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고수들 풀어보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278043
이거 ㄴ 도 정답가능 아닌가요?
글리코젠이 포도당으로 전환하면서
혈당량 올라가고 포도당이 세포로 계속 흡수되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278043
이거 ㄴ 도 정답가능 아닌가요?
글리코젠이 포도당으로 전환하면서
혈당량 올라가고 포도당이 세포로 계속 흡수되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일차적으로 생각하셔야함
제가 과해석한듯
비유가 맞을진 모르겠는데 “어 얘가 때리네 막아야지” 정도만 하시면됩니다 “얘가 때리는데 내가 막으려는걸 보고 어쩌고 저쩌고 ~~“ 이런식으로 딥하게 들어갈 필욘 없어요 특히 항상성단원에서는요
감사아아아ㅏ아
A가 글루카곤 아닌가요
ㄴ은 인슐린 역할
2222
혈당량도 영향못주나요? 프로모터에는 그렇게 해설이 되어있어서요
중요사건만 보는게 핵심임 항상성은
일단 A는 글루카곤이고 사건이 시작된 이후로 A의 농도가 상승하기 시작했으니 사건은 운동 시작임. 운동을 시작한 이후로 몸에서는 연료를 필요로 하니 포도당을 태우기 시작할거니까 a를 간에서 분해되는 글리코젠의 양으로 보는게 합리적이죠… 단순하게 생각하셔요 사건과 관련된 과정만 고려해야댐요
그럼 만약 중요사건이 탄수화물섭취라면 인슐린 때문에 ㄴ 선지는 참이되겠네요? 흠.. 좋네요 감사합니다
정답입니도~ 그냥 그렇게 단순히 생각하시면 돼요 한마디 더 하자면… 전 현역때 그게 그렇게 헷갈렸어요 그 피부에 저온자극 주면 체온 낮아지는거… 이것도 비슷한 맥락의 사례니까 챙겨가세용
감사합니당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틀린선지인데
맞다고 우길수도 있을거 같으니
암튼 평가원에선 안 나올 선지라고 믿을거임..
근데 좀 여담이지만
윗분 말씀대로 일차원적으로 단순하게 생각해야함
TRH TSH 티록신 여기랑 비슷한 느낌으로다가 해야할듯
저도 만약 고르라면 ㄴ은 틀리다고 주장할고같은데..
그냥 맞는거같긴해서..흠 윗분말들 들어보니 제가 너무 과해석한 느낌도있는듯
윗분들 댓 참고하셔요
운동 시작하고 ‘짧은 시간동안’ 혈당량이 낮아지고 글루카곤 분비가 증가하니
그 동안 세포로 흡수되는 포도당 양이 증가할 수 없습니다
ㅇㅇ 님말대로 과해석하신듯
이거 답 ㄱ,ㄷ 맞죠?? 하 난 근육이 문젠데 큰일이네
전 생명이 문제임 ㅋㅋ... 개념도 다 못맞음 하 3만 나와라
수영 1나오는 황이 왜 과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