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셔 · 576252 · 15/08/11 23:59

    7급 준비할바에 5급 준비하지... 아직 시간도 많은데 왜 목표를 낮추는지..

  • 종서야놀자 · 590707 · 15/08/12 00:01 · MS 2015

    자기머리로 고시는 못붙는데요

  • 피셔 · 576252 · 15/08/12 00:02

    왜 벌써부터 한계짓는지... 이제 새내기라면 4년+2년이라는 시간이 남았는데 못할건 뭡니까.. 7급할 열정으로 좀만 더 보태서 5급 하겠습니다.. 7급도 만만찮아요.. 물론 5급이랑 7급 난이도 비교자체가 어불성설 이지만 7급에 들일 노력이 5급보다 작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8/12 00:18 · MS 2014

    ?

  • 피셔 · 576252 · 15/08/12 00:20

    7급이 워낙 지엽적으로 물어봐서 들이는 노력 자체는 5급이랑 많이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물론 5급이 깊이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 더 할게 많지만)다만 객관식이라 난이도가 5급보다 낮을뿐이고.. 피셋이라는 진입장벽과 응시생들 수준 차이정도죠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8/12 00:23 · MS 2014

    노력의 기준이 뭔가요?
    뭐 단순히 들이는 시간이라면 수긍할순 있겠는데...

  • 피셔 · 576252 · 15/08/12 00:24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는 시간 말하죠.. 5급이 고차원적이고 심화된 문제라면 7급은 변태적일정도로 지엽적인거까지 내서 결국엔 투입하는 시간은 큰 차이 안난다는 거죠 난이도면에서는 5급이 압승이지만요..어차피 고시도 엉덩이 싸움이라 결국 투입하는 시간이 많으면 7급이나 5급이나 노력 면에서는 큰 차이는 없는거 같네요. 사람에 따라선 객관식 문항에 유리한 사람이 있을거고 서술형 문항에 유리한 사람이 있을거니 7급이 5급보다 별로 노력 안해도 되겠지 이런 생각은 오산이라는거죠... 시험 스타일과 깊이의 차이일뿐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8/12 00:26 · MS 2014

    아아 단순이 시간의 문제라면 뭐.. 틀린말은 아니죠
    주변에 5급준비하다가 7급돌리고 한방에붙은사람이 많아서 뭔소린가 했습니다ㅋㅋㅋ

  • 피셔 · 576252 · 15/08/12 00:28

    그리고 7급도 직렬에따라 5급에 버금가는 직렬도 있죠.. 감사직같은건..

  • Kevin Kim · 575677 · 15/08/11 23:59 · MS 2015

    공무원들 보면 편해보이기는 하는데 뭔가 진부해보이던데;;;
    시청 봉사활동가서 느낀 바로는

  • 피셔 · 576252 · 15/08/12 00:01

    어느 직렬, 어느 직책이냐에 따라 다르겠죠.. 5급 같은 경우는 격무에 시달리니 뭐 지루할 틈도 없을듯

  • 팥죽희 · 573422 · 15/08/12 00:04 · MS 2015

    개인상황에 따라 현명한 선택일 수도 있는데 일단 까고봄ㄷㄷ사스가 오르비

  • 피셔 · 576252 · 15/08/12 00:07

    뭘 까고 봅니까.. 실제로 7급에 들이는 노력이 5급보다 많이 차이나지 않습니다. 객관식이냐 서술형이냐의 차이지(물론 이게 크죠). 이왕이면 아직 시간도 많은데 5급 목표로 도전해보고 안되면 7급으로 돌리는것도 괜찮은데 난 고시 절대 안되라고 한계짓는것도 웃김. 중대경영이면 그래도 역량은 충분합니다 고시는 엉덩이 싸움이라

  • 레밸띵 · 526597 · 15/08/12 00:09 · MS 2014

    피셋때매 그런 거 아녜요?
    저 피셋때매 머리 나쁜 사람들은 10년 공부해도 못붙는단 말을 어디서 봤는데
    100년이었나

  • 피셔 · 576252 · 15/08/12 00:10

    피셋이 머리빨을 많이 타긴 하지만 주변에 고시 준비생이나 피셋 쳐본 사람들 말 들어보면 노력으로 극복되는 부분이라고합니다. 그리고 피셋이라는거 자체가 워낙 당일 컨디션이랑 운을 많이타서 수능처럼 작년에 붙은 사람도 올해 떨어질수 있고 작년에 떨어진 사람도 올해 붙을수 있는 시험임..

