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5ELECTRA [1207191]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07-21 19:32:20
조회수 10,291

지구과학 실모 풀기 전 마지막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28736

지구과학1 ( 솔텍.수특 정리 )


다들 파이팅이용!!!!!!!

 건대 다니는 분들은 다 예쁘고 멋있는 것 같다 특히 수의대 다니시는 분들은 완벽하신 분들임


1단원 


- 마그마의 생성 깊이는 열점이 해령보다 깊다.

- 유기적 퇴적암 중 석탄의 구성 물질은 고사리이고 고사리는 육상 환경에서 퇴적 되었다.

- 배사축으로 갈수록 나이가 많아지고 향사축으로 갈수록 나이가 적어진다.

- 집괴암(화산탄)이 응회암(화산재)보다 크다.

- 암염은 건조한 환경에서 잘 생성된다.

- 속성 작용은 주로 지구 표면 부근에서 일어난다.

- 주상 절리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마그마의 모든 부분에서 부피의 수축 정도는 같지 않다.

- 경상남도 고성군 덕명리의 해안에서의 공룡 발자국 사진을 보여주고 층리가 나타나냐 물어 도 나타난다고 답해야 한다

- 진안 마이산의 타포니는 북쪽 사면보다 남쪽 사면에 많이 분포한다.

- 에디아카라 동물군은 다세포 생물이지만 단단한 껍데기나 골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원생 누대 말기에 나타났다.

- 트라이아스기 때 최초의 포유류가 출현하였다.

- 마그마가 생성될 때 압력이 일정하고 온도가 상승하여 마그마가 생성되는 것은 대륙 지각 물질이 용융 된 것이고 그 외의 경우에는 맨틀 물질이 용융된 것이다.

- S극 방향의 축과 지표면이 만나는 지점을 지자기 북극이라 한다.

- 자성 광물이 포함된 암석의 잔류 자기 방향을 측정하면 암석이 생성된 위도와 생성될 당시

자극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 지질 시대 동안 지리상 북극의 위치가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 동은 대륙 이동의 증거이다.

- 판게아는 중생대 초부터 분리되기 시작했다.

- 해구는 해저 지형 중 수심이 가장 깊은 지형이며, 수심이 약 6000m 이상인 좁고 긴 골짜 기이다

- 잔류 자기 방향은 해령축과 관련이 없다. 고지자기 역전 줄무늬 분포가 해령축과 나란하다.

- 대서양과 인도양은 초대륙 판게아의 분리 과정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의 생성과 함께 해양판 의 발산에 의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대서양과 인도양은 중생대에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 초대륙 아래에서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면 초대륙이 분리될 수 있다.

- 현무암질 마그마는 유문암질 마그마보다 점성이 작고 온도가 높으며 밀도가 크다.

-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지각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밀도는 높아지며 온도는 내려간다.

- 단층과 절리 모두는 암석이 깨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깨진 면을 기준으로 양쪽 암석의 상 대적인 이동이 있으면 단층이고, 깨진 면을 기준으로 양쪽 암석의 상대적인 이동이 거의 없 으면 절리이다.

- 퇴적암에서 측정한 절대 연령은 퇴적암의 퇴적 시기 상한선을 지시한다.

- 석탄기 때 최초의 파충류가 출현하였다. 석파.

- 데본기 때 최초의 양서류가 출현하였다. 양대산맥.

- 선캄브리아기 시대는 전체 지질 시대의 약 88퍼센트를 차지한다.

- 커피 포트. 포유류는 트라이아스기 때 출현하였다.

- 속씨식물에는 단풍나무, 참나무 등이 있다.

- 퇴적물의 총 부피 분의 공극의 총 부피 값은 속성 작용을 받으면서 감소한다





2단원


- 태백 산맥을 기준으로 높새바람이 불 때 영동지방엔 다습하고 차가운 바람이 불고 영서 지 방엔 고온 건조한 바람이 분다.

- 대양의 서쪽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는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동쪽에서 흐르는 해류에 비 해 비교적 속도가 빠르다.

- 그린란드 해역에서 만들어진 북대서양 심층수는 수심 약 1500m~4000m 사이에서 남위 60 도까지 이동한다.

