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지 [1010515] · MS 2020 · 쪽지

2023-08-04 14:59:15
조회수 1,695

님들 이거 이 지문만 보고 맞힐 수 잇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966038

4번 선지 이 문단 때문에 나온 것 같은데 나는 1235 다 틀리길래 4번 골랐는데 이거 어케 추론해야함..??정식화 된다고 했으니까 저 피노키오 처럼 생각해서 맞혀야하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혜원 · 881717 · 23/08/04 15:05 · MS 2019

    모슨 모의고사에요? 아님 간쓸개?

  • 여고지 · 1010515 · 23/08/04 15:16 · MS 2020

    간쓸개 2용

  • 강혜원 · 881717 · 23/08/04 15:32 · MS 2019

    감사합니다

  • 내화수언 · 1112301 · 23/08/04 15:16 · MS 2021

    거짓말쟁이 역설의 내용 그대로 박아놓은 선지인거 같아요

    문장이 참이면 문장에 대해서 말하는 의미론적 술어(거짓이다)도 참이기 때문에 해당 문장은 거짓이 되는 거죠 이걸 거짓말쟁이 문장의 역설이라고 하고요 거짓말쟁이 문장의 역설 내용 그대로 이해하면 추론하는 데에 문제 없을 거 같아요

  • 여고지 · 1010515 · 23/08/04 15:19 · MS 2020

    저 문단에서 거짓말쟁이 역설의 내용이 나온게 있나요?옛날 기출에서 나와ㅆ어서 대충 내용은 아는데 저 문단에서 저걸 어케 추론해요??걍 알고 있어야지 푸는건가요?아니면 거짓말쟁이 역설의 내용이 나오ㅏㅆ는데 제가 못알아채는건가요??

  • 내화수언 · 1112301 · 23/08/04 15:44 · MS 2021 (수정됨)

    아 거짓말쟁이 역설의 내용을 아예 모른다고 가정했을 때는 피노키오 vs 거짓말쟁이의 역설 비교하는 부분 나오잖아요? 공통점으로 둘 다 모순을 띤다고 했으니까 거짓말쟁이 역설에서는 ‘왜 모순을 띠는가‘ 생각해보면 될 거 같습니다 (피노키오 부분에서의 역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거짓말쟁이 역설 내용을 이해..)

    피노키오 부분에서 “PP가 성립할 때, PS가 참이라면~, 거짓이라면~” 이랑 선지에서 “ ‘이 문장은 거짓이다’가 참이라면~“ 두 문장 보면

    (PP가 성립한다는 가정하에 PS가 참이면) 오직 거짓말을 할 때에만 코가 커져야 하는데 PS의 내용이 따라 거짓말이 아닌데 코가 커져서 모순인거죠
    (PP가 성립한다는 가정하에 PS가 거짓이라면) 거짓말을 한다면 코가 커져야 하는데 PS가 거짓말임에도 PS자체 내용이 모순되는 거잖아요

    이 내용을 바탕으로 거짓말쟁이 역설이 발생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 문장은 거짓이다‘가 참이라면) 이 문장은 거짓인게 참이 되고 자기지시적 문장이 거짓이므로 모순을 띱니다
    (‘이 문장은 거짓이다’가 거짓이라면) 이 문장은 참이 되는 것이고 ‘’ 내의 이 문장은 거짓이다와 충돌되니까 모순인 겁니다

    설명이 잘 됏는지는 모르겟네요..

  • 여고지 · 1010515 · 23/08/04 22:49 · MS 2020

    아아아아ㅏ 네네 이해됐어요 정성들여 댓글 써주시고 김사합니다 ㅠ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