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레벨(이원화캠) 인식은 알수가 없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005777
친구랑 얘기하는데
나는 성대는 수원캠 서울캠 둘다 같은 학교라고 생각하고
경희대까지도 국제캠 서울캠 둘 다 비슷하다고 생각하는데(물론 서울캠이 높은건 알고 있지만 인식상 같은 경희대같음)
중앙대,홍대,외대는 말이 이원화지 사실상 분교급이라고 생각하고 살았음.
근데 친구랑 대화해보니 성대는 이견이 없지만 중앙대는 이원화라는 인식이 강하고 경희대 홍대 외대는 거의 분교라고 생각하네... 입시 문외한은 아닌게 나름 신촌에 있는 명문대 다님... 아니면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2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고1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ㅎ 어제가 4월 학력평가였네요 ㅎ 다들 잘 보셨는지 모르겠네요 ㅎㅎ...
-
글 수정이 안되서 따로 글 썻습니다. 이해 안되는거 있으면 질문해요 ^^
저도님이랑생각비슷함요
저중에 외대는 그나마 이원화 인식 좀 있긴 한듯 저는
경희대 수원이 어캐 분교임..
분교라는게 아니라 말이 이원화지 다른 대학이라고 생각하더라고요. 오히려 중앙대 안성을 높게 쳐주고
경희대 수원<중앙대 안성...? ㅋㅋ 그냥 거르셈 그친구말
ㄴㄴ 경희대랑 중앙대를 비교한게 아니라 경희대 서울 경희대 국제는 완전 별개의 대학, 중앙대 서울 중앙대 안성은 그래도 하나의 대학. 이렇게 생각함
홍대는 학과가 일단 주요학과가 없었던 거 같아서 그렇고...(예체능이랑 몇 개 들어본 적 없는 학과였던 거 같은데 아님 망고)
외대는 애초에 문과중심 학교, 용인캠은 일부 소수어랑 이과 캠퍼스니 당연히...이원화지만 낮아보임
경희는 억까인 듯...그냥 단순히 이과 평백이 문과보단 살짝 낮으니 만들어진 입결이고...요즘 수원 가느니 시립이나 건대 가렵니다 하는 친구들이 있다고도 하니까...
근데 성대는 삼성으로 버티는 건가...전 모르겟네요 그냥 인간들이 만든 특이한 현상임
중대 재학생들은 이원화라고 생각 안함

국제가 어떻게 별개죠..?경희대 성대를 분캠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음? 신기하네
성대는 분캠으로 생각 안하던데 경희대는 분캠 아니냐는 얘기 듣고 입시 관심 없으면 그렇게 생각하는구나.. 싶엇음
경희대 공대가 수원인데 어케 분교지... 분교로 복전하는 본교생들..?
대충 입결로 따지능거 아닌가용
외대는 올해부터 중복학과 하나도 없고 첨단학과 많이 신설해서 사실상 이원화에 수렴
입결도 서울캠퍼스에 수렴하기까진 힘들더라도 많이 올라가려나요
외글 위치 조금만 더 좋았어도 인기 훨 많았을거같은데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수험생들이 좋아하는 첨단 학과가 많이 생겼습니다.
근데 외글은 입결이 너무 차이 나서 아직 인식 바꾸긴 힘들듯
입결 변하고 5년정도 있어야 인식도 바뀌던데
외글은 입결부터 따라잡는게 급선무 너무 차이남
그리고 수험생들 생각보다 이름만 번지르르한 학과 별로 안좋아함 지잡대 같아서
교수들의 반발을 조정하여 중복학과를 완전히 없애는 내실있는 개혁을 성공했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학과를 만들어 좋은 아웃풋을 배출하는 선순환을 만든 점이 매우 긍정적 . 중복어학과보단 사회수요가 많은 학문 흐름을 적극 반영하는 실리를 중시하는 학과는 대학 발전에 매우 도움이 되는데, 미래지향적인 사람보단 구태의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겐 학과명이 낯설 수도 있겠음.
3,4줄에서 경희 공대생들 발작예정인 글입니다.
친구가 전문대 고졸아님? ㅋㅋㅋㅋㅋ
경희대 국캠 입결부터 1~2등급 최상위대학인데 ㅋㅋㅋㅋ
본문에 써뒀듯 나름 신촌에 있는 명문대생임 ㅋㅋ
그럼 그 친구가 무식한거임. 그 친구보다 똑똑한 명문대 석박 즐비한 대기업에서는 경희대 국캠을 명문대로 좋게보니까
무식은 좀 ㅋㅋ
저걸로 억지부린것도 아니고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는건데 입결에 관심 없으면 당연히 모를수도 있지
'나름' 신촌 명문대면 서강대 아님?
연대,서강대,이대 중 생각하고 말한거긴함
뭔 ㅋㅋ 애초에 경희대는 국캠이 더 높지 서울이라고 하면 아.. 문과..? 이러는데
그럴 수도 있다고 보는게 관점의 차이라고 생각함. 지금 글쓴이를 포함 댓글 다신 많은 분들이 분교인식/본교인식의 개념을 입결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입결을 떠나 정말 이원화 정체성으로 생각하면.. 서로 다른 캠퍼스에 중복되는 학과가 없으면서 각기 자기캠퍼스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게 이원화! 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함.
그런 면에서, 경희대는 행정상으로는 이원화긴한데 아는 분들은 알겠지만 서울/국제캠 간의 서로 구별되는 색깔과 특징이 솔직히 전혀 없음. 성대처럼 인문/자연으로 나뉜 것도 아니고 심지어 같은 과라고 생각되는 물리/응용물리, 화학/응용화학 처럼 되어 있어 양 캠간의 캠퍼스 구성 및 특색이 없다고 생각함. 중대의 경우, 서울/안성 간의 단과대가 서로 겹치는 것이 없고 안성은 예체능/바이오 컨셉이라 캠퍼스 특색 및 고유성으로 보면 이원화의 취지와 가깝다고 생각함. 여튼 입결을 기준으로 하느냐 아니면 이원화 자체에 취지에 포커싱을 하냐로 생각하는 결이 다를 수 있다고 봄
맞는거같아요 ㅋㅋㅋ 중대 얘기하면서 나온 얘기가 예체능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