  • 95년 응애 · 453954 · 15/08/12 00:06 · MS 2013

    가기만 하면 이득

  • 돼지꿀꿀꿀 · 409481 · 15/08/12 00:06 · MS 2012

    7급이라도 붙으면 개이득

  • 피셔 · 576252 · 15/08/12 00:08

    그리고 임용 유예기간이 2년이라서 3학년 전에 합격하면 임용취소 될수있어요. 7급은 어지간하면 임용유예 2년 다 안기다려주니 최소 3학년 마치고 합격하셔야되는데 이것도 고려하세요

  • 종서야놀자 · 590707 · 15/08/12 00:09 · MS 2015

    어차피 제 일 아니라서 ㅋㅋ 본인이 잘알고잇겟죠 ㅋㅋ

  • 피셔 · 576252 · 15/08/12 00:12

    뭐 본인이 알아서 하겠지만 아직 새내기면 배포있게 5급 해보겠네요 저라면.. 저는 공직에 뜻이 없어서 공무원은 생각 안했지만

  • 안암골고양이 · 489640 · 15/08/12 00:29 · MS 2014

    아니 주장은 이해가는데 그러다가 그 친구 초장수생되면 책임지시게요? 작년 중앙대 행시합격자 몇명인지 아십니까? 2명이에요 그 2000명 넘는 학교에서 공직에서 7급출신이랑 5급출신 사회적위치는 큰데 만약 난이도가 별반차이 없으면 누가 7급봅니까?

  • 피셔 · 576252 · 15/08/12 00:31

    그니까 고시는 2,3년 해보고 안될거 같으면 발 빼는거에요 그리고 7급 만만하게 보는대 5급보다 쉽다뿐이지 들이는 노력 자체는 7급이랑 차이가 많이 난다고 볼수 없습니다. 그건 중대 사정이지요 2명만 붙은건. 난이도 면에서 차이나니까 5급을 안하고 만만한게 7급이라 5급 도전조차 안하는 인원도 많습니다 지레 겁먹고.. 근데 7급도 객관식일뿐 너무 지엽적이라 투입하는 시간이 많다 이거죠

  • 안암골고양이 · 489640 · 15/08/12 00:35 · MS 2014

    음 요즘 5급준비하다가 7급 많이 내려오니까 일리는 있네요 그냥 생각없이 막추천하는줄 알고 오해했네요 지방대 아는 형이 5급3년 준비하다 망한걸 두눈으로 봐서...

  • 안암골고양이 · 489640 · 15/08/12 00:39 · MS 2014

    요즘 7급은 30대 대기업보다 훨씬좋아요 힘도있고 정년 연금도 좋고
    자기 길을 스스로 개척해서 그런지 멋있네요

  • 자두정 · 385027 · 15/08/12 11:04 · MS 2011

    피셔 이 사람 뻘소리 오지게 하네요..

    7급도 5급만큼 힘들다. 계속 그 소리만 하는데 아니 7급도 5급도 다 힘든거지.

    7급 도전하겠다는게 어찌 7급 만만하게 보는 말인지.
    아니 만만하게 보는 건 맞죠. 붙을만하다고 보니까 도전하는 거 아닌가?

    5급보다 7급이 급이 낮으니까 더 쉬운 건 맞는 말인데
    그러는 당신이 5급 만만한게 보는 건 아니고요? 논리 보소;

    7급이랑 5급이랑 같은 급이면 숫자가 왜 다른건데;
    5급 문제를 제대로 봤는지도 모르겠네..

    5급만큼 힘들다는 전제부터가 잘못됐어요. 급이 다릅니다 ㅡㅡ 어휴
    공무원 공직에 뜻도 없다면서 아는척 오지넹;;

  • 자두정 · 385027 · 15/08/12 11:14 · MS 2011

    대학수학능력을 측정하는 수능이야 보편적 수준에 맞춰서 나오니까 부족하더라도 따라잡는 게 가능한거지, 편의 안봐주고 오로지 뛰어난 인재 뽑는 목적으로 치뤄지는 고시인데 그게 가능할 것 같나요? 고시는 확실히 한계 있습니다. 지방대, 서울권 대학만 비교해도 고시 인원 차이날텐데요. 아뇨. 서울권에서 대부분 고시 인원 끝납니다. 지방대는 전무합니다. 5급의 대부분이 서울대 출신인 건 아는건지.

  • 과외워너비 · 522271 · 15/08/12 11:18 · MS 2014

    ㅇㅇ 이게 맞음
    노력량을 시간투입으로만 보는게 넌센스...
    그럼 수능준비도 n수하면 5급이랑 노력은 비슷한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