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플 [590633] · MS 2015 · 쪽지

2015-08-12 04:10:23
조회수 808

정치를 보는 안목은 어떻게 기르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74522

일단 SNS 는 노답인 걸로 아는데..
신문이나 기사도 편향적이거나 정치 성향이 짙은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최진기 선생님을 예로 들면 진보 쪽인 걸로 아는데.. 나이 먹어서 그런지 지금은 조선일보 신문을 읽다가 도저히 읽기가 싫어 던진다고 하시더군요..뭐 농담으로 그러실 수도 있겠지만요)

저도 곧 투표를 할 나인데..
참 이게 애매합니다... (부모님이 심한 보수 주의라 저도 영향을 좀 받았습니다만 그러다보니 정치를 혐오하게도 됨)

정치에 대해 아는게 별로 없다보니.. 무관심이 더 편한 느낌인 것 같기도 합니다..

좀 다른 소리로 흔히들 정치판은 정말 더럽다고들 하는데..

어린 생각인진 몰라도 저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몰래 정말 뭔가 바꾸려고 시도를 해본 정치인은 없을까..?

들어가는 순간 암묵적인 것들에 의하여 자기 자신도 모르게 찌들어버리는 건가.. 권력과 돈에 다졌던 의지를 잃어버리는 건가... ' 이런 생각을 합니다.

다시 돌아와 정치를 보는 안목을 키우고 싶은데..
이건 과거에 정치에 대해 쓰여진 많은 책들을 보는 것이 답인가요?

솔직히 이젠 인터넷은 믿을 수가 없더군요..괜히 혼란만 주는 것 같기도 하고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뒷골목질주 · 501370 · 15/08/12 05:08 · MS 2014

    정치철학을 조금 공부해도 좋을 것 같아요. 정 안되면 고등학교 법과 정치 책, 특히 헌법파트를 봐도 되고요

  • 웰메이드 · 486911 · 15/08/12 06:48 · MS 2014

    저는 집 근처 도서관 가서 한겨레랑 중앙을 같이 읽었어요
    정치를 진보와 보수로 흑백논리 식 이원화 시키는 게 올바르다곤 절대 생각하지 않지만
    실제로 신문을 보면 둘 중 한 가지 관점으로 편향이 되더라구요
    관점이 다른 신문을 둘 다 읽으면서 그 안에서 제 줏대를 세워 보려고 노력했던게 정치적 식견 형성에 많은 도움이 됐던 것 같습니다

  • follow slowly · 556117 · 15/08/12 08:15

    책 읽으세용

  • 테플 · 590633 · 15/08/12 20:33 · MS 2015

    관련된 책이 너무 많아서 갈피가 잡히질 않더군요..

  • 95년 응애 · 453954 · 15/08/12 09:50 · MS 2013

    세상에 중도란 건 도통 찾기가 힘드니 양극단을 모두 살펴보고 자신의 스탠스를 정하세요

  • 한의대지망 · 502873 · 15/08/12 10:14 · MS 2014

    ㅇㄱㄹㅇ

  • 테플 · 590633 · 15/08/12 20:34 · MS 2015

    스탠스를 정하고 그 스탠스에 맞는? 책을 읽으면 될까요?(사실 저는 한 쪽을 지지하더라도 총체적으로 보고 싶습니다..)

    부모님을 보면 정말..
    이젠 진보는 다 빨갱이라고만 하시니까..그냥 아예 인간 취급을 안함..(전 펙트여부도 모르지만 확신하는 듯 말씀하시는 게 전 좀 껄끄럽네요..)

  • 95년 응애 · 453954 · 15/08/12 20:41 · MS 2013

    스탠스를 정해도 양쪽 다 읽어야죠 나를 알고 상대도 알아야 진지한 토론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수능으로부신다 · 536327 · 15/08/12 10:22 · MS 2014

    Sns는일단버려야함

  • cogito · 458304 · 15/08/12 11:48 · MS 2013

    책을 읽으세요
    유시민-후불제 민주주의
    전원책-자유의 적들
    추천합니다

    그리고 주간지도 좀 보세요 시사인 추천
    신문은 한국일보가 중도입니다.

  • 테플 · 590633 · 15/08/12 20:35 · MS 2015

    감사합니다

  • 동사서독 · 383625 · 15/08/12 12:12 · MS 2011

    현대 정치를 이해하려면 해방 후 60년 현대사를 알아야 합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의 뿌리가 어딘지, 영/호남 지역감정이 왜 생겼는지, 한국 진보와 보수가 지키려는 가치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알려면 현대사 공부가 우선이죠.

    일단 현대사 책을 두어 권 정도 읽으세요.


    사진과 그림으로 읽는 한국 현대사(서중석),
    한권으로 읽는 대한민국 대통령실록(박영규)

  • 테플 · 590633 · 15/08/12 20:38 · MS 2015

    감사합니다

  • 후니 · 114036 · 15/08/12 13:10 · MS 2005

    정치를 정치인과 당만을 지지하면 모순이 생겨요.

  • sulgeungje · 445606 · 15/08/12 22:49 · MS 2013

    생활고+세월

  • 테플 · 590633 · 15/08/13 00:44 · MS 2015

    그건 아닌 듯

  • 샤대가자 · 624554 · 15/12/22 20:27 · MS 2015

    '영원한 라이벌 김대중vs김영삼' 이라는 책 읽어보세요 대한민국 정치 역사에 대해 읽기 쉽게 써놓았어요 인터넷에 글쓴듯한 문체로 은어도 가끔 섞어서 재밌게 써놓아서 읽는데 전혀 안불편하고 재밌네요ㅎㅎㅎ 그리고 약간 진보적인 성향에서 쓰여지긴 했지만 읽기 편하고 재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