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ja' [1132943] · MS 2022 · 쪽지

2023-07-08 20:57:19
조회수 2,265

브레턴우즈 지문 질문 받아주실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683412



브레턴우즈 체제3문단에서요, "미국 금 준비량의 급감에 대한 해결책은 ... 달러화에 대한 여타국 통화의 환율을 하락시켜 그 가치를 올리는 평가 절상이었다."라고 적혀 있는데요,

「여타국 통화의 가치가 증가하면, 동일한 여타국 통화로 달러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으니까, 동일한 여타국 통화로 구입 가능한 금의 양은 증가한다.」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다른 국가가) 구입 가능한 금의 양이 증가하면, 미국 금 준비량은 오히려 감소하지 않나요? 이게 왜 해결책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Shja' [1132943]

쪽지 보내기

  • Champagn supernova · 1237510 · 23/07/08 21:06 · MS 2023

    평가 절상 과정은 예를 들어 1:100이던 환율을 1:50으로 숫자만 바꾸는 과정이 아니에요. 실질적으로 타국 화폐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 금리 인상 등의 여러 수단을 활용한다고 해요(이 과정까진 저도 배운 적이 없다 보니 모르겠네요). 그래서 평가 절상을 한다고 해도 바꿔줘야 할 금의 가치가 올라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해요.

  • Champagn supernova · 1237510 · 23/07/08 21:11 · MS 2023

    조금 더 덧붙이자면 금리 인상 등의 여러 수단을 통해 통화량을 줄이는 거예요. 즉 평가 절상이란 통화량을 줄여서 그 통화의 가치를 올리는 거죠.

  • 북반구는 근일점에서 가을철이다 · 1142247 · 23/07/08 21:17 · MS 2022

    달러화의 가치를 떨어뜨림으로써 같은 금을 사는데 더 많은 달러를 요구하니까 상대적으로 수요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