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 수준에서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 맞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37019
아직 1학년이라 모르겠는데, 타대생들은 어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맞나요? 학부생 수준에서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인가요? 석사과정 정도는 들어가야 비로소 그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하거나 가늠하는 것이 유의미할까요? 궁금하군요.
사실 유의미하든 무의미하든 각자 나름대로의 답이 있을 수 있는것이
학사 수준에서 대학의 학문적 수준을 논하는 것이 무의미한 것은 '학사' 졸업생만 놓고 보면 스카이든 서성한이든 자신의 전공에 대한 지식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이(문과 기준) 그 근거고,
반대로 유의미한 것은 대학 서열이 존재한다는 것이 그 근거고.
물론 대학 서열이 학문적 레벨만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서열에 작용하는 요소니까요..
타인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시 100%에 정원50명선발 5년 공부후 의사시험처럼 90%통과하는 시험보고 검사임용하면
-
의도된 풀이는 3번조건도 내적으로 풀어서 타원 구하는건데 이거도 나쁘지 않은듯 근데...
-
제발..
-
사실 내신황임 구라임
-
그래도 와꾸 ㄱㅊ아질것같은데 젖살이 안빠지네
-
에휴이 4
-
죽겠다 1
에휴이
-
문제 하나 3
저 명제 참 거짓
-
전장 전체에 흐드러지게 핀 양귀비의 붉은 빛깔은 하늘을 불태우는 노을 밑에,...
-
먹고싶은게없어… 0
쿠팡이츠를 한시간을 뒤졋는데도
-
뉴진스 0
중국에서 제 데뷔썰 도네 ㅋㅋㅋㅋㅋㅋㅋ 완전 막장이구만 ㅋㅋㅋ
-
오르비 과외 0
에서 과외 구하는 게 다른 데 보다 낫겠죠? 본인이 학생
-
지금은 20시간 넘으니까 정신이 몽롱...
-
슈발 고대가 신이네 그냥 영어 감점도 안커 내신도 봐줘 사랑해요ㅛ
-
안녕하세요 저는 05년생이고 이번년도 수도권 의대 (특정될까봐 밝히진 못하지만...
-
시립대 전과 0
행정학과에서 ai쪽으로 전과하려는데 ai학과쪽으로 전화 드리니까 전과하려는 학과...
-
1종자동 딴 후 수동을 따고싶으면 그냥 장내기능시험만 따면 됨 필기 도로주행 다 면제된다네요
-
두렵다
-
걍 시대인재다닐거같이 생김
-
팔로우 와서 봤더니 음수 사칙연산 사진 올라와있음
-
노란색으로 되어있는 레어를 사면 약 20% 페이백 흰색으로 되어있는 레어를 사면 약...
-
근데 하필 3일차 수요일이라... 학교 가게되면 취소해여지 뭐...
-
등록금 너무 비싸지않나요? 재수가 더 성적도 많이 올릴수 잇고요 제가 잘 몰라서 물어봐요
-
체감도르
-
친구가 -4명임 7
인생만함
-
의대 성비 어케되나요 12
ㅈㄱㄴ
-
저격합니다 4
대학가면 여친 생긴다던 부모님,친구,선생,그외 저격함
-
금테만 달구.. 확실히 공부에 방해가..;;;
-
죽여줘
-
들어오네 ㅋㅋㅋㅋ 그만들어오라했다 .. 최우선닮은 남자얘들 엄청 많이봄
-
특히 오티 하시는거 보면 원래 의미부여,제작 컨셉 뭐 이런거 없이 바로 수업 관련...
-
모솔들 가둬놓고 패는 거임 커플들 꽁냥질 강제시청하다보면 체인소맨이 될거같애
-
헬스해라
-
난 그런생각으로 중고딩때 연애 안한건데.. 대학가면 다 낭만 cc커플 생기는거 맞지?
-
저 수학 4
가형 봐요 ㅎㅎ 이과라서
-
제목 그대로입니다ㅠㅠ
-
올해 사문에 꽤 하는 표본들 + 시대 컨텐츠 증가로 조금 쉽게나와서 만백...
-
충동적으로가보자
-
표정때문에 오해를 많이 받거나 첫인상으로...그런 오르비언들 있음?? 난 무표정으로...
-
ㅅㅂ 안생길거같아
-
트럼프 또 시작 4
ㄷㄷ..
-
젤라또 먹고싶어 2
하......
-
오늘 미적하고 5
내일 기하하고 낼모레 화2 해야겟다
-
한방에 합격 돌리면 안되나 후..
-
(대충 매우 심한 말)
-
만사가 귀찮은데 2
밥먹는거 마저 귀찮아서 계속 굶는데 왜 수학풀기는 끊을 수 없을가
-
메타인지 박살난건가요? 시발점 2회독 했는데 수분감만 하고 이미지커리 탈까요 엔티켓...
-
현기증 나네 1시간 넣었는데 어카지
-
오뿌이 귀족체험 10
Afternoon Tea Set in Hokkaido
아, 그리고 상경계도 제외해야 하는데, 깜빡했군요. 그러니까 사회과학/인문학 쪽만요.
글쎄요..
냉정하게 말해, 학부생 수준에서 학문적 수준을 논하려면 무엇을 가지고 논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어요.
요즘 본인 전공에 대해 4년 공부하면서 70학점도 안 듣고 졸업하는 사람이 태반인데다가,
그마저도 해당 학문에 대해 깊게 공부하는 사람은 드물어 보이는데요.
자기가 속한 학교, 학과가 가진 강점과 소속된 교수님들의 연구 방향에 대해
그 깊이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학부생이 과연 있을까요?
정작 자기 지도교수님이 쓴 논문 제목조차 모르는 학생들이 태반인데요.
저도 존경하는 은사님들 몇분은 주로 연구하시는 분야가 어떤 것이고,
어떤 부분을 변형해가며 논의하시나 찾아보긴 했지만 온전히 이해하기는 커녕..
아~ 대략 이런 부분을 건드리시는가보다 하고 넘어가기만 할 정도거든요.
나름 이론들이 빤하다면 빤할 수 있는 거시경제 전공한지 4년 가까이 되어가는데 말예요.
그런데 인문학/사회과학..
학생 입장에서 학부의 학문적 성과에 대해 평가하기는 더 어려우면 어렵지,
결코 상경계보다 쉽진 않을 것 같네요.
결론은, 평가 기준도 자의적일 것 같고 평가할 입장도 못될 것 같아서
학부생이 학문의 수준을 논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곁가지인것 같기는 한데, 거시와 금융을 전공한 경제학 박사입니다만... 인문학 사회과학의 다른 분야에 비해 거시경제 이론들이 빤하다면 빤하다는 것에는 도저히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거시경제라면 경제학에서도 가장 말도 많고 학설 대립도 많으며 종합과학적 성격을 띄는 분야가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