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100 기적] 실모 제대로 푸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051638
수능 100일이 깨졌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서서히 실모(실전 모의고사)를 풀기 시작할 시기입니다. 여러분이 실모를 푸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만약 두 학생이 같은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저는 실모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서 두 학생 등급이 두 개 이상 차이도 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실모를 실모답게 활용하는 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실모를 많이 풀면 점수가 올라갈 것이다.
>>실모는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최하점을 높여준다.
어떤 공부를 할 때 공부를 왜 하는지 그 목적의식을 갖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냥 매일 조금씩 하다보면 언젠간 실력이 늘겠지 하는 생각은 상당히 위험합니다. 실모도 마찬가지로 무작정 푸는 게 아니라 실모를 푸는 목적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 보는 게 좋습니다. 실모는 말 그대로 ‘모의고사’ 입니다. 따라서 실모는 자신의 실력을 테스트해보는 일종의 ‘시험’일 뿐입니다.
우리는 각종 모의고사를 통해 실제 시험에서의 느낌이 어떤지 간접적으로 체험해보고 시험에 대한 대비책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실제 시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해 대비해보는 용도로 실모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을 위해서라면 처음부터 문제를 제대로 곱씹어볼 수 있도록 기출학습이나 n제를 활용하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실전 모의고사로 실전 연습을 해가며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본래 실력만큼 점수가 나올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3월 6월 9월 순서대로 1 4 1 등급인 학생이 있고, 2 2 2 등급인 학생이 있다고 할 때 저는 적어도 정시에서는 후자가 더 유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만큼 수능은 변수가 많고 무서운 시험입니다. ‘최고점’을 경신하는 데 신경 쓰기보다는 ‘최저점’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만드시면 좋겠습니다.
2. 실모는 무조건 실전 환경처럼 푸는 것이 좋다.
>>실모는 각종 극한 환경에 대한 경험을 통해 주변 환경에 무뎌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모는 무조건 실전 환경에 맞춰서 풀어야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실제 과목별 시간대에 맞춰서 모의고사를 풀기도 합니다. 물론 정해진 시간대에 뇌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그래서 수능 전에 학교에서, 학원에서 하루를 풀로 모의고사만 보기도 합니다. 그런데 실전 모의고사를 실전 환경에만 맞춰서 풀고 수능을 보게 되면 수능 때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 모의고사 날 긴장남과 실제 수능 날 긴장감을 비교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수능 때 제 실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실전 보다 더욱 안 좋은 환경’에서 미리 연습을 해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저는 평상시에 학교 내신을 보거나 모의고사를 볼 때 단 한 번도 제가 주변 환경에 예민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첫 수능 날, 이상하리만큼 주변 환경 하나하나가 신경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옆 사람 의자 소리가 너무 크게 느껴졌고 대각선에서 다리 떠는 모습이 보이자 제대로 집중 자체를 하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간 모의고사 중 가장 낮은 성적을 수능에서 받았고, 그래서 두 번째 수능을 준비하면서는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일부로 시끄러운 카페에 가서 국어 모의고사를 풀어보기도 하고, 독서실도 양옆이 칸막이로 막힌 자리에서 사방이 트인 자리로 바꿔 모의고사들을 자주 풀어봤습니다. 주변이 소란스러우면 처음엔 신경 쓰이는 부분도 많고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몇 번 반복하다보니 그러한 소음에 큰 상관없이 시험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매번 모의고사를 풀 때 점수에 연연하기보다는 주변 환경에 짜증내지 않고 얼마나 잘 집중했는가를 위주로 체크 했습니다. 실제 제 두 번째 수능날에도 시험지 배부(홀짝)가 잘못되고, 마킹을 밀려서 하는 등 당황할 법한 일들이 꽤 있었습니다. 아마 현역 때였다면 거기서 멘탈이 나가 시험 마무리를 제대로 못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워낙 다양한 상황(카페에서 모의고사 풀기, 밤새고 모의고사 풀기, 시간-5분 하고 모의고사 풀기 등등)에 대한 연습 덕분에 이 정도는 예상했다는 담대한 태도를 가지고 시험을 잘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연습은 어렵게, 실전은 편하게’ 시험을 보는 것을 목표로 삼아 준비하시면 좋겠습니다.
