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치한약수 평균소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621049
입결 그대로 의치한약수 순으로 많이 받음?
약대 월급 500이라는 말이 있던데 500이면 그닥 매력적인 선택지는 않은 거 같은데 진실이 뭐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621049
입결 그대로 의치한약수 순으로 많이 받음?
약대 월급 500이라는 말이 있던데 500이면 그닥 매력적인 선택지는 않은 거 같은데 진실이 뭐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전문직이 주는 안정감 아닐까요??
그럼 교대는 어떄용
진실은 평균소득은 의미 없다는 거임
자영업인데 평균소득이 의미 있다고 생각함?
그래도 전문직이니..
의미 없음
중간값도 의미 없다는 거?
의미야 있겠는데 약대도 많이 벌 수 있고 의대도 적게 벌 수 있다는 거지
평균의 함정 ㄷㄷ
단순 월급으로만 보면 대기업 다니는 사람들보다 못버는 전문직들 많지만 평생 벌자나요
페이 뛸 때야 월 500받겠지만..(물론 net 500이면 큰 돈 맞음) 개국하면 월 1000정도 벌지않나요 그것도 본인이 관두고 싶을 때까지 평생..
전문직의 가치는 베타적인 울타리 안에서 정년제한 없이 일할 수 있다는 것과 조직에서 받는 성과 스트레스가 없다는 것임. 물론 전문직도 수입에 대한 스트레스가 개인 성향에 따라서 더 클 수 있지만 큰 욕심 버리고 천직으로 삼는다면 일반직업에 비할바 안되죠. 일반직업인의 최대 성공포인트는 창업후 중박이상인데 이게 확률적으로 1%가 안되기도 하고 그 과정이 너무 험난하다는 것. 성공한 직장인이 되려면 전문직의 몇배는 노력이 필요해요. 그리고 추가로 운찰기삼. 성공의 7할은 운도 따라줘야한다는게 함정
의 >>>>>>치 >>> 한> 약> 수 임
약사 시골가면 넷 700도 받음.
물론 주6일 풀타임이지만.
페이 변화하는 양상이 다릅니다
약대, 한의대는 높게 시작하고
의, 치, 수는 낮게 시작합니다 (인턴부터)
자세하게 언급하면 또 왈가왈가 또 말이 많아지는데,
낮게 시작하는 쪽은 수련기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업체등과 비교하면 급격하게 빠르게 변합니다.
위에 답변들중 맞는 글은 일단 없어보이구요
페이 시장만 봤을땐 일단 그렇습니다
또, 지역차가 큰 직군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직군도 있지요
의치초봉도 한의사보다 높아요. 초봉도 의치한약수 순입니다
대학병원 인턴하는 동안, 응급의학과등 정부쪽에서 돈 더 나오는 (그만큼 더 근무하는...) 그런쪽아니면 거진 대학병원인턴이거나 그냥 쌩으로 나와 시작한 치과의사가 보통 실수령액이 500못넘습니다. (대신 빠르게 올라갑니다, 의대의 경우는 얼마전에 전문의 딴 친구녀석 수련기간동안 500만원 넘게 받아본적 한번도 없습니다)
수련 끝나고 나온 초봉을 초봉으로 얘기한게 아니죠.
의사 전문의나 아니면 그냥 GP로 로컬에 나왔을때,
치한의사 전문의과정 하고 나오거나, 수의사 석박사 하고 나왔을때 연봉은 또 다르죠.