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ANT#1 [1237317]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08-15 22:15:19
조회수 3,104

시간 여유가 되시는 goat분들 질문 좀 받아주세용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087779

출처는 2022학년도 수능 "브레턴우즈체제"지문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뒤로가기 하지 마시공 한 번 읽어봐주시고 도움 부탁드려요 ㅠㅠ


브레턴우즈 체제 지문 中 3문단에서


"1970년대 초에 미국은 경상 수지 적자가 누적되기 시작하고 달러화가 과잉 공급되어 미국의 금 준비량이 급감했다."


라는 문장이 있는데요 이 문장에서 2가지 의문점이 있습니다







Q1. 경상 수지 적자는 수입이 수출을 초과했는다는 것인데 즉 미국에서 내보내는 것보다 들여오는 것이 더 많다는


      이야기인데 이게 왜 달러화가 과잉 공급된다로 이어지는 지 모르겠습니다 달러화의 과잉 공급은 미국이 경상 수지

      

      적자 지속에 대한 해결책인 건가요??




Q2. 제가 경제를 잘 몰라서 그런데 달러화가 과잉 공급된다면...통화량이 증가하면 가치가 하락하는 것처럼 달러화의 

     

      가치가 하락하겠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지문 뒷 문장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달러화의 가치를 하락시켜야한다"라고 적혀 있더라구요..


       이미 하락했다고 생각했는데 더 하락해야 한다고 얘기하니 여기서부터 이해가 잘 되지를 않았습니다...ㅠㅠ


       







최대한 가독성 있게 적었는데...혹시 시간 되시는 분들 있으시면 도움 부탁드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엔믹스고잉 · 1247783 · 23/08/15 22:19 · MS 2023

    둘이 인과관계가 아니지 않나요?

  • RADIANT#1 · 1237317 · 23/08/15 22:25 · MS 2023

    Q1 관련된 답변이신거 같은데
    "경상 수지 적자가 누적되기 시작하고 달러화가 과잉 공급되어"
    라고 적혀 있어서 두 개가 약간의 연관성을 지니는 건가 라고 생각했습니다..ㅠㅠ
    어떻게 읽었어야 했을까요....ㅠㅠ

  • 엔믹스고잉 · 1247783 · 23/08/15 22:37 · MS 2023

    달러화의 과잉공급 객체는 미국이 아니라 다른 나라들입니다. 다른 나라들에 달러화가 계속 공급되면 금 태환 의무를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그렇기에 달러화 가치를 평가 절하시켜 부담을 경감시키는겁니다.

  • RADIANT#1 · 1237317 · 23/08/15 22:43 · MS 2023

    아하 달러화의 과잉 공급이 통화의 공급량을 늘리는 것처럼 생각해서 미국 내에서 공급된다라는 말인 줄 알았는 데 그게 아닌가보군요..!
    살짝 궁금한 것은 이 달러화의 공급 객체가 미국을 지칭하는 게 아닌 근거를 혹시 제가 지문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ㅠㅠ
    다음에 비슷한 것을 봤을 때 공급 객체를 근거있게 제시할 자신이 없어서요 ㅠㅠ

  • 엔믹스고잉 · 1247783 · 23/08/15 22:48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엔믹스고잉 · 1247783 · 23/08/15 22:51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엔믹스고잉 · 1247783 · 23/08/15 22:52 · MS 2023

    경상수지의 적자가 된다는건 당연히 미국 입장에서 달러화를 지급하는 것이니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가 공급 객체라는걸 추론할 수 있죠

  • RADIANT#1 · 1237317 · 23/08/15 22:56 · MS 2023

    오....!
    적자와 흑자를 통해 국가 간의 지불과 관련된 문제로
    달러화의 공급이 다른 국가와의 연결을 의미한다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군요...ㄷㄷ
    근거까지 명확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 엔믹스고잉 · 1247783 · 23/08/15 22:59 · MS 2023 (수정됨)

    지문의 내용을 정리하고 조립했을 때
    1)경상수지 적자->달러화 과잉공급
    2)경상수지 적자=수입>수출
    3)수입>수출->달러화 과잉공급
    *)수입:화폐를 수단으로 재화를 사들임

    그러니 화폐를 지불하는, 수입이 는다면 달러화가 과잉공급된다는 것은, 달러화가 늘어나는 곳은 미국이 아니라 교역국이라는 것으로 추론됩니다.

