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현XX 선생님이 알려준 계산 실수 줄이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38265
나는 학창 시절 계산 실수를 정말 많이 했다.
그래서 항상 고민했다.
어떻게 하면 계산 실수를 줄일 수 있을까?
그리고 드디어 계산 실수가 생기는 근본적 원리를 깨달았다.
덕분에 상위 5%의 계산 능력을 갖게 됐다.
나는 이 원리를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계산 실수를 압도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거짓말 같은가?
이 상태로 글을 시작하면, 뒤로 가기가 너무 많이 생길 것 같으니
권위자의 말을 빌려오겠다.
우선 이 글은
뇌 과학, 인지 심리학의 거장인 대니얼 J 레비틴의 [정리하는 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누군지도 모르고 관심도 없을 것 같으니, 익숙한 인물을 예로 들겠다.
내가 설명할 원리를 이해하면,
현XX 선생님이 항상 해주시던 말의 진짜 의미를 파악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쉬운 문제만 풀지 말고, 어려운 문제도 풀어야 한다."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실모를 풀어야 한다." (킬X 캠프)
"예외를 두지 말고, 모든 경우의 수를 대비해야 한다."
등등...
사실 이 말들이 계산 실수를 줄이는 방법들이다.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가?
서론이 길었다.
결론만 말해주면,
'주의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주의력?
실수를 줄이는 방법은 간단하다.
주의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불필요한 곳에 주의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주의력이라는 개념이 너무 추상적으로 느껴질 것이다.
예를 들어 보자.
어떤 학생의 주의력 총량이(100)이라고 하자.
문제를 읽으며, 어떻게 풀지 고민할 때는
문제 해석(80), 문제 풀이(20)에 주의력을 사용한다.
문제를 다 읽고 난 뒤, 어떻게 풀지 구체적으로 고민할 때는,
문제 풀이(100)에 주의력을 사용한다
이후 풀이 방법을 떠올리며, 계산을 시작한다.
문제 풀이(10), 계산(90)에 주의력 사용한다.
그런데 만약 계산을 하다, 계산이 복잡해져 압박감을 느낀다면,
문제 설계(10), 계산(40), 압박감(50)으로 주의력이 조정된다.
이 경우 계산에 투자하는 주의력이 줄었기 때문에, 당연히 실수가 생긴다.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의력 총량을 키우는 것이 좋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주의력 총량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타고나는 영역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해진 주의력 총량 안에서, 뇌를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주의력을 잡아먹는 흔한 케이스 2가지
위 예시에서 계산 실수가 생긴 이유는 압박감(50)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가 문제를 풀다 실수가 생기는 대부분의 이유는 감정 때문이다.
자주 일어나는 두 가지 케이스를 살펴보자.
Case1) 문제 풀다 막혔을 때
이 케이스는 가장 흔하다.
시험장에서는 못 푼 문제를 집에서 풀어보면 풀리는 이유이다.
'아직 12번인데 문제가 안 풀려, 어쩌지...'
'쉬운 문제 같아 보이는데, 왜 문제가 안 풀리는 거야...'
이런 불안감은 문제에 집중하지 못하게 한다.
주의력 과부하가 생기고, 계산에 주의력을 투자하지 못한다.
Case2) 계산이 복잡해질 때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는 알았는데, 계산이 복잡해지는 경우다.
근본적인 원인은 Case1이랑 비슷하다.
감정 때문이다.
보통 평가원 문제에서 계산이 복잡해지면, 의심을 먼저 한다.
'이렇게 푸는 거 맞아?'
'잘못 풀고 있는 거 아니야?'
이런 불안감은 주의력을 잡아먹는다.
계산이 가뜩이나 복잡해 집중해야 하는데,
불안한 상태에서 계산을 하면 당연히 실수가 생긴다.
주의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문제 풀이
정리하자면 계산 실수가 생기는 이유는
감정이 불필요하게 주의력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감정을 제거하면 계산 실수가 줄어들겠지만,
우리는 기계가 아닌 인간이다.
감정을 제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의 한계를 인정하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내가 찾은 방법은 두 가지다.
1. 계산 효율화
2. 익숙해지기
아까 예시로 돌아가 보자
문제 설계(10), 계산(40), 압박감(50)에서 계산 실수가 생겼다면,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다.
계산(40)으로도 계산 실수를 하지 않으면 된다.
이는 계산 효율화를 통해 가능하다.
또는
압박감(50)을 압박감(20)으로 줄이면 된다.
이는 압박감을 느끼는 상황을 많이 경험해 보면 된다.
인간은 상황에 익숙해질수록 감정적 반응이 줄어든다.
따라서 감정적으로 반응할만한 상황을 미리 미리 경험해보면 된다.
이 방법이 현XX 선생님 말의 진짜 의미라고 생각한다.
마무리
당연히 계산 실수가 일어나는 이유는
오늘 설명한 것 외에도 너무 많다.
