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할수있다시발 · 1179802 · 23/08/10 20:07 · MS 2022

    보기 문제 아니어도 어려운 문제 있어요 2점이라고 다 쉬운 건 아님

  • ㅈㅅㅎㅇㅇㅇ · 1093323 · 23/08/10 20:13 · MS 2021

    이해한내용의 답이 보기3점에만 있었을수도

  • 물리하는문과생 · 1037202 · 23/08/10 20:23 · MS 2021

    유형별로 다르지만 대부분
    꼼꼼한 독해랑 추론력이 약한 경우
    보통 2점 내용일치/비판 문제
    많이 틀리는 경우는 이럼
    내용일치 말장난, 선후관계, 허수아비 공격 오류
    이런 것들
    그리고 비판은 비판 하는 사람 입장과
    비판 받는 사람 입장 고려해야 한다는 것

    <보기>는 추론의 방향을 제시해주니
    비교적 풀만해도 내용일치, 비판 많이 틀리는 경우가 그래요

    결국 꼼꼼함과 추론력을 기를 필요가 있을듯요..?

  • 조선캉테 · 1155913 · 23/08/10 20:25 · MS 2022

    좀 더 자세히 읽으면 되나요?

  • 물리하는문과생 · 1037202 · 23/08/10 20:28 · MS 2021

    네 머릿속으로 정보를 정리해 가면서
    꼼꼼하게 읽으시는 습관이 필요해요
    또 문제 푸실 때도 해당 내용이 나온 부분과
    빠르게 왔다갔다 하시면서 대조하면서 푸셔야 하고요
    중요할 것 같은 개념이나 개념의 나열
    상하 비례 관계 이런 게 나오면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표시해 두는 것도 좋아요
    상하 관계, 유사 관계, 이항대립, 비례, 세부미시독해
    이런 것들이 출제 포인트입니다

  • 조선캉테 · 1155913 · 23/08/10 20:35 · MS 2022

    그럼 기출,N제 지문을 풀 때도 적용해 가면서 풀면 되나요?

  • 물리하는문과생 · 1037202 · 23/08/10 20:36 · MS 2021

    네 결국 기출이나 n제/사설이나 푸는 논리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사설/n제는 기출이 비해 정보량이 매우 많거나
    높은 수준의 추론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결국 푸는 방식은 똑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