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ㅈ같이 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340006
몇번이 왜 이상한지 말해주셈
기출 찾아보게
시비 아님. 그냥 내 체감이 과거기출이랑 비슷한게 있는거 같은데 그렇다고 18~34다 찾아볼 순 없으니 물어보는거
댓글달면 찾아서 레퍼런스 달아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버기 1
부지런행
-
어제 에지간히 피곤했는갑네
-
ㅎㅎ 잠 깼다 1
기분 좋아졌어 아 나 진짜 대가리 꽃밭인듯
-
인권 보장 부탁.
-
계속 개소리 짓거리며 내말이 맞다고 우기는데 자고일어나면 그게 왜틀렸는지 알게됨..
-
작년 재작년에 더프쳤는데 거의 겹치려나요 풀지말지 고민인데
-
수학 N제 추천 1
죽기전에 이건 풀어봐라 하는거 있나요? 지인선 다하면 드릴할지 이해원할지 고민인데
-
으으 드러워서 내가 빡일한다 당분간 일하다가 많이 속상해할예정
-
발상노트 쓰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 문제 이해하지 말고 그냥 풀이랑 예시만...
-
새르비 뭐임 6
-
하..
-
재종다녀보신분들 1
재종다녀보신분들 시대랑 강대 중에 어디가 좋을까요 추천부탁드립니당
-
여기에 수업까지 끼면 힘들어서 우울증 올 것 같은데
-
(꾸준글 1일차)
-
검고보러간다 4
드가자잇
-
지각이다.. 1
(진짜 지각임)
-
트럼프 시발아
-
그러하다
-
살기싫어요 5
아 과외 아치에 잡지말걸
-
세상에 없는거 같아요 으아아ㅏㅏㅏㄱ 그래도 올해 성불해야되니까 갔다올게요
-
얼버기 3
피곤해
-
왜 비오냐 2
우산없는데
-
계속 숏치라는 하늘의 계시인듯 양봉마다 숏 때릴예정
-
내신 수업이지 ㅋㅋㅋㅋ
-
잘생겼는지 어떻게 확인하냐
-
졸려서 그냥 자버렸는데 뭐 난리가 있었나요..
-
농어촌 1
이번에 만약 의대 감축된다면 농어촌한테도 영향이 큰가요? 의대증원일때도...
-
ㅇㅂㄱ 1
머리 깨질거 같아요
-
블랙먼데이냐 시발?
-
얼버기 0
ㅇ
-
얼부기 2
방가워요
-
3년전에 활동하던 곳인데 그때나 지금이나 내 사상은 거기서 거기인듯 중딩때부터...
-
힘들어죽겠다...
-
새르비 개쩌네 1
저걸못봄..
-
시민1:헌재 불질러버려 #~# 시민2:이게 말이 되냐고오오오!!!! 전광훈:아니...
-
1. ∀x (E(x)) (모든 것이 존재한다) 1의 부정은 2. ∃x (¬E(x))...
-
션티하고 이영수 중에서 누가 괜찮을까요? 이명학은 제 수준에서 보기엔 힘들것 같아서 제외합니다.
-
질문 받음
-
말그대로 입니다 반수 하려는데 선택과목을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공대 지망이고...
-
바보고 손해보고 안그러고 살려그래도 잘 안되고 응응ㅇ.. 또 나만바보고..
-
아침에 올리겠음
-
어쩌다 잠못잠 2
아니 근데 왜 벌써 D-222냐...
-
. 10
일단 난 아님
-
고양이 만지고싶다 12
그냥 마구만지기
-
국힘이 정권재창출을 할수있는 방법,대통령 윤통의 마지막 역할 1
국힘 대선주자로 철수(비호감도 가장 낮고 중도 확장성 가장 큰) +지금처럼 강단있는...
-
D-222 0
영어단어 영단어장 day 2 복습 수특 3강 복습 그래도 꽤 많이 반복해 온 탓인지...
