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 수준에서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 맞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37019
아직 1학년이라 모르겠는데, 타대생들은 어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맞나요? 학부생 수준에서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인가요? 석사과정 정도는 들어가야 비로소 그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하거나 가늠하는 것이 유의미할까요? 궁금하군요.
사실 유의미하든 무의미하든 각자 나름대로의 답이 있을 수 있는것이
학사 수준에서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하는 것이 무의미한 것은 '학사' 졸업생만 놓고 보면 스카이든 서성한이든 자신의 전공에 대한 지식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이(문과 기준) 그 근거고,
반대로 유의미한 것은 대학 서열이 존재한다는 것이 그 근거고.
물론 대학 서열이 학문적 레벨만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서열에 작용하는 요소니까요..
타인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배고프다 0
..
-
나도 뉴비임 0
아이민을 보면 알 수 있다
-
ㄹㅇ 에바 1
31시간 공부는 못라니까 45분 까지 댓글 한개당 1시간 공부 찐막
-
중딩 여르비 1
좋아하는 여미새 등장
-
뉴비임.
-
31시간 공부는 4
어떻게해야하노
-
존나부럽다 디발~ 나도내년에그랫으면
-
노력해도 쉽게 바뀌지 않고 똑같은 결과가 나오는 걸 보면
-
공부얘기는아닌데 4
적당히말만하는 여자애가 학원 같이가자하면 좋아하는거같음? 아님 걍 친해지고싶어서 저러는거같음?
-
ㄱㄱ
-
여러개 달아도 댐 42분까지 내일 공부 ㅇㅈ 못할시 덕코나눔
-
옵부이들 화력 투하!!!
-
잠만 4
좃된거같노 ㅋㅋㅋㅋㅋㅋㅋㅋ
-
댓 하나당 공부 1시간 20
사람 한명당 댓 하나씩만 44분까지 받음(공부 많이 안하겠다를 돌려 말하기) 내일 채울거임
-
진짜 혼자지낼 운명인가봐
-
나도 좀 꼬인 사람인가 16
예전의 그 빌런놈 말고 지금만 봤을때 어떤지 가감없이 의견 ㄱㄱ
-
bxtre.kr/
-
이해원 수2를 풀다 트러스 미적을 풀다
-
레어팔아요 4
지금사면 반값 당근빼고
-
소신발언 13
나정도면 옯뉴비임
-
고양이 자세 10
히 보기
-
울어보실분~
-
3대운동 > 골프 > 러닝 다음은 뭐가될까
-
뭘 위해가는건지는 모르겠는데 일단시발 가자
-
막 천재는 괴짜다 그런건 아닐텐데 막 유난히 머리좋다거나 그런건 아니라
-
나 자러 간다는 뜻 잘 자 자기들
-
남캐일러 투척 2
-
왜 나 여자인거안믿음 16
?
-
2.방문을잠군다
-
자러갈게
-
아니 근데 학생도 정상아니란말이야 오르비 금테 과외선생 x 디시 파딱 과외생 재미있는 조합이긴함
-
듀.. 듀... 4
나 .. 안아..
-
고1 때 사회6 과학3 나온 사람으로써 얘기하자면 과탐은 재밌습니다. 제가 내신...
-
bxtre.kr/
-
진짜 ㅇㅈ마렵네 3
진짜 ㅇㅈ마렵네
-
솔직한 의견 부탁해요
-
닉변완 6
-
대치 목동 둘 다 가능한데
-
만덕코드림 7
마감할때까지
-
기억해두셈
-
사회화 열심히 한거 같애서 기분 좋음 근데 공감할때 머리를 ㅈㄴ 굴리는거여서...
-
공대지망인데 선택과목 사1,과1로 선택하고 수시최저에 과1개랑 수학으로...
-
미적 84 1
보정 백분위 몇일거같음?
-
T의 장점 6
팬티를 입어야된다고 가정해보셈
-
나 볼겸 올라오는 애들 나 내려온다니까 보자는 애들 자기 자취방 놀러오라는 애들...
-
T100인데요 15
연애가능할까용?
-
이미지3명만 23
-
연애는 F랑 해야돼 16
적어도 한달에 한 번은 우는 사람 T는 동족혐오 때문에 안됨
아, 그리고 상경계도 제외해야 하는데, 깜빡했군요. 그러니까 사회과학/인문학 쪽만요.
글쎄요..
냉정하게 말해, 학부생 수준에서 학문적 수준을 논하려면 무엇을 가지고 논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어요.
요즘 본인 전공에 대해 4년 공부하면서 70학점도 안 듣고 졸업하는 사람이 태반인데다가,
그마저도 해당 학문에 대해 깊게 공부하는 사람은 드물어 보이는데요.
자기가 속한 학교, 학과가 가진 강점과 소속된 교수님들의 연구 방향에 대해
그 깊이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학부생이 과연 있을까요?
정작 자기 지도교수님이 쓴 논문 제목조차 모르는 학생들이 태반인데요.
저도 존경하는 은사님들 몇분은 주로 연구하시는 분야가 어떤 것이고,
어떤 부분을 변형해가며 논의하시나 찾아보긴 했지만 온전히 이해하기는 커녕..
아~ 대략 이런 부분을 건드리시는가보다 하고 넘어가기만 할 정도거든요.
나름 이론들이 빤하다면 빤할 수 있는 거시경제 전공한지 4년 가까이 되어가는데 말예요.
그런데 인문학/사회과학..
학생 입장에서 학부의 학문적 성과에 대해 평가하기는 더 어려우면 어렵지,
결코 상경계보다 쉽진 않을 것 같네요.
결론은, 평가 기준도 자의적일 것 같고 평가할 입장도 못될 것 같아서
학부생이 학문의 수준을 논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곁가지인것 같기는 한데, 거시와 금융을 전공한 경제학 박사입니다만... 인문학 사회과학의 다른 분야에 비해 거시경제 이론들이 빤하다면 빤하다는 것에는 도저히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거시경제라면 경제학에서도 가장 말도 많고 학설 대립도 많으며 종합과학적 성격을 띄는 분야가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