한 접근성이 타과목에 비해 월등히 좋아서
오 감사합니다. 19 20 포함인가요?
네 근데 오히려 생명은 요즘 안 먹히더라고요 (작수17이 저격이었던걸로)
왜냐면 생명은 대부분 사람들이 킬러는 시간이 부족해서 아예 조금이라도 푸는 시도를 못하고 찍어버리니말이에용 하지만 지구는 아무리 킬러라도 ㄱ정도는 눈으로도 풀리는 경우가 많아서 작년 수능 20번도 3번5번중 답이였는데 그전 19가 5라서 3찍었다 전사 ㅋㅋ
걍틀린거 지워내다보면 답 나오던디
ㅎㅎ혹시 나중에 아예 찍게되면 알아두려구여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더니 서울대 갔어요~
친구가 생명 찍특하는거 봤는데 생명은 찍특이 필수임
지학은 찍특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