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시즌 [502888] · MS 2014 · 쪽지

2015-08-11 00:34:21
조회수 391

사회문화 잘하시는 분들 질문좀 받아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68872

이지영 4step 문풀강의에 '실증적연구방법은 행위주체인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의도가 배제된다'가 o인 이유가 아무리생각해도 이해되지않습니다.
원 문제를 보니 해석적연구에 위 선지가 달려있어서 당연히 x인것은 알겟는데 실증적 연구도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의도를 배제한다고는 생각되지가 않아요..
실제로 6평에서 양적연구중하나인 질문지법에 대하여'연구대상의 주관적 가치를 측정한다'가 맞는 선지로 출제되지 않았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t4y · 461234 · 15/08/11 00:48 · MS 2013

    기출 그런거 싹다풀어봤어도 저렇게 단정지을 수가 없는 것 같은데.. 애초에 모든 연구방법은 응답자인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가치가 개입될 수 밖에 없는건데 좀 이상하네요

  • 포시즌 · 502888 · 15/08/11 01:57 · MS 2014

    저만 그렇게 느낀게 아니라 다행이네여ㅎ 감사합니다

  • 규퉁 · 552488 · 15/08/11 11:3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태양잡기 · 560748 · 15/08/14 23:20 · MS 2015

    여기서 주관적 의도는 주관적 가치로 생각하는 것보다 동기, 심리와 같은 행위를 한 심층적 원인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해석적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행위 자체 보다는 그 행위를 한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는데 반해 실증적 연구는 연구 대상자가 그 행위를 왜 했나인 개개인의 주관적 의도를 파악하기 보다는 그 행동의 외면적 속성에 집중한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 나온 선지 같습니다. 가출로 예를 들면, 실증적 연구는 가출이 왜 나타나는가? (개개인의 주관적 의도 말고 사회 전체적인 맥락에서 가출 자체에 집중) 어떤 변수가 가출이라는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궁금해하는 것이고, 해석적 연구는 가출을 왜 했나?(가출한 사람이 가출을 한 주관적의도) 가출을 한 사람의 심리 의도 동기를 궁금해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 포시즌 · 502888 · 15/08/15 01:27 · MS 2014

    아하 그 말이 맞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