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부 안 해 본 1등급-김승리vs김동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75269
모의고사에서 항상 2-3개 진동으로 틀리는 현역입니다.
이왕이면 만점을 목표로 공부하고 싶기도 하고, 22수능 풀어보니 85점이 나와서 연습을 많이 해야겠구나 싶어서
늦었지만 여름방학부터 국어를 좀 다져보고 싶은데, 문제는 제가 수능국어 공부를 따로 안 해 본지라 어느 선생님이 제 상황에 적합한지 판단이 어려워서요.
현재 저에게 국어를 어떻게 푸냐, 라고 물으면 그냥 읽고 푼다, 라고밖에 답을 못하겠어요. 뭔가 어떻게 해야지 하는 명확한 행동강령이 있다기보다 그냥 편하게 풀기 위해 제가 알아볼 수 있는 정도의 표시를 하는 수준입니다.
문학은 뭐 보기 먼저 읽고 대략적인 내용 파악한 후 지문 읽는다는 정도?
비문학은,, 철학의 경우 반대되는 주장이 나온다면 각 주장에 해당하는 철학자를 각각 동그라미, 세모로 표시한다거나
과학의 경우 새로운 핵심용어가 나올 때마다 동그라미 치기 등이 다겠네요..
오르비에서 좀 검색해 본 결과 김동욱 쌤은 글 자체를 이해하는 법을, 김승리 쌤은 구조적으로 독해하는 법을 가르치신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제 상황에서는 어떤 분의 강의를 듣는 게 더 알맞을까요?
제 현재 방식과는 그나마 김동욱 쌤이 비슷한 듯하면서도
그러면 구조독해를 보강하는 게 맞나…? 싶기도 해서요…
물론 직접 맛보기 강의를 들어보기는 했지만, 두 분 다 맞는 말씀을 하시고 ㅋㅋ큐ㅠㅠㅠㅠ 전체적으로 감을 잡고 판단하기에는 시간이 없어서 조언을 구해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셔츠가 불편해서 혼자 엉엉운 키 180넘는 건장한 남성 2
우진이형 저랑 결혼해요 엉엉엉
국어 안해봤는데 2,3개 진동이면 가본 피지컬이 엄청 좋은거라서 구조독해 나쁘지 않은 거 같아요 근데 승리쌤 현강러로써 구조 독해인지는 잘 몰?루
아하? 그럼 구조독해가 아니라 어떤 느낌을 받으셨는지 궁금해요
처음에는 당연히 분석하면서 지문을 뜯으면서 수업하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구조 분석은 되게 적고 이해 위주로 많이 가용 그리고 선지에 대한 감각 강조하시고
감사합니다!!
국어 오직 김동욱.
어떤 점이 좋으신지 궁금합니다!
김상훈 그릿블랙
이 선생님 특징은 뭐라고 봐야 하나요?
모고 2,3개 틀리는거면 뭘 배우기보단 좋은 컨텐츠로 많이 풀면서 스스로 생각해보는 시간이 많아야 된다고 생각해요 그릿블랙에 주요기출들,수특수완연계지문들(작가연계,작품대비),6평 분석과 같이 보면 좋은 기출들등 들어있어서 좋을듯요
그리고 무엇보다 해설지가 단순히 답이 왜 맞고 틀리냐 뿐만 아니라 지문과 작품에 대한 분석이 되게 자세하게 나와있어요 진짜 분석서급으로 국어에서 기출분석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데 혼자서 기출분섣하는게 쉽지는 않잖아요 그걸 주요기출들과 연계지문들 선별해서 해주니깐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문학 Goat심..
헉 그렇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