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016551


19번 5번 선지가 적절한 이유가 뭔가요? 첫번째 문단을 보면 번역과정에 관여하는건 리보솜과 RNA 아닌가요? 관여는 참여를 의미하는데 DNA가 번역과정에 참여한다고 보긴 어렵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감정 누군가를 신경쓰거나, 좋아하거나, 사랑하거나, 혹은 싫어하거나, 증오하거나,...
RNA가 DNA로부터 생성되서요
그리고 3문단에 보시면 워딩도 있네요
표적 DNA의 정의로부터도 알 수 있고요
수능국어 선지에서 말하는 '관여'는 '영향이 조금이라도 있음'을 말하는 건가요? 저는 직접 참여하는 것만 관여라고 생각해서 저 문제를 어떻게 납득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저도 그런 부분은 잘 모르겠지만 틀렸다고 할 수는 없어요 RNA자체가 DNA로부터 생성됬다고 하고 3문단에 표적DNA의 정의에서도 알 수 있으니까요
수능 국어는 어짜피 오류 안나오니까 확실하게 틀렸다 싶은 걸로 찍으시죵
rna를 토대도 번역과정을 한다고 적혀있는데 바로 앞줄에 dna의 사본인 rna라고 적혀있죠? 그럼 rna는 dna의 일부분이든 전체든(생명 선택자가 아니라서 둘중 뭔진 잘)이겠죠! 그럼 5번 맞는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