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4시까지 일어나있던 이유를 찾은 기분이야
-
기습인증뭐임
-
저걸 위해 4시까지 안잤나
-
55분재고 풀거임
-
1차취침시도 0
실패
-
저를 2
정확히 4시간 뒤에 깨워주세요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10
해 뜨고 봐요
-
인강 들어야지
-
ㅏ 근데 없는게 낫겟다 나 비추 받기 시르니까
-
연애썰 11
-
고2 기출을 지금 해도 되나요...? 국어 피지컬 자체가 딸린다고 생각해서 풀어볼까...
-
외롭다 5
ㅇ. 260일만 더. 620일이 되지 않도록.
-
예수를바라보는개미의심정이라고해야하나 걍 너무 멀다
-
수험생들이 잘못된 방식으로 수학을 공부해서 돈과 노력과 시간을 날리지 않았으면 하는...
-
결과 좆박아서 재수 망햇으면 ㄹㅇ 그분만나러 갔을지도
-
진짜 난형난제인듯 3.1만명이 투표를 했는데 ㄷㄷ
-
미적 과외 좀 3
어케 하는거얌
-
이번주에 썸녀랑 데이트하기로 했음 행복해
-
하는건가요? 이유가 있나요??
-
다 갓네 3
ㅡㅏ
-
고백하고차이는게 3
각성제 효과가 ㄹㅇ 있긴한 듯 재수할 때 집중력좀 떨어진다싶으면 고백하고 열공하고...
-
재수기준 1
현역 라인 어디는 찍어야 재수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세요
-
태어나서처음가봄
-
모쏠이리서
-
근데 진짜 9
학원 앤데 졸라 예뻐요 배우같음
-
안다면 당신은 메붕이
-
수2 크크 1
잘 찍으면 시간이 매우 단축된다.대신 근거 잇는 찍기 해야함
-
현역인데 7
지금 좋아하는 사람 생기면 어캄?
-
전여친이 어쩌고 이런 글 쓰지 이런거 하나 없으니까 진짜 설사스러운 글만 싸고있네
-
ㅇㅈ한 사람 찾은 거 같음 아닌가
-
단기간에 수학 4
3평 전까지 수학 잘하게 되고 싶다 문과인데 수학을 너무 못하는거같다 ㅠㅠ..
-
그냥 끓인라면 먹기 싫을 때 물 조금 넣고 볶음라면 해먹기
-
바이바이 10
베르테르 60번 상당히 맘에들게 풀은거 이거는 오늘 업적이다
-
에너지가 넘치시네....... 예전에 김생못이라고 하루에 라면으로 3끼 드신분도 갑자기 생각남
-
너무 귀엽당 1
-
어떤 중딩 여자애가 철학적인 얘기 하는 채널인데 목소리 귀여움
-
지인선 22번 풀이 16
정답 14임
-
하도처들어서 내성이생겨버림 잠이안온다
-
나중에 알바하면 1
영화관은 낭만 있을 것 같고 헌포는 재밌을 것 같음 둘 다 해보고 싶다
-
걍 씻지를 않네
-
급 피곤하네 6
미치겟네
-
새우버거러버
-
안녕하세요 1
-
엄마왜나한테거짓말했어
-
뭘까그건
-
넷플릭스 추천 좀 해봐 12
겜하면서 보게
-
진짜다자러가긴한듯 10
지금 상황이 한 다섯명 둘러앉아서 지 하고싶은말 하는 느낌인데
-
!
-
마 내가 너네 나이때는 새벽까지 게임하고도 학원 가서 공부했어 이눔들아 겨우 3시...
-
레어 샀다! 2
덕코 주신분들 고맙습니다!
조중동 기자는 그렇다네요
메이저신문사는 학벌로 컷하긴 할거에요.
마지노선이 어딘지 알 수 있을까요?!
적어도 7대 (K.M.S.종편 4사) 방송사와 뉴스통신사는 굉장히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또한 낮은 학벌로 입사를 하였고, 혹시 특종과 단독취재를 아무리 많이 해올지라도, 기자생활을 오래 못하고, 동기나 후배에게 진급을 밀립니다. M이 끝판왕인데, 역대 사장단과 앵커들 중에 서울대출신 아닌 사람이 손에 꼽다 못해 희박합니다. 학벌은 높을수록 좋다기보다, 조금이라도 낮을수록 크게 족쇄로 작용합니다.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은, 취재에 적어도 핸디캡 없지만, 낮은 학벌을 가진 사람은 취재에 핸디캡이 많이 발생합니다. 솔직히, 높은 학벌을 가진 사람이, 낮은 학벌을 가진 사람보다, 신뢰감이 높을수 밖에 없습니다. 큰 수술을 앞뒀다고 생각해보시죠. 아마 빅5 대학병원을 먼저 알아보겠죠? 제보자 입장에서 생각해보시죠. 아 다르고 어 다르다고, 짜잘한 소식은 일반 기자에게 제보할 수 있겠지만, 제보자에게 리스크가 크게 따르는 나라가 뒤흔들어질만한 소식이라던가, 권력형 비리같은 큰 소식을 제보할때, 학벌 좋은 분들이 모여계신 대형언론사에 먼저 제보하시고 싶으실 겁니다. 기사가 잘못 올라가면, 미시적으로 제보자가 크게 피해를 입습니다. 거시적으로는 언론사가 언론중재위원회, 방송심의위원회까지 가야하는 일이 생기고, 향후 방송재허가 관련해서 문제가 생깁니다. 때문에 제보자의 입장에서나, 회사의 입장에서나, 출입처나 기자의 학벌을 중요시 여깁니다. 괜히, 방송가에서 PD쪽이나 편성,기술,미술 쪽은 파견직이나 프리를 많이 돌리는데, 보도만 유일하게 본부장부터 신참까지 정규직인게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지만, 짧게나마 방송업계에 종사해본 경험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림을 이제 봤네요 긴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