3. 실모는 오답 분석을 꼼꼼히 해야 좋다.
>>같은 문제는 또 안 나온다. ‘반성은 짧고 실행은 빠르게’
예전에 현우진 선생님께서 캐스트에서 하신 말씀입니다. 실모를 풀 때도 문제에 대한 상세한 분석(반성)은 빠르게 끝내고, 이를 다시 다른 문제에 적용해보는(실행)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모든 문제를 꼼꼼하게 하나하나 분석해본다면 좋겠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이미 풀었던 시험지, 그것도 틀린 문제를 처음부터 다시 보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모의고사를 봐 보신 분들이라면 다 알겁니다. 무엇보다 그렇게 틀린 문제가 그대로 수능에 다시 나오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해야 할 것은 ‘문제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아닌 ‘나에 대한 분석’입니다. 내가 이 문제를 풀 때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그리고 왜 틀렸는지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입니다. 실수도 실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했던 실수가 생각보다 자주 반복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만약 다 풀어놓고 마지막에 계산 실수로 문제를 틀렸다면 ‘막판 계산 실수’라는 ‘내가 틀린 이유’를 설정하고, 앞으로 문제들을 풀 때 마지막 계산에서 의도적으로 신경을 쓴다든가 마지막 계산만 두 번 해본다든가 하는 행동요령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언어과목도 마찬가지입니다. 언어과목은 특히 본인의 나쁜 습관들이 생각보다 잘 고쳐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나에 대한 분석’이 많이 도움이 됩니다. 일례로 영어를 풀 때 지문 해석이 잘 안되면 대충 지문에서 나온 것 같은 단어가 있는 선지를 답으로 고르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는 매력적인 오답 선지를 만드는 원리이기도 합니다. 이 경우 특정 단어만 보고 답을 골랐다는 점이 ‘나의 문제’가 될 것입니다. 이에 대해 지문의 특정 단어가 선지에 그대로 옮겨져 있다면 일단 한 번 의심해보자는 나만의 행동요령을 만들어 같은 방식으로 오답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매력적인 선지가 지문에서 그나마 해석이 되는 부분의 내용과 양립가능한지 확인해 보는 등 더욱 구체적인 자기만의 행동요령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실모들을 풀어보며 내가 수립한 행동요령들이 잘 지켜지는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나에 대한 분석’을 해보니 저의 경우, 영어 과목에서 지문을 해석해 놓고도 선지를 고를 때 뇌피셜이 가미되어 잘못된 선지를 고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선지를 고민할 때 선지끼리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지문을 다시 한 번 확인하자는 행동요령이 생겼습니다. 국어 과목에서는 옳지 않은 것인데 옳은 것이라고 착각해서 판단을 제대로 못하고 답도 제대로 못 고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에는 의도적으로 ‘옳지 않은’에 X표시, ‘옳은’에 O표시를 해가며 문제를 풀었습니다. 이러한 행동요령들이 특정 과목에 대한 근본적인 실력을 향상시켜 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시험을 얼마 앞두지 않은 상황에서 점수를 최대한 끌어올리는 데는 개념 한 두 개 더 아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도움이 되는 정보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0 XDK (+100)
-
100
-
나만 에피없어 18
사실 대학도 못갔어
-
개념할때 좋은것 0
생각의질서
-
인생 ㅈ같네 4
ㅗㅗㅗㅗㅗㅗ 다 똑같이 등록금내면서 왜 원하는 수업은 못듣는거임?ㅋㅋㅋ
-
생윤 기출? 0
현재 림잇만 듣고 있고, 필기 복습과 교재 내 문제만 풀고있습니다 풀커리를 탈...