  • RADIANT#1 · 1237317 · 23/08/15 23:07 · MS 2023

    헉 추론과정이라니....마무리까지 해주실 줄은 몰랐습니다
    첫문단에서 꽤 생각,추론해서 읽어야 할 부분들이 많았군요..ㄷㄷ
    확실하게 어느 부분을 놓쳤던 건지 이해가 됐습니다..!
    바쁘실 텐데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드립니다!!!

  • RADIANT#1 · 1237317 · 23/08/15 23:13 · MS 2023

    다시 들여다보고 확실하게 이해했습니다!!
    브레턴우즈체제 지문 이라고들 얘기하지만
    사실 "경상 수지"라는 큰 틀을 갖고 지문이 전개되는 거 같네요(라고 느꼈습니다...ㅋㅋ)
    간지러웠던 부분이 해결된 거 같아서 너무 기쁩니다
    답변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 elecson · 568885 · 23/08/15 22:27 · MS 2015

    1. 수입이 많으면 돈 주고 사온 게 많단거니 해외로 달러가 많이 나감
    2. 달러화의 가치를 떨군단건 금에 대한 달러 가치이지 다른 화폐에 대한 가치까지 떨구는 건 아님. 10달러로 금 10개나 1000원과 교환할 수 있는데 10달러와 1000원교환비는 유지하고 금만 교환비 바꾸어서 10달러로 금 5개 밖에 못 사게 되면 금에 대한 달러의 가치는 떨어지는데 원화와의 가치는 유지되죠.
    무엇에 대해 가치 내리는지 올리는지 대상까지 정확히 파악해야지 안 헷갈리실거에요

  • RADIANT#1 · 1237317 · 23/08/15 22:40 · MS 2023

    헉 궁금한 점만 골라서 시원하게 해결해주신 거 같습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게 맞는 지 재질문 남겨놓겠습니다...!(ㅎㅎ..)

    1. 그렇다면 수출도 있겠지만 수입으로 인해 달러화가 다른 국가로 많이 공급되었기 떄문 이라는 이유로 해석하는 게 맞나요?? 저는 달러화의 공급이 미국 내에서의 공급인 줄 알았는데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까지의 공급을 얘기한 건가 보네요..!?


    2. 해주신 답변을 읽고 저 대상을 파악하는 과정이 되게 복합적이겠다라고 느꼈습니다...
    ---> 재질문을 드릴려고 했는데 쓰다보니 댓글 재질문으로 드리기에는 부담도 있으실 것 같고 실례가 되는 것 같아 적다가 지웠습니다..!!다른 글로 또 다른 분꼐 도움을 얻겠습니닷..!

    재질문에서 제대로 이해한 게 맞다면 명쾌한 답변을 주신 것 같아 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elecson · 568885 · 23/08/15 22:55 · MS 2015

    경상수지는 수입과 수출 따지는거라 자국 내에 풀린 통화량을 고려할 건 없어요. 수입이 많다 수출이 많다 이건 수입과 수출을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말하는거니까 어떻게 서술돼있든 나가고 들어오는 양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돼요.

  • RADIANT#1 · 1237317 · 23/08/15 22:58 · MS 2023

    아하 항상 자국 내에서의 상황으로 해결했던 지문들을 많이 접해서 경상 수지도 국가 간의 거래가 아닌 자국 내에서의 상황들로 해석한 거 같네요 ㄷㄷ
    질문과 답변을 통해서 어디가 부족한 지 명확하게 파악해서 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 ㅠㅠ
    바쁘신 데 정성스러운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