-
섹스 4
섹스
이상하진 않았고
그냥 어려웠음 ㅜ
확실히 국어는 경이롭게 잘 낸 거 같아요
댓글이 안달리면....뭐...18번부터 다 찾아서 올려볼게요..
개인적으로는 그냥 기출체화가 잘 된 사람이 잘 본 시험인 것 같아요
26 27번이요!! 저도 시비거는 거 아니고 이런 문제는 어떤 기출을 참고해야 될 지 찾아보고 있는데 힘드네용
아까 5시부터인가 찾기 시작했는데
못찾겠어요
ㅋㅋㅋ 근데 문제 다시 풀어보니깐 기출 함정 그대로이긴 하네요.. 6평에서 문학 다 맞고 자만해 몇 달 동안 손도 안댔더니 이번에 완전 망해버렸습니다.. ㅠ 다시 옛기출로 돌아가 분석하면 되겠죵
5시부터 찾았다니.. 죄송합니다 .. ㅠ
저 근데 숙영자전 21번에 3번 선지가 허용 될 수 있지 않나요 ㅠ
"선군이 부모지정을 잊지 못하여 새로이 슬퍼하니'이 부분 보고 적절하다고 판단했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망설이는 모습"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번 9평 문학의 특징이->"그냥 아무생각 없이 읽으면 맞는거 같은 선지" 가 많이 출제 되었는데 19,21,26,27,33,34모두 그러한 문제들이었습니다.
그중 23,33은 연계공부로 커버할 수 있는 내용이었고
나머지의 문제들은 선지파악도 물론 중요하지만
21번->정답률48퍼/4번선지28퍼,5번선지 15퍼
26번->정답률 53퍼/3,4,5순서로12,14,18퍼
34번->정답률42퍼/2345순으로9,22,18,10퍼
위 세 문항들은 매력오답이 문제가 아니고 사실상 5개의 선지중 정답이 뭔지 정확히 잡아내지 못해서 정답률이 저렇고 선지별 선택비율이 저렇다고 생각이 듭니다.
1차적인 것은 지문독해의 문제이고
2차적인 것은 기출에서 정답을 어떻게 내는지 입니다.
3개년치 "수능"만 쭉 뽑아놓고 정답선지를 하이라이트쳐놓고 보면
어떻게든 이의제기만큼은 받지 않겠다는 의지가 보입니다.
연관 기출을 못찾아드려서 죄송합니다.ㅠ
아 슬퍼만 한 거고 올라가는 것은 결정내려진 사항이군뇨.. ㅠ
연관 기출은 괜찮습니다 오히려 제가 감사하죠 26번도 틀렸는데 지금 보니 주제만 제대로 잡았다면 헷갈릴 이유가 없겠더라고요.. ㅠ 이번 9평 21번처럼 22수능 부호가의 "깊은 장막 안'이라는 말을 보고 당연히 적막함이 허용이 된다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것은 어떻게 고쳐야 하는 걸까요 27번 역시 맞긴 했지만 2번 선지에서 '무우'와 '고구마'의 차가움과 따듯함 역시 허용이 된다고 생각했는데 저도 모르게 자꾸 이런 식으로 주관이 들어가버립니다 ㅠ
제 글 목록보면 "34번 틀린 사람들아" 이런 글 있을텐데
거기서도 이야기 했듯 그런 점을 인식하고 풀어나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시험장에서는 몸에 체화된 본능만으로 문제를 풀게되거든요.
사실 해설강의나 해설지들은 이미 어느정도 정제과정을 거쳐서 깔끔하게 나오는거지 강사들이나 1등급 모두가 그 해설대로 푸는 것은 아닙니다.
그 주관이 들어갔던 문제들에 책갈피 같은걸 붙여놓고 매일 보는게 제일 효과적이었던 것 같아요.
논리구조를 이해하고 왜 틀린건지 파악하는건 당연하고
그걸 "당연하게"수행해 낼 수 있게 만드는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하 ..... 수능 직전까지 틈틈이 꾸준하게 봐야겠네요 늦은 시간까지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