-
이런건좀 없애라
-
걍 수특 수완 푸는게 낫지 않냐
-
특정 단어만 보고 불나방처럼 꽂히는 거 고쳤더니만 이젠 무의식 영역에서 고쳐야...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52344->31232
-
연고서성한은 좀 떨어진거 같다고 하는데 경희도 떨어졌나요? 건동홍은 오히려 추합이...
-
점심 ㅇㅈ 스윽 13
-
무기력하다...
-
국민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국민대25][성적/재수강/출석]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국민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국민대학생, 국민대...
-
다들 기대해라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센츄 언제나오지 6
지난달처럼 22일인가
-
난 쉽던데 아직까진
-
미적과탐에서 미적사탐으로 간다면
-
ㅇㅇ?
-
그게나야... 이번주 왜이렇게 추워졌냐?? 그래도 다음주에는 날씨 풀린다니까 ..
-
아 근데 남자임
-
이때까지 컵에서도 팬들끼리 실험픽실험픽 했던게 진심픽으로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
분위기 매우 굿굿 물론 미적 기하 둘 다 했으니까 가능한 선택이긴 했어요
-
ㅈㄱㄴ
-
계좌 4700만원 사기가 어쩌구 근데 경찰서 알려달라고 + 직접 제가 출석한다니까...
-
좋군
-
ㅍㅎㄴㅇㅍㅁㄴ
-
기숙학원 독재로하는 잇올기숙학원 갈빠엔 걍 잇올 독재학원 가는게 나아요? 1
독재기숙하원이 독재일반학원보다 나으려나요“ 가격은 4배인데 달라진게 잠케어?뿐이라
-
인생 ㅈ됐다
-
고3모 3월부터 수능까지 1-3진동하는데 좀 깔끔하게 글 읽는 법 배우고 안정1...
-
카나쟝 보고싶어 0
카냐쟈응..
-
에타 계정 공유 가능 하신 분 있으실까요…
-
인생 ㅈ같다 7
왜 나는 불행하게 태어난것인가
-
일어남 밥먹음 게임함 놀러감 열품타 밥먹음 열품타 편의점 밥먹음 게임함 잠에듦
-
확정인가요?? 수능에서 안나오나요??
-
요즘 정신적으로 너무 피폐해진거 같음.. 초반에는 ㄱㅊ게 공부해ㅛ는데 쩝 이 순간만...
-
국어 - 매3비,문 하루치씩 풀고 오답정리 김승리 Aok 본교재랑 엮어읽기...
-
낙지에서 인설약 영1:지사의=인설약 영2:경한>=인설약 입시끝! 컷 공개...
-
언매 나기출이랑 0
검더텅이랑 문제 차이 많이남? 방학동안 나기출 끝내고 1학기 내신할때 검더텅 하려...
-
나도입학식갈까 2
가면 봉사해야되긴 하는데 흠
-
나를 걱정했었나요 무엇도 해줄 수 없는 내 맘 앞에서
-
아이폰 15프로 vs 16프로 15프로가 더 가볍다길래 15가 끌리는데 16프로가...
-
n칸 쓴사람도 손 와들와들 떨면서 써서 붙은거임
-
그리고 2025학년도 18월 모의고사 2025학년도 21월 모의고사를 응시한 후...
-
벳 보임? 11
.
-
뭐야 ㅅㅂㅋㅋㅋㅋ 진짜네 현돌-대성 뭔 일이 있었구나 9
https://blog.naver.com/cucuzz/223459130784?trac...
-
23 수2드릴 모르는거만 모아서 풀고있는데 한 권에서 두개나 못풀엇어 ㅠㅠ 으휴야 으휴
-
정신과옴 4
상담하고 검사 예약하고 숙제 받았음
-
서치좀 해보니꺼 37만원인거 같은데 맞나요? 그리고 환급없나

제 의견과 정확히 일치하네요! (소름)나에대한 분석이 진짜 중요하죠 동감합니다 저도 문제분석은 그냥 틀린 이유만 찾고 넘어가는거같아여
그냥문제푸는거보다 훨씬 중요한 것 같습니다ㅎㅎ
국어 실모 풀때 시간은 그냥 80분 다 잡을까요? 아님 줄여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