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자 [347442] · MS 2010 · 쪽지

2011-01-18 23:07:18
조회수 534

과탐 선택 질문좀,, 답변제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376

이번 수능 친 문돌인데 동생때문에 과탐 찾아볼려는데 머리아프네요,,

대충 과목마다 특징이 있자나요,,

전 문돌이니까 사탐을 예로 들면

사탐 중에서 역사과목 하면 외울것 많고, 한문제 한문제 틀릴때마다 백분위가 팍팍 내려가고(점수대가 조밀하고/표준점수가 낮고),,,,
일반사회 과목은 자료분석형 문제가 많고 점수대가 역사과목 처럼 조밀하지는 않고,,,
이런식으로요,,,

대충 설명좀 해주세요,,,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슈슈닝 · 361413 · 11/01/18 23:14 · MS 2010

    생물이랑 지구과학이 그중에서 암기과목이라고 생각되구요 물리는 수학과 많은 연관이 있고,, 화학도 화1은 생활 속 물질같은걸 배우기 때문에 외울거 많고 화2는 더 학문적? 이라서 암기과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MD추억 · 314967 · 11/01/18 23:18 · MS 2009

    과목 중에서는 지1이 그냥 제일 쉽고요. 외울꺼는 지학빼면 물리>화학>생물 순으로 적어요ㅋ 물리는 외울거 정말 적고요 현상을 why가 아니라 how적 측면에서 이해하고요.(저 물리허접;;선생님말 인용ㅋ). 생물도 외울거 많지만 그래도 이해하면 딱딱 맞아떨어지는 것이 많아요 화학도 그렇고요 난이도는 케바케여서... 생물이 대체적으로 표준점수 낮은거 말고는 케바케 ㅋ

  • beausoleil · 362553 · 11/01/18 23:21 · MS 2010

    물리1 ) 물리에 관심을 어느정도 두느냐에 따라 성적이 갈리는듯.

    화학1 ) 개인적으로는 쉽지 않음

    생물1 ) 평이(평이는 꼭 쉽다는게 아니라 쉽거나 적절한 난이도를 의미함) 그러나 최근들어 고난도 문항이 다수 출제되는 경향이 있음.

    지구과학1) 일반적으로 쉬운편이라서 등급컷이 상당히 높은편이다. 나도 고득점을 맞을 수 있을지 몰라도 남도 고득점을 맞는다는 사실을 잊지말것.

    물리2 ) 본인이 수능 시험 친 과목으로서 1, 2등급 확보는 수능 전 모의고사 까지는 수월할지 몰라도 수능 당일에는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응시자 수가 적지만 실제 응시인원의 절반가량은 허수로 보아도 좋다. 그 근거는 작년 9월에 시행되었던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시험에서 내가 속했던 반의 특수 녀석이 찍어서 4등급이 나왔다.(하지만 어느 영역이나 5등급 이하는 그다지 공부를 많이 하지 않았다고 보아도 된다) 자신은 2개 영역만 공부하고 1개 영역은 그냥 참여에 의의를 둘 경우, 물리2를 추천합니다. ㅋㅋ 그런데 2012학년도 수능부터 3과목 체제가 들어가니 인원수가 2011수능 25,000명 추정치에서 최소 5,000명 ~ 최대 10,000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보임. 그러면 2011까지의 수능과는 다르게 잘하는 학생들만 확실히 남게 되므로 등급컷은 물리2 다운 등급컷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화학2 ) 잘 모르겠음

    생물2 ) 잘 모르겠음

    지구과학2 ) 물리2와 마찬가지로 소수인원 과목에 속하지만(물론 과학탐구 내 최저인원 선택과목은 단연 물리2이고, 그 뒤를 잇는 과목이 지구과학2이다) 이 과목역시 등급컷의 경우 1~2등급컷만 높지 3등급부터는 그다지 높지 않고 4등급부터는 거의 학생들이 공부하지 않는다고 보면 됨. 물론 공부해서 4등급 이하의 성적을 거둘지 몰라도 등급컷이 엄연히 사실을 말해줌. 물론 필자는 과학탐구 고등학교 3학년때 물리2 지구과학2를 선택해서 내신 1등급을 둘다 맞은 경력이 있음.

    어디까지나 과학과목 선택은 자신의 진로및 적성에 맞춰서 하는게 좋음. 이것적ㅓㅅ에 휘두ㄹ리지 말거ㅅ.

  • 다음주수능 · 354865 · 11/01/19 21:16 · MS 2017

    잘하는 학생만 남는데 왜 등급컷이 다운댐?

  • beausoleil · 362553 · 11/01/19 23:11 · MS 2010

    "~답다"의 의미죠^.^ 물리2하는 학생들 답게 이제 본격적으로 난이도가 높더라도 꽤나 높은 등급컷을 나타낼 때가 올 것 같네요.

  • 개인창고 · 343151 · 11/01/18 23:22 · MS 2010

    동생 2학년 올라가나요?
    보통 1학년 하면 자기가 하고싶은 과목 감이 올텐데요....
    이제 고1 이라면 공통과학은 골고루 해놓는게 과목선택에도, 추후 선택한 과목의 공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아요

  • 인격자 · 347442 · 11/01/18 23:25 · MS 2010

    감은 온것 같은데
    제가 이번에 흥미 따라 3사 했다가 백분위때문에 jot망 됫거든요,,ㅠㅠ
    그래서 확실히 하료고요 ㅋㅋ

  • 개인창고 · 343151 · 11/01/18 23:26 · MS 2010

    아...... 근데 과탐은 문과 국사처럼 그런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자기 흥미따라서 하는게 왠만해선 최고이자 최선의 선택. 알이즈웰 ㅎㅎ

  • TANTO · 289939 · 11/01/18 23:31 · MS 2009

    지학은 취향을 잘 타지않지만 물 화 생, 특히 물리랑 화학은 별거없다는 애들이 있는반면에 도대체 무슨말인지 하나도모르겠다는 애들까지 천차만별입니다;; 물리는 진짜 취향따라가고 화학도 어느정도. 생물은 그나마 취향 덜타는편이고 지학은 누가하든 무난해요ㅋ

  • 펭귄이 · 342751 · 11/01/19 00:15 · MS 2010

    화학 2) 1등급이 상당히 탄탄한 편, 그나마 재학생의 비율이 상당한 편이라고 생각
    쉬운난이도~중간난이도 10문제 정도를 반드시 맞춰야 함. 고난도 문제와 초고난도 문제에서 변별력을 가짐. 매년 변별력을 가지므로 실수를 하지 않는다면 망하지 않음. 단, 한번 실수하면 졎ㅋ망ㅋ임.

    생물 2) 선택자 수가 많고 1~3등급이 상당히 탄탄한 편임. 그러나 자습서 한 권 외우면 왠만한 문제는 다맞음(내신 과목으로 선택했었음)
    문과애들은 윤리 외우던데 생2정도는 차근차근하다보면 다 외워짐.... (시험보고 다 까먹는다는건 단점)

  • 서래마을 · 230518 · 11/01/19 01:08

    생물2는 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