- 심층 순환은 주로 수온과 염분 차에 의해 일어난다.

- 단파 복사 기준, 대기에서 구름의 양이 많을수록 대기 반사량이 많아진다.

- 오존이 있는 곳은 성층권. 지표에서 방출하는 지구 복사 에너지는 주로 성층권에서 흡수 되 지 아니하고 주로 대류권(지표 근처)에서 흡수된다.

- 지구 온난화가 진행 되면 해수의 CO2 방출량이 많아지지만 결국 대기의 CO2도 많아지게 되어 해양 산성화가 일어날 수 있다.

- 한랭 고기압은 지표의 냉각에 의해 생성 되고 온난 고기압은 해들리 순환에 의해 생성 된 다.

- 페렐 순환은 간접 순환이다.

- 해들리 순환과 극 순환은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거나 냉각된 공기가 하강하면서 만들어진 열 적 순환으로 직접 순환에 해당한다.

- 남극 순환류는 남극 대륙에서 내려다봤을 때 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

- 남극 순환류가 강해지면 남극 대륙의 평균 기온이 하강한다.

- 자전방향과 세차운동 방향은 반대이다. 참고로 자전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이다.

- 동태평양 기준 혼합층의 두께는 엘니뇨 때가 라니냐 때보다 두껍다.

- 서태평양 기준으로는 혼합층의 두께가 엘니뇨 때가 라니냐 때보다 얇다.

- 용승이 강해지면 산소량이 많아지고 영양염이 많아지며 플랑크톤이 많아진다 또한 엽록소도 많아진다.

- 열대 저기압은 위도가 낮을수록 발생하기 유리하다라는 선지는 틀리다. 적도 지방에선 전향 력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온도가 높아진다고 유리하다고 판단하면 틀리다.

- 이산화탄소는 산소보다 기체의 용해도가 크므로 용존 이산화 탄소량은 용존 산소량보다 전 체적으로 많다.

- 용존 산소량은 수심이 깊어질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한다.






3단원


- 빈의 변위 법칙에서 흑체가 에너지를 최대 세기로 방출하는 파장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온 도의 네제곱 아니다.

- 별의 진화 단계에서 주계열성 이후 중심핵이 수축할 때는 H-R도에서 우상향한다고 보면 된 다.

- p-p 반응은 수소 6개 참여. CNO 순환 반응은 수소 4개 참여. 헬륨핵 융합 반응은 헬륨핵 3개가 융합해 1개의 탄소핵을 만드는 반응이다.

- 식 현상을 이용해서 행성의 대기 성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우주 배경 복사가 모든 방향에서 비슷한 강도를 보이는 것은 빅뱅 이론으로 설명 불가능하 다.

- 우주 배경 복사의 흑체 복사 곡선에서 최대 복사 에너지 세기를 나타내는 파장은 전파 영 역에 해당한다.

- 백색왜성의 크기가 중성자별보다 크다.

- 중심부 질량이 태양의 1.4배 이상 3배 이하이면 중성자별이다.

- 초기 질량이 태양의 8배 이상 25배 이하이면 중성자별로 진화한다.

-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한 외계 행성 탐사는 다른 탐사 방법에 비해 멀수록 유리하다,

- 빅뱅 후 약 38만 년이 지났을 때 우주는 충분히 식어서 원자핵과 전자가 결합해 중성 원자 가 만들어지면서 투명해졌다.

- 빅뱅 후 약 3분 동안 헬륨핵이 합성 되었고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질량비는 3:1이 다.

- 거리지수: m - M = 5로그R - 5

- 기체성분으로 이루어진 행성은 평균밀도가 지구보다 훨씬 작다.

- 우주가 팽창할 때 팽창속도가 느려져도 우주의 밀도 분의 암흑 에너지 밀도는 계속 증가했 다고 판단해야 한다.

- 허블 법칙은 정상 우주론과 빅뱅 우주론이 경쟁하기 전에 발견되었다.

- 우주 배경 복사를 관측함에 따라 빅뱅 우주론이 확립되었으므로 빅뱅 우주론이 확립 되기 전 우주 배경 복사를 관측하였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