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재용 · 1227239 · 23/07/18 16:16 · MS 2023

    잘 푸셨는데, x이외의 변수가 나오면 헷갈리시나봐요. g(t)는 t가 변하면서 생기는 것이니까, 그래프에서 t값을 변화시키면서, 근의 갯수가 어떻게 번하는지 보시면 되요. g(t)의 그래프를 그려보시는 것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듯.

  • 수의대지망생 · 1203940 · 23/07/18 16:20 · MS 2022

    t는 사실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다기보다 g(t)의 최댓값이 4라는걸로 x축 위치정하는데 쓰이는거라
    저렇게 생각하면 조금 더 생각이 많아져서 복잡하지 않을까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