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용 [1227239] · MS 2023 · 쪽지

2023-08-17 16:13:37
조회수 1,436

언매황님들께 질문하나 올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104275

소자 의존명사에 대해 잘 모릅니다….


의존명사는 조사와 붙고, 앞에 관형어등이 붙는다고 알고 있는데,


관형어는 관형사형 어미가 붙지 않습니까? 


말도 끝나기 전에 나가 버렸다 


에서, 명사형 전성어미 ‘기’ 가 붙었는데, 왜 ’말도 끝나기‘ 가 관형어 인건가요?


+ 의존명사 앞에는 ‘반드시’ 관형어가 오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혜원 · 881717 · 23/08/17 16:18 · MS 2019

    명사형전성어미가 붙어도 관형어가 될 수 있어요

    아마 관형어가 반드시 올거임(정확하지않음)

  • 아재용 · 1227239 · 23/08/17 16:20 · MS 2023

    갓혜원님, 그러면 의존명사 앞에 있는건 관형어기 때문에 (말도 끝나기)가 관형어이다!고 판단하는게 적절한가여?

  • 강혜원 · 881717 · 23/08/17 16:22 · MS 2019

    네 -어(관형어,부사어) 체계는 문장안에서 무슨역할을 하는 건지 보는거기 때문에

    어? 전 이라는 의존명사를 수식하네?

    관형어겠군

    이렇게 판단이 나가아해요

  • 아재용 · 1227239 · 23/08/17 16:25 · MS 2023

    ‘수식’의 의미가 ‘의미를 더욱 정확하게 하는 것, 의미를 더해주는것‘ 정도로 생각하면,
    ’전은 전인데, 말하기도 전! 의미가 더욱 분명해 졌으니 수식의 역할이다!’ 고 생각하면 될까요?

  • 강혜원 · 881717 · 23/08/17 16:28 · MS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