계산 습관, 풀이를 작성하는 방식, 사고 회로, 성격 등 너무 많은 요인이 존재한다.
이 모든 것을 이 글에서 설명할 수는 없으니,
이 글이 반응이 좋다면, 이후에 작성하도록 하겠다.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00덕) 어떤 분의 자작문제를 수정해드렸습니다 5
원본) https://orbi.kr/00072763458 첫 풀이과정 명시 정답자...
-
나도사고싶어
-
화학을 해야하는 이유 11
-
이것이 바로 얇고 긴 옯생의 비극
-
. bxtre.kr/
-
동선이 개꼬이네 몰라! 일단 가!!
-
나 탈릅하면 예상반응 10
순대님 정말 좋으신분이엇는데 ㅠㅠㅠ 이런식으로 슬퍼하는글로 하루종일 도배 ㄷㄷㄷ
-
아침에 일어나서 한다는 나쁜생각하기 싫은데
-
bxtre.kr/
-
오래전에 헤어진 친구와 다시 만나는 그 감정이 느껴졌음 목표대학도 같아서 나중에...
-
생1이 탐구 17개 과목중에 3등급 맞기 제일 쉬움 그 이상은 근데 존나 어려움...
-
메타에안끼기 8
그것이 얇고 긴 메모장 옯생을 즐기는 법
-
무지성 화생 지방사는 사람들 잘 알걸? 무지성 화생 하는 (주로) 여학생...
-
날 그리워할 사람이 잇을까
-
미쿠 귀여워 10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24
-
게이글쓰는걸로 맨날까이고 저격 당했는대 무시하고 꾸준히 쓰는거보면 사실 강철멘탈일수도 행복해라
-
내일 경찰서 가려하는데 법쪽 관련해서 지식이 풍부하신 분 쪽지 주세요..
-
그 숫자가 워낙 많아서 생지는 표본이 심각해지지는 않음
-
흠
-
대충 연고공~약수 정도 나오지 않을까
-
웬만하면 다 친하게 지내고 싶다
-
내가 ㅇㅈ하면 저딴새끼도 자살안하고 살아있네 하고 숙연해져서 멈춤
-
부활해라 게이야
-
작년 현역 3모 58에서 올해 3모 80 나옴 근데 미적은 해도 해도 는다는 느낌이 안 듦
-
물론 확실한거 아니고 ㅇㅇ 본인이 여유가되면이요
-
이거들어바 12
굿
-
아무리 그래도 비서울 비대구에서는 아직도 무지성 생지가 많은데
-
캬캬캬 251130 해설 ㄱㄱㄱ
-
??
-
아 메타 안도니 15
괜히했노.
-
심지어 가난하기까지
-
안녕하세요호잇저는저능부엉이티비에저능부엉이입니다 어디감? 반수한다고 하지 않앗나
-
안녕하세용 4
늦은 인사 드려용
-
어떤지 아는법 잇나
-
근데 재릅하실려나
-
덕분에 오르비 안들어가고 수학공부하러감
-
옯스타 홍보함 0
@cheri_tokki
-
디엠 나눴습니다 11
걱정하지는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항상 현생 응원합니다 선생님
-
예전에 사람들 인증하면 댓글 20개는 달렸던거같은데
-
벌써 거의 도착이란말이지 으흐흐
-
ㅇㅈ 9
입술에 왜케 생기가 업지
-
이새기 편하게 대해주니까 사용자가 친구같지?
-
저는 오르비 시작한 거랑 여친한테 큰 거짓말 쳐서 밖에서 무릎꿇고 빈 거
-
엔제게임 수2를 끝내다 15주차 복습을 하다
-
원서를 군당 2개씩 쓸 수 있다고 하면 어떨 것 같음?? 빵꾸/펑크를 없앨 수...
-
2년만에 인증한다 15
이게 벌써 2년전이노.
감사합니닷!
완전 좋아요! 계속 써주세요
넵 감사합니당~

Goat감사합니다~
제가 최근에 깨달은 거랑 비슷하네요 계산이 복잡해지면 계산에 대한 확신이 없는 채로 계산하니까 실수하더하고요 ㅋㅋ 그래서 계산이 복잡해져도 답이 나온다는 확신을 가질때 까지 문제 다시 살피고 확신이 들면 계산 하는 식으로 하니까 확실히 실수가 줄었습니다
넵 정확합니다.
풀이, 계산에 대한 불안감이 주의력을 잡아먹는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때문에 항상 의식적으로 풀이, 계산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게 무조건 정답이야! 라는 생각보다는,
틀려서 막히더라도 돌아올 수 있는 분기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내가 가고 있는 길을 항상 명확하게 의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학에서 메타 인지가 중요한 이유기도 하죠!
이미 스스로 깨닫고, 적용하는 것을 보니 대단한 것 같습니다.
저는 스스로 깨닫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꾸준히 노력하시면, 성적이 안 오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화이팅!
